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스피노자는 정동을 “신체의 행위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신체변용이자 그것의 관념”으로 규정한 바 있다. 그의 평행론에 입각해 이를 원용하자면, 인지적인 것이 정서에 작용하는 것과 같이 정념이 인지적 작용의 연쇄로 이어지기도 한다. 어떤 관념의 연쇄는 신체변용과 정서적 변이를 수반하며 정동적 반응의 도화선(trigger)이 될 수 있다. 텍스트-관념-신체변용-정동적 동요로 이어지는 연쇄를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학 텍스트는 정동을 단지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효과적으로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독자의 정동적 반응을 촉진한다. 즉, 문학 텍스트는 재현과 표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연쇄적으로 생성중인 텍스트-정동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텍스트가 재현이나 표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텍스트-정동이 된다면 우리는 텍스트의 전언과 더불어 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선의 경우 이미지는 기성의 인식을 뒤흔들면서 정서적 변이와 정동적 동요를 촉발시키는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한편, 정동적 문학 읽기가 단지 정서적 태도나 정동적 주제를 탐색하는 것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도 우리는 텍스트의 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는 세상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배치를 만들어내며 그 자체로 사회적 삶을 살기 때문이다.
정동적 문학 읽기는 명료한 정보와 사회사적 이해에 기반한 비판적 독서가 아니라 삶의 구체성을 전달하는 정동적 언어의 효과를 드높이는 독서에 가깝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1980년 광주를 다룬 황지우의 시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룬 김숨의 연작 소설을 예시하여 정동적 문학 읽기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중요한 것은 텍스트의 정동이 여러 신체의 연동의 결과이며 나아가 그 스스로가 여러 신체에 연동된다는 사실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브라이언 마수미 저, 조성훈 역, 『정동정치』(원제: Politics of Affect), 갈무리, 2018. | 미소장 |
2 | 브라이언 마수미 저, 조성훈 역, 「출혈」, 『가상계』(원제: Parables for the Virtual), 갈무리, 2011. | 미소장 |
3 |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저, 오윤성 옮김, 『모든 것을 무릅쓴 이미지들』(원제: Images Malgré Tout), 레베카, 2017,. | 미소장 |
4 | 피터 버크 저, 박광식 역, 『이미지의 문화사』(원제: Eyewitnessing: The Use of Image as Historical Evidence), 심산, 2009.. | 미소장 |
5 | W.J.T. 미첼 저, 김전유경 역, 『그림은 무엇을 원하는가-이미지의 삶과 사랑』(원제: What do pictures want?), 그린비, 2010. | 미소장 |
6 | Alex Houen, “Introduction: Affect and Literature”, Affect And Literature, edited by Alex Houen(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 미소장 |
7 | Benedict De Spinoza, Ethics, edited and translated by Edwin Curly, Penguin Books, 1996. | 미소장 |
8 | Jill Marsden, ‘Senses without Names: Affective Becoming in William Faukner and Carson McCullers’, Affect theory and literary critical practice: A feel for the text, edited by Stephen Ahern, Palgrave Macmillan, 2019. | 미소장 |
9 | Marta Figlerowicz, ‘Threshold’, Spaces of Feeling: Affect and Awareness in Modernist Literature, Cornell Univ. Press, 2017. | 미소장 |
10 | Theodor W. Adorno, “Benjamin’s Einbahnstrasse”, Notes to Literature Ⅱ, translated by ShierryWeber Nicholsen,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2. | 미소장 |
11 | 진태원, 「정신적 자동장치란 무엇인가?-데카르트, 스피노자, 들뢰즈」, 『철학논집』 28,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