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코미디에서 '춘향전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환에 대하여 : 20세기 『춘향전』 이본의 구축 = Storytelling transition from comedy to "Chunhyangjeon contents" : construction of a different book of "Chunhyangjeon" in the 20th century / 김대범 ; 고운기 1

국문초록 1

차례 3

1. 머리말 3

2. 코미디에서 춘향전 콘텐츠의 양상 5

3. 코미디 춘향전의 스토리텔링 구성 요소 15

3.1. 수정에 따른 코미디 15

3.2. 수정과 확장에 따른 코미디 25

3.3. 수정과 전위에 따른 코미디 29

3.4. 수정과 전위와 인용에 따른 코미디 33

4. 스토리텔링 전환과 수정의 의의 39

5. 마무리 44

참고문헌 45

1. 단행본 45

2. 논문 46

3. 인터넷 사이트 및 기사 47

Abstract 49

초록보기

󰡔춘향전󰡕은 영상매체의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스토리텔링의 전환의 길을 걸었다. 필자들은 이를 묶어 ‘춘향전 콘텐츠’라 부르기로 한다. 춘향전 콘텐츠는 영화, 광고, 드라마ㆍ시트콤, 코미디 등의 장르에서 스토리텔링 전환을 이루었다. 이때 전환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확장, 수정, 치환, 인용의 방식을 따랐는데, 그중에서도 수정의 전환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수정의 전환 방식을 통해 󰡔춘향전󰡕의 스토리 세계가 증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미디에서 󰡔춘향전󰡕의 스토리텔링 전환 방식을 주목하고자 했다.

코미디에서 춘향전 콘텐츠는 1980년대 1편, 1990년대 9편, 2000년대 2편, 2010년대 2편으로 총 14편이 제작되었다. 이 가운데 확인 가능한 코미디 춘향전 콘텐츠 가운데 절대 다수가 수정의 전환 방식으로 이룩되었다. 그 양상은 수정, 수정과 확장, 수정과 전위, 전위와 인용, 수정과 전위와 인용이 중첩되는 5가지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수정 또는 수정과 연관된 전환 방식을 활용한 코미디 콘텐츠 9편에 집중했다.

첫째, 수정에 따른 콘텐츠는 ‘KBS코믹드라마’ <탈선 춘향전>(1984), ‘MBC특종TV연예’ <신춘 대 춘향전>(1993), ‘MBC일요일일요일밤에’ 262회 (1994), 458회 <뽑기드라마:춘향전>(1998)이다. 󰡔춘향전󰡕의 주ㆍ조연 캐릭터의 외모와 성격을 수정하고 제3의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플롯은 물론 세팅까지 변형하여 스토리 세계를 재발명하였다.

둘째, 수정과 확장에 따른 콘텐츠는 ‘KBS고전해학극’ 18회 <월매상경기>(1995)이다. 󰡔춘향전󰡕 그 이후의 이야기로 본다면 확장에 해당할 것이고, 󰡔춘향전󰡕의 이야기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춘향전󰡕의 수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정과 전위에 따른 콘텐츠는 ‘MBC일요일일요일밤에’ 438,439회 <춘향귀신 1,2편>(1997)이다. 󰡔춘향전󰡕의 주ㆍ조연 캐릭터가 환생하여 현생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설정으로 전생과 현생의 캐릭터 중첩을 통해 캐릭터는 물론 플롯, 스토리 세계의 변형을 이끌었다.

넷째, 수정과 전위와 인용에 따른 콘텐츠는 ‘MBC코미디하우스’ <등급동화 : 춘향전>(2003), ‘SBS웃찾사’ <창작의 고통 : 춘향전>(2016)이다. 󰡔춘향전󰡕 소재를 인용하여 2000년대 시점에서 캐릭터, 플롯을 수정하여 󰡔춘향전󰡕 스토리 세계가 오늘날 관점으로까지 확대된 것이다.

코미디에서 춘향전 콘텐츠로의 스토리텔링 전환은 스토리의 전면적인 수정이 압도적이었다. 또한 조연 보다 주연 캐릭터인 춘향, 몽룡, 변학도, 월매의 성격을 수정하고, 제3의 인물을 새롭게 등장시킴으로써 󰡔춘향전󰡕의 스토리 세계의 증식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세기의 활자 형태의 󰡔춘향전󰡕 이본 이후 20세기의 방대한 󰡔춘향전󰡕의 스토리 세계 구축을 위한 일환으로 영상 춘향전 콘텐츠 이본의 구축작업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추파홍유(秋波泓宥)의 기문(記文) 연구 = A study on the kimun(記文) of Chupa Hongyu(秋波泓宥) 이대형 p. 5-30

보기
정약용 질병시의 의학인류학적 고찰 : Medical anthropological study on Jeong Yak-yong(정약용)'s disease-related poems : focusing on the writing of disease and healing / 질병과 치료 묘사를 중심으로 곽예 p. 31-65

보기
고전문학 교육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방법과 실천 방안 = Ecological approach and practice fo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권대광 p. 67-105

보기
朝鲜朝科举考试与儒学的携手发展策略 = 조선조 과거시험과 유학의 제휴 발전 책략 金鏞鎮 p. 107-136

보기
코미디에서 '춘향전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환에 대하여 : Storytelling transition from comedy to "Chunhyangjeon contents" : construction of a different book of "Chunhyangjeon" in the 20th century / 20세기 『춘향전』 이본의 구축 김대범, 고운기 p. 137-186

보기
조선총독부 최초의 그림책 『아해그림책 소아화편(小兒畵篇)』(1918-1920) 연구 = A review of the first picture book of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Ahe gurimchek: Soahwapyeon (Children's picture books)" (1918-1920) 김광식 p. 187-217

보기
위치기반 문학 정보서비스의 개발 = The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literary information service 장은미 p. 219-244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린다 허천, 손종흠·유춘동·김대범·이진형 옮김, 『각색 이론의 모든 것』, 앨피, 2017, 207면. 미소장
2 고운기, 「원가<怨歌>의 재구성-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따른 문학적 해석」, 『韓國詩歌硏究』 제53집, 한국시가학회, 2021, 128면. 미소장
3 김대범, 「매체 전환에 따른 <춘향전>의 스토리 확산 연구」, 『열상고전연구』 제77집, 열상고전연구회, 2022, 300면, 300-328면. 미소장
4 김미령, 「<방자전> 속에 투영된 문학적 양상과 의미」, 『南道文化硏究』 No.21,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1, 247-262면. 미소장
5 김보경, 「영화 <방자전>에 나타난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 양상 분석」, 『문학치료연구』 Vol.52,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193-220면. 미소장
6 김진희,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과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7 박세현,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 양상 및 지도방안」,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8 서성은, 「스토리텔링 전환 유형에 관한 시론(試論)」, 『인문콘텐츠』 No.55, 인문콘텐츠학회, 2019, 94-112면. 미소장
9 설성경, 「춘향전 계통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2. 미소장
10 손민영·정원식, 「영화 <방자전>에 나타난 욕망의 모방적 양상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0 No.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7, 969-977면. 미소장
11 이은경, 「광고 콘텐츠로 활용된 고소설의 장면화와 한계」, 『개신어문연구』 Vol.34, 개신어문학회, 2011. 미소장
12 이채영, 「케이블 TV드라마의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우리文學硏究』 No.46, 우리문학회, 2015. 미소장
13 장보미, 「매체를 활용한 <춘향전>교육 : CF, 드라마에서의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과 교육적 활용」,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14 정창권, 「고전을 활용한 광고 콘텐츠 연구」, 『인문콘텐츠』 No.14, 인문콘텐츠학회, 2009. 미소장
15 조도현,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드라마 <쾌걸 춘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Vol.72, 한국언어문학회, 2010, 293-316면. 미소장
16 조도현, 「<춘향전> 변이의 영상텍스트적 모색과 전망-영화 <방자전>을 중심으로」, 『우리말 글』 Vol.51, 우리말글학회, 2011, 179-199면. 미소장
17 조성숙, 「영화 『방자전』의 서사적 기법 연구」, 『韓民族語文學』 No.63, 한민족어문학회, 2013, 375-402면. 미소장
18 주수민,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 : <쾌걸춘향>의 경우」,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9 KBS코믹드라마 <탈선 춘향전> https://www.youtube.com/watch?v=b42r937la9Q 미소장
20 MBC특종TV연예 <신춘 대 춘향전> https://www.youtube.com/watch?v=gEr6W8duTrM 미소장
21 KBS고전해학극 18회 <월매상경기> https://www.youtube.com/watch?v=nXu3mEZiE2k 미소장
22 SBS웃찾사 144회 <창작의 고통:춘향전> https://www.youtube.com/watch?v=kmZEisBweiI 미소장
23 MBC일요일일요일밤에 262회 , MBC일요일일요일밤에 437,438회 <춘향귀신 1,2편>, MBC일요일일요일밤에 458회 <뽑기드라마:춘향전>, MBC코미디하우스 123회 <등급동화:춘향전>, MBC무한도전 153회 <춘향전특집> https://www.mbcarchive.com/include/default.html 미소장
24 경향신문, 「신년특집 「탈선 춘향전」 유지인·한진희가 주연」, 1983.12.26.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122600329212009&editNo. 미소장
25 한겨레, 「코미디 세상만사(M 저녁 8시 5분)」, 1991.07.3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073100289116005&editNo. 미소장
26 동아일보, 「「한가위 특집 달맞이가세」」, 1992.09.09.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090900209228016&editNo. 미소장
27 경향신문, 「TV연예」, 1993.04.17.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041700329116012&editNo. 미소장
28 경향신문, 「TV3사 콩트코미디 새단장」, 1993.10.28.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102800329114001&editNo. 미소장
29 조선일보, 「방실이의 탈옥소동」, 1993.10.30.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103000239117013&editNo. 미소장
30 경향신문, 「옥중죄수 직업교육 코미디 「웃으며 삽시다」(SBS 오후 7:00)」, 1993.12.1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121100329124002&editNo. 미소장
31 경향신문, 「변사또에 반한 춘향, 오락 「웃으며 삽시다」(SBS 오후 7:00)」, 1994.01.22.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012200329118006&editNo. 미소장
32 매일경제, 「고전해학극-월매상경기(KBS2 오후 8:30)」, 1995.02.08.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020800099129009&editNo. 미소장
33 동아일보, 「[방송] 박희진, MBC코미디하우스 ‘등급동화’로 인기몰이」, 2009.09.29. https://www.donga.com/news/Entertainment/article/all/20030501/7940077/1. 미소장
34 데일리중앙, 「‘춘향전’ 패러디한 코믹사극 ‘사또전’ 안방극장 점령」, 2010.02.10. http://www.daili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8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