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요인 분석 = A macroscopic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 김건희 ; 김혜민 ; 임서영 ; 정제영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선행연구 3

1. 사교육의 의의와 현황 3

2. 사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Ⅲ. 연구 방법 11

1. 분석 자료 11

2. 연구 모형 및 변수 13

3. 분석 방법 14

Ⅳ. 연구 결과 15

Ⅴ. 결론 및 제언 18

참고문헌 21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 분석 = A macroscopic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김건희, 김혜민, 임서영, 정제영 p. 1-26

보기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와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 및 교사교육 요구 =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강정원, 이경진 p. 27-45

보기
청소년 죽음인식교육의 방향성 연구 = A case study of the death awareness education for Korean adolescents : 중학생 대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백미화, 우버들, 최진, 김규미, 신창호 p. 46-73

보기
2015 개정 초등 1-2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영역(대주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요소 분석 = An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in the domains(major theme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grades 1-2 안지영 p. 74-100

보기
뉴스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와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ews on childre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s and story comprehension 주봉관, 신미영, 정현선 p. 101-124

보기
유아의 놀이성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layfulness 윤수원, 이정화 p. 125-157

보기

참고문헌 (8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가지표체계[웹사이트].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에서2022. 10. 17. 인출. 미소장
2 국가통계포털[웹사이트]. https://kosis.kr/index/index.do 에서 1인당 사교육비, 사설학원수, 방과후학교 참여율, EBS 교재 구입비율 2022. 10. 20 인출. 미소장
3 국가지표체계[웹사이트]. https://www.index.go.kr/progress 에서 물가상승률 2022. 10. 20. 인출. 미소장
4 교육인적자원부(2004. 02. 17).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5 교육과학기술부(2009). 공교육 경쟁력 향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6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 사교육비 경감대책.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7 교육부(2013).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 발표. 서울: 교육부. 미소장
8 교육부(2014). 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 서울: 교육부. 미소장
9 교육부(2018). 학생부 간소화를 위한 [학교생활기록 작성 관리지침] 일부개정안 행정예고및 학생부 신뢰·공정성 제고 방안 서울: 교육부. 미소장
10 교육부(2019). 인구구조 변화, 4차 산업혁명 대응 대학혁신 지원 방안 발표 보도자료. 서울: 교육부. 미소장
11 교육부(2020). 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서울: 교육부. 미소장
12 교육부(2021). 2021 방과후학교 운영 길라잡이(연구자료 CRM 2020-116). 서울: 교육부. 미소장
13 교육부(2022). 2021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방안 보도자료. 서울: 교육부. 미소장
14 교육통계서비스[웹사이트]. https://kess.kedi.re.kr/index에서 국내대학 입학정원 2022. 10. 20. 인출. 미소장
15 동아일보(2022. 3. 14). 정부 '사교육비 역대 최다'에 학원단체 "학원때문 아냐" 반발.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20314/112321861/1에서 2022.10.17 인출. 미소장
16 김경근, 황여정(2009). 중학생의 사교육 수요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5(1), 77-105. 미소장
17 김구회, 김기홍, 김재태(2016). 학군 이주수요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11개학군을 대상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4), 157-171. 미소장
18 김명랑, 권재기, 박인우(2014). 방과후학교 참여 및 EBS 시청이 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선형성장모형을 통한 종단 연구 자료 분석. 교육방법연구, 26(4), 771-789. 미소장
19 김범수, 강소랑(2017). 학원 교습시간 규제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통상연구, 22(2), 73-100. 미소장
20 김상유, 김대현, 박여진, 최혜림(2014). 입학전형의 다양성과 간소화 정책에 대한 인식도조사. 입학전형연구 3, 1-33. 미소장
21 김숙향, 김혜선(2004). 소비자물가변화에 따른 비목멸 소비지출의 상호작용-준이상수요체계(LA/AIDS) 모델로 추정. 소비문화연구, 7(4), 129-145. 미소장
22 김영화(2004). 사교육 선호 경향 및 선호 요인 분석 연구. 교육학연구, 42(2), 335-365. 미소장
23 김은정(2007).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 부모자녀 관계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부모자녀 관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5), 134-162. 미소장
24 김정근(2019). 사교육비경감 정책문제 정의의 타당성 분석: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정부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41-368. 서울: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미소장
25 김정근(2020). 사교육비 경감대책으로서 공교육 정상화 정책 논증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3), 139-179. 미소장
26 김진영(2008). 우리나라 가구 사교육비 지출의 특징과 사교육 정책에 대한 함의. 교육재정경제연구, 17(3), 1-28. 미소장
27 김태우, 안선회(2015). 수능-EBS연계정책의 영향 및 정책인과가설 평가: 학생과 교사의인식 조사를 근거로. 한국교육학연구, 21(3), 197-232. 미소장
28 김현진, 김미혜(2014). 학년에 따라 증가하는 중학생의 사교육비 지출 잠재성장모형(LGM)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2(2), 85-106. 미소장
29 김혜자, 김혜진, 박성호, 백승주, 유경훈, 한효정, 서은경, 유민상, 이안나(2020). 사교육 모니터링 체계 구축방안 연구(RR2020-32).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0 김희삼(2019). 사교육 수요에 관한 행태적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21(4), 187-235. 미소장
31 노명순, 윤용화, 김종태(2010). 수도권지역의 고3학생 수 예측과 대학입학정원수와의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3), 523-534. 미소장
32 문상균, 배한나, 최재성(2016). 학원정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사교육 공급에 관한 분석. 조사연구, 17(3), 81-108. 미소장
33 박명희, 백일우(2020). 사교육 이해. 서울: 학지사. 미소장
34 박소영(2008). 방과후 학교와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교육행정학연구, 26(1), 391-411. 미소장
35 박소영(2017).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 전후 사교육 영향력 비교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7(7), 79-87. 미소장
36 박소현, 이금숙(2011). 사교육 시설의 수요와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 수도권 지역사설학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1), 33-51. 미소장
37 박윤수, 강창희, 고영우(2018). 대학규제와 사교육에 관한 연구(연구보고서 2018-09). 충북: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8 박윤수, 강창희, 고영우(2021). 지역별 대학 입학경쟁률과 사교육 투자. 노동경제논집, 44(4), 1-28. 미소장
39 박철성(2011). 학부모의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사교육 수요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의 분석, 17(1), 73-119. 미소장
40 박현정, 상경아, 강주연(2008).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평가연구, 21(4), 107-127. 미소장
41 박현정, 변상민(2021). 중학생의 사교육 참여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분석:지연효과, 횡단효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22(1), 61-95. 미소장
42 반상진, 신현석, 노명순, 조영재, 박민정, 김영상(2013).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조정 및 대학구조개혁 대책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0(4), 189-211. 미소장
43 배상훈, 김성식, 양수경(2010). 방과후학교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및 학업성취 수준과의관계. 교육행정학연구, 28(2), 55-79. 미소장
44 변상민, 신중휘, 양준혁(2018). 사교육 참여 여부 및 시간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9(4), 913-944. 미소장
45 변수용, 김경근(2010).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가 사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0(3), 51-81. 미소장
46 변종임, 조순옥, 최종철, 박현정, 김인숙, 박효진, 노희준(2009). 2009년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 조사 및 성과 분석 연구(연구보고 RR-2009-13).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47 성영애, 최현자, 김소연(2014).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본 소비생활의 변화: 1990년-2010년. 소비문화연구, 17(4), 223-252. 미소장
48 송성숙, 박수정, 윤지영(2016). 다층모형을 이용한 사교육 참여요인 연구. 교육문화연구, 22(4), 109-134. 미소장
49 신현석, 윤지희(2020). 시스템 사고에 의한 사교육비 증가 현상 분석: 박근혜정부와 문재인정부를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7(4), 87-123. 미소장
50 신혜진(2017). 고교유형별 서울시 학부모의 사교육비지출의 종단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5(4), 259-285. 미소장
51 안선회(2010).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 인과가설 분석연구. 교육정치학연구, 17(3), 81-113. 미소장
52 안선회(2015).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 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1(6), 39-69. 미소장
53 안수진, 안선회(2015). 2015학년도 대입전형간소화정책의 효과성과 타당성 평가: 학생ㆍ학부모ㆍ교사의 효과성 인식에 근거한 인과가설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8(4), 233-269. 미소장
54 여영기, 엄문영(2015). 사교육 진화의 양상과 원인을 통해 본 공교육 정상화의 방향. 교육종합연구, 13(4), 157-183. 미소장
55 유재봉, 강문숙(2020). 사교육 문제와 사교육 경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육문화연구, 26(3), 163-189. 미소장
56 윤용화, 김종태(2010). 수도권지역의 고3학생 수 예측과 대학입학정원수와의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3), 523-534. 미소장
57 윤유진(2017).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 및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효과. 방과후학교연구, 4(1), 37-61. 미소장
58 이광현(2018). 학생부종합전형의 쟁점분석과 대입제도 개선방향. 교육사회학연구, 28(3), 57-95. 미소장
59 이덕난, 유지연(2022). 초중고교 사교육비 변화 추이 분석 및 향후 과제. NARS 현안분석. 제 247호.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60 이미림, 박상욱, 김병관(2020). 다층 모형을 활용한 사교육경험이 대학입학전형 준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화와융합, 42(10), 1107-1134. 미소장
61 이수정, 조원기(2014).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7(3), 125-150. 미소장
62 이수정(2018).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개혁에 대한 쟁점 분석: ‘학생부종합전형’ 도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923-944. 미소장
63 이종학, 김유영, 윤마병(2019). 예비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통한 교육대학 입학과사교육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132-143. 미소장
64 이훈자(2012). 소비자물가지수의 시계열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3), 535-542. 미소장
65 이혜정 , 송종우(2014). 초,중,고 사교육비 영향요인 분석. 응용통계연구, 27(7), 1125-1137. 미소장
66 임소현, 황준성, 김은영, 김혜진, 백승주, 김혜자, 이승우(202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21)(RR2021-33).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67 임연기(2015). 한국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특성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4), 125-145. 미소장
68 임종헌, 김병찬(2014). EBS수능연계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52(3), 175-203. 미소장
69 임현정, 김양분(2012). EBS-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1(4), 155-177. 미소장
70 중앙일보(2022. 01. 04). 대학 정시모집,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더 벌어지고 미달 늘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8120#home에서 2022.10.17 인출. 미소장
71 중앙일보(2022. 09. 20). 대입 수시모집 경쟁률,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3년새 최고.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2997#home에서 2022.10.17 인출. 미소장
72 전용덕(2013). 교육규제의 경제 분석. 제도와 경제, 7(1), 89-135. 미소장
73 정동욱, 박현정, 하여진, 박민호, 이호준, 한유경(2012). EBS 교육 프로그램의 사교육 경감효과 분석: 서울특별시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0(3), 21-42. 미소장
74 조영진, 권순형, 김도기, 문영빛(2015).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교육 결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1), 287-308. 미소장
75 지은림(2004). 우리나라 대학입시 과열경쟁 현상에 대한 인식 조사. 교육평가연구, 17(2), 147-164. 미소장
76 지은림, 김경숙, 차정민, 정연재(2014). 전형유형별 사교육 요인 탐색. 입학전형연구, 3, 111-128. 미소장
77 채재은, 임천순, 우명숙(2009). 방과후학교와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8(3), 41-66. 미소장
78 최승진(2017). 수능연계가 EBS 방송시청 및 사교육비 경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7(3), 157-183. 미소장
79 최항석(2014). 사교육의 문제점 및 경감 대책 분석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연구, 4(3), 1-14. 미소장
80 한영주, 신을진, 박순주(2018).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들의 사교육 탈출기: 사교육 경감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21(2), 33-7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