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경상문화재연구원, 2021, 『서울 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일원 서울 올림픽스포츠 콤플렉스 조성사업부지내 유적 조사 현황 자료』. |
미소장 |
2 |
권오영, 2011,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百濟硏究』 53,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미소장 |
3 |
권오영, 2014, 「몽촌토성을 통해 본 백제왕궁의 실체」, 『한성백제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4 |
권오영, 2015, 「풍납토성 축조 전야」, 『풍납토성, 건국의 기틀을 다지다』, 2015 한성백제박물관 특별전시회 도록, 한성백제박물관⋅한신대학교. |
미소장 |
5 |
권오영⋅권도희, 2005, 『풍납토성 VI-경당지구 중층 101호 유구에 대한 보고』, 한신대학교 박물관총서 제21집, 한신대학교 박물관. |
미소장 |
6 |
권오영⋅권도희⋅박지은 2006, 『풍납토성 VII 경당지구 상층 폐기장 유구에 대한 발굴보고』, 한신대학교박물관총서 제 24권, 현대옵셋인쇄사. |
미소장 |
7 |
권오영⋅권도희⋅한지선, 2004, 『風納土城 IV: 慶堂地區 9號 遺構에 대한 發掘報告』, 한신大學校博物館叢書 第19冊, 한신대학교박물관, 현대옵셋인쇄사. |
미소장 |
8 |
권오영⋅신화영⋅박한울, 2015, 『풍납토성 XVIII: 경당지구 하층유구와 유물에 대한 보고』, 한신대학교 박물관총서 제42책, 한성백제박물관⋅한신대학교박물관, 연합프로세스. |
미소장 |
9 |
권오영⋅한지선⋅박지은⋅이은정⋅김현경⋅신화영, 2015, 『風納土城 XVII: 慶堂地區 206號 遺構에 대한 報告』, 한신대학교박물관총서 제41책, 한성백제박물관⋅한신대학교박물관, 예담. |
미소장 |
10 |
권오영⋅한지수⋅한지선⋅이미선⋅이은정⋅이선옥, 2011, 『風納土城 XII: 慶堂地區 196號 遺構에 대한 報告』, 한신대학교박물관총서 제37책, 한성백제박물관⋅한신대학교박물관, 현대옵셋인쇄사. |
미소장 |
11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풍납토성 XI 풍납동 197번지(舊 미래마을)시굴 및 발굴보사보고서』. |
미소장 |
1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한성지역 백제 토기 분류표준화방안 연구』. |
미소장 |
13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a, 『풍납토성 XIII 풍납동 197번지(舊 미래마을) 발굴조사 보고서 2』. |
미소장 |
14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b, 『풍납토성 XI 풍납동 197번지(舊 미래마을) 발굴조사 보고서 3』. |
미소장 |
15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풍납토성 V 풍납동 197번지(舊 미래마을) 발굴조사 보고서 4』. |
미소장 |
16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풍납토성 XVI 성벽의 축조공법 및 연대 규명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 |
미소장 |
17 |
김기섭, 2000,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
미소장 |
18 |
김성남, 2004,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형성과 변천에 대하여」, 『고고학』 1-3. |
미소장 |
19 |
김왕국 2013, 「百濟 漢城期 物流體系 形成과 그 社會⋅經濟的 背景 硏究」,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김장석, 2010, 「忠淸北部地域 原三國時代土器 相對編年 :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77. |
미소장 |
21 |
김장석, 2012, 「남한지역 장란형토기의 등장과 확산」,『고고학』 11-3. |
미소장 |
22 |
김장석⋅김준규, 2016,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원삼국시대-삼국시대 토기편년—중부, 호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100. |
미소장 |
23 |
박순발, 2001,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 |
미소장 |
24 |
박순발, 2003a, 「한성기 백제 도성의 문제 :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축조 시기 비정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19. 한국고대학회. |
미소장 |
25 |
박순발, 2003b, 「웅진, 사비기 백제토기 편년에 대하여」, 『백제연구』 37권0호,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미소장 |
26 |
박순발, 2006, 『백제 토기 탐구』, 주류성. |
미소장 |
27 |
박순발, 2008, 「몽촌토성 유구의 분포와 성격」, 『한성백제사 3 왕도와 방어체계』, 서울특별시 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28 |
박순발, 2009,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29 |
박순발, 2013, 「百濟 都城의 始末」, 『중앙고고연구』 13, 중앙문화재연구원. |
미소장 |
30 |
박순발, 2020, 「한반도 도시 외곽의 출현과 전개」, 『동아시아 도시 외곽의 형성, 백제왕도』, 문화재청 |
미소장 |
31 |
박중균⋅이혁희⋅강현정⋅강혜림⋅홍주희⋅허수정⋅한지수, 2016, 『몽촌토성Ⅰ-2013⋅2014년 북문지 내측 발굴조사 보고서』,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32 |
박중균⋅이혁희⋅한기민⋅김서경⋅강서은⋅김은경⋅박지효⋅박한울⋅최재도⋅한지수⋅홍정우, 2021, 『몽촌토성 Ⅳ - 2015~2018년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 삼국시대 1 -』,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33 |
박중균⋅이혁희, 2018,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고고자료의 양상과 성격」, 『백제학보』 26. |
미소장 |
34 |
박지영, 2017, 「원삼국~삼국시대 마한⋅백제 권역 취락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방사성탄소연대와 GIS를 이용한 시험적 검토」, 『한국고고학보』104. |
미소장 |
35 |
서길덕, 2022, 「서울 신천동 20-4번지 유적」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시 연계 학술대회 백제 왕도 한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미소장 |
36 |
소재윤, 2012, 「4~5세기 풍납토성의 도성 경관」, 『백제학보』 8. |
미소장 |
37 |
신종국, 2005, 「백제토기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한성기 백제 주거유적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 『사림』 24. |
미소장 |
38 |
신화영, 2016, 「백제 국가성립기 전후의 토기변화상- 풍납토성 중, 하층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신희권, 2002, 「風納土城 築造年代 試論」, 『韓國上古史學報』 37. |
미소장 |
40 |
신희권, 2010, 「百濟 漢城時代 都城制度에 관한 一考察-兩宮城制度를 中心으로-」, 『鄕土서울』 76. |
미소장 |
41 |
신희권, 2014, 「백제 한성도읍기 도성 방어 체계 연구」, 『鄕土서울』 86. |
미소장 |
42 |
심정보, 2003, 「풍납토성의 축조기법과 성격에 대한 고찰」, 『문물연구』 7. |
미소장 |
43 |
여호규, 2002, 「한성시기 백제의 도성제와 방어체계」, 百濟硏究 36. |
미소장 |
44 |
양숙자⋅이보람⋅전세원⋅심환석⋅박가영⋅임효진, 2021,「2021년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조사 성과」, 『풍납토성 축성기술의 비밀을 풀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학술대회. |
미소장 |
45 |
오용제⋅메튜 콘테, 2021, 「14C dates as data?」, 『인구변동의 고고학』, 중부고고학회. |
미소장 |
46 |
윤근일⋅신희권⋅최성애⋅신중국, 2001, 『풍납토성 I』, 국립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47 |
이성주, 2011, 「한성백제 형성기 토기유물군의 변천과 생산체계의 변동 -실용토기 생산의 전문화에 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71. |
미소장 |
48 |
이성주, 2015, 「풍납토성 토기유물군의 연대와 백제토기 형성양식의 성립」, 『호남고고학보』 49. |
미소장 |
49 |
이성준, 2017, 「한성기 백제 도성의 개발방식 연구 - 풍납동 197번지 유적(舊미래마을재건축조합부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102. |
미소장 |
50 |
이혁희, 2019, 「백제 한성기 도성지역 경관의 변화 — 마한 백제국에서 고구려 점령기까지」, 『한국고고학보』 111. |
미소장 |
51 |
이혁희, 2020,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문화층의 최신 조사 성과」, 『고고학』제 19권 제 3호. |
미소장 |
52 |
이형구, 2015, 「한성백제 왕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성백제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
미소장 |
53 |
정수옥, 2018,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과 유통 및 사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4 |
정종태⋅이희준⋅지민주, 2021, 『서울 천호동 458-3번지 유적 - 서울 천호동 (458-3번지)역세권 청년주택사업부지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비전문화재연구원, 계룡문화사. |
미소장 |
55 |
土田純子, 2014, 『백제토기 동아시아 교차편년 연구』,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학술총서 15. |
미소장 |
56 |
한성백제박물관, 2019,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완료 약보고서』. |
미소장 |
57 |
한성백제박물관, 2022, 『서울 풍납동(403-11번지 일원) 풍납2동 복합청사 신축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
미소장 |
58 |
허수정, 2019, 「百濟 漢城期 地上建物의 展開樣相 : 초석건물⋅벽주건물⋅주구부 지상건물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9 |
한강문화재연구원, 2023, 『서울 풍납동(406번지 일원) 가로주택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풍납동성도연립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한강문화재연구원. |
미소장 |
60 |
한지선, 2013, 「한성백제기 취락과 토기유물군의 변천양상 - 서울, 경기권 편년수립을 위하여」, 『중앙고고연구』 12. |
미소장 |
61 |
한지수, 2010, 「百濟 風納土城 출토 施釉陶器 연구-경당지구 196호 유구 출토품과 중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百濟硏究』 51. |
미소장 |
62 |
홍승연, 2022a, 「한성백제 왕성의 운영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3 |
홍승연, 2022b, 「몽촌토성 추정 분묘 유구의 성격 검토」, 『한성백제박물관 개관 10주년 기념특별전시 왕도한성,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전시도록』,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64 |
Bronk Ramsey C. (2009). Bayesian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Radiocarbon, 51 (1). |
미소장 |
65 |
Clayton S. C. (2020). The collapse of Teotihuacan and the regeneration of Epiclassic societies: a Bayesian approach,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59. |
미소장 |
66 |
Cowgill G. (2004). Origins and development of urbanism,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Vol. 33. |
미소장 |
67 |
Flannery, Sabloff, Flannery, Kent V, and Sabloff, Jeremy A. (2009). The Early Mesoamerican Village. Walnut Creek, Calif.: Left Coast. |
미소장 |
68 |
Goldberg A., Mychajliw A.M., Hadly, E.A. (2016). Post-invasion demography of prehistoric humans in South America. Nature 532. |
미소장 |
69 |
Laruence R. (2011). The City in the Roman W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0 |
Parnell A. C., Buck C. E., Doan T. K. (2011). A review of statistical chronology models for high-resolution, proxy-based Holocene pala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Quaternary Science Reviews, Volume 30, Issues 21-22. |
미소장 |
71 |
Yoffee N. (2005). Myths of the Archaic State: Evolution of the Earliest Cities, States, and Civiliz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