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經國大典』 | 미소장 |
2 | 『純祖實錄』 | 미소장 |
3 | 권내현, 2004, 『조선후기 평안도 재정 연구』, 지식산업사 | 미소장 |
4 | 권내현, 2014,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어느 노비 가계 2백년의 기록』, 역사비평사 | 미소장 |
5 | 고동환, 2013,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 미소장 |
6 | 김건태, 2008, 『조선후기 경자양전 연구』, 혜안 | 미소장 |
7 | 金大濬, 1973, 『財政學-理論과 政策』(개정판), 日新社 | 미소장 |
8 | 김덕진, 2002, 『조선후기경제사』, 선인 | 미소장 |
9 | 김덕진, 2008, 『대기근-조선을 뒤엎다』, 푸른역사 | 미소장 |
10 | 김옥근, 1984, 『朝鮮王朝財政史硏究』, 一潮閣 | 미소장 |
11 | 김옥근, 1987, 『朝鮮王朝財政史硏究Ⅱ』, 一潮閣 | 미소장 |
12 | 김옥근, 1988, 『朝鮮王朝財政史硏究Ⅲ』, 一潮閣 | 미소장 |
13 | 김인걸, 2000,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 역사비평사 | 미소장 |
14 | 김재호, 2010,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 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15 | 김재호, 2010,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16 | 망원한국사연구실, 1988, 『1862년 농민항쟁 : 중세말기 전국 농민들의 반봉건투쟁』, 동녘 | 미소장 |
17 | 문광균, 2019, 『朝鮮後期慶尙道財政硏究』, 민속원 | 미소장 |
18 | 문용식, 2001, 『朝鮮後期賑政과 還穀運營』, 경인문화사 | 미소장 |
19 | 박현순, 2003, 『단성호적대장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미소장 |
20 | 손병규, 2008,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재발견: 17~19세기 지방재정사 연구』, 역사비평사 | 미소장 |
21 | 손병규・송양섭 편, 2013,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2 | 손병규, 2018, 『19세기 지방재정운영』, 경인문화사 | 미소장 |
23 | 송양섭, 2006, 『朝鮮後期屯田硏究』, 경인문화사 | 미소장 |
24 | 송양섭, 2012, 『영조의 국가정책과 정치이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미소장 |
25 | 안병태, 1975 『朝鮮近代經濟史硏究』, 日本評論社 | 미소장 |
26 | 왕현종, 2008, 『조선후기 경자양전 연구』, 혜안 | 미소장 |
27 | 윤용출, 1995, 『한국역사연구입문』, 풀빛 | 미소장 |
28 | 이영훈, 1988,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 미소장 |
29 | 이정철, 2010, 『대동법-조선 최고의 개혁』, 역사비평사 | 미소장 |
30 | 이철성, 2004, 『17・18세기 전정운영론과 전세제도 연구』, 선인 | 미소장 |
31 | 이헌창, 2010,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 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32 | 정연식, 1987,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하』, 한울 | 미소장 |
33 | 정연식, 2015, 『영조 대의 양역정책과 균역법』,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미소장 |
34 | 조영준 역, 2013, 『시폐: 조선후기 서울 상인의 소통과 변통』, 아카넷 | 미소장 |
35 | 조영준, 2016, 『조선후기 왕실재정과 서울상업』, 소명출판 | 미소장 |
36 | 조영준・최주희 역, 2019, 『공폐: 조선후기 공물 제도 운영의 병폐』, 아카넷 | 미소장 |
37 | 崔在錫, 1983, 『韓國家族制度史硏究』, 一志社 | 미소장 |
38 | 한국역사연구회, 1990, 『조선정치사 1800~1863』 上・下, 청년사 | 미소장 |
39 | 한국역사연구회 토지대장연구반, 2008, 『조선후기 경자양전 연구』, 혜안 | 미소장 |
40 | 호적대장연구팀, 2003, 『단성 호적대장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미소장 |
41 | 田川孝三, 1964, 『李朝貢納制の硏究』, 東洋文庫 | 미소장 |
42 | 오드 아르네 베스타, 옥창준 옮김, 2022, 『제국과 의로운 민족Empire and Righteous Nation』, 너머북스 | 미소장 |
43 | 칼 폴라니, 홍기빈 역, 2009, 『거대한 전환 - 우리 시대의 정치 경제적 기원The Great Transformation -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길 | 미소장 |
44 | Ramon Pacheco Pardo, 2002, Shrimp to Whale, London: Hurst | 미소장 |
45 | 강만길, 2000, 「총설」『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46 | 고동환, 2008, 「조선후기 王室과 시전상인」『서울학연구』 30 | 미소장 |
47 | 권기중, 2011, 「조선후기 부세의 운영과 감사의 역할」『역사와 현실』 81 | 미소장 |
48 | 권내현, 2015, 「내재적 발전론과 조선후기사 인식」『역사비평』 111 | 미소장 |
49 | 김건태, 2002, 「朝鮮後期戶의 構造와 戶政運營-丹城戶籍을 중심으로-」『大東文化硏究』 40 | 미소장 |
50 | 김건태, 2003, 「戶口出入을 통해 본 18세기 戶籍大帳의 編制方式-丹城戶籍大帳을 중심으로-」『大東文化硏究』 44 | 미소장 |
51 | 김건태, 2019, 「결부제의 사적 추이」『大東文化硏究』 108 | 미소장 |
52 | 김경란, 2003, 『朝鮮後期『丹城縣戶籍大帳』의 女性把握實態硏究』, 고려대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김경란, 2007, 「조선 후기 良役政策의 전개와 匠人파악의 변화」『韓國史學報』 29 | 미소장 |
54 | 김경란, 2008, 「조선후기 단성지역의 사회상: 조선후기 무성층의 유성화과정」『大東文化硏究』 62 | 미소장 |
55 | 김동영, 2022, 「18~19세기 대구 지역의 匠人직역 파악과 변화 양상 -扇子匠을 중심으로-」『朝鮮時代史學報』 101 | 미소장 |
56 | 김동진, 2015, 「17세기 후반~18세기 초 호속목 혁파와 재정 운영의 변화-생태환경과 국제정세 변화를 중심으로-」『생태환경과 역사』 1 | 미소장 |
57 | 김미성, 2014, 「18~19세기 노동력 조달 전문 軍契貢人의 형성과 운영」『朝鮮時代史學報』 70 | 미소장 |
58 | 김미성, 2018, 「조선후기 시전인과 공인의 병존관계 - 지전-지계, 진사전-진사계 사례를 중심으로-」『서울학연구』 73 | 미소장 |
59 | 김미성, 2020, 「조선 현종~숙종 연간 기후 재난의 여파와 유민(流民) 대책의 변화」『역사와 현실』 118 | 미소장 |
60 | 김성우, 2003, 「조선후기의 신분제-해체국면 혹은 변화과정?」『역사와 현실』 48 | 미소장 |
61 | 김소라, 2021, 『양안의 재해석을 통해 본 조선후기 전세 정책의 특징』,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2 | 김소라, 2020, 「읍양안과 주판으로 본 19~20세기 전결세 수취 양상: 경상도 언양현 삼동면 금곡리 사례를 중심으로」『한국문화』 91 | 미소장 |
63 | 김소라, 2022, 「불과 물: 조선후기 이상저온 현상 속 한성부의 온돌 확산과 청계천 준설」『朝鮮時代史學報』 102 | 미소장 |
64 | 김재호, 2013, 「조선후기 군사재정의 수량적 기초: 규모, 구성, 원천 -『賦役實摠』의 분석을 중심으로-」『朝鮮時代史學報』 66 | 미소장 |
65 | 김정인, 2010, 「내재적 발전과 민족주의」『역사와 현실』 77 | 미소장 |
66 | 김준형, 2015, 「19세기 전반 軍役充定과정과 각 계층의 대응」『韓國史硏究』 170 | 미소장 |
67 | 김태웅, 2014, 「조선말・대한제국기 漢城府財政構造의 변화와 歲出入의 추이」『서울과 역사』 87 | 미소장 |
68 | 김하임, 2014, 「조선후기 족계의 재정운영 -남평 문씨 『족계용하기(族契用下記)』를 중심으로-」『역사와 현실』 91 | 미소장 |
69 | 나영훈, 2017, 『조선시대 都監의 성립과 변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0 | 노영구, 2001, 「朝鮮後期戶籍大帳硏究現況과 電算化의 一例」『大東文化硏究』 39 | 미소장 |
71 | 德成外志子, 2001, 『朝鮮後期貢納請負制와 中人層貢人』,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2 | 문광균, 2012, 「17세기 경상도지역 공물수취체제와 영남대동법의 실시」『韓國史學報』 46 | 미소장 |
73 | 문광균, 2013, 「영남대동법 시행 초기 지방재정의 개편과 그 성격」『韓國史硏究』 161 | 미소장 |
74 | 문광균, 2014, 「17~18세기 경상도 세곡운송체계의 변화와 三漕倉의 설치」『大東文化硏究』 86 | 미소장 |
75 | 문광균, 2015,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전세 조달방식의 변화와 作錢制의 실시」『朝鮮時代史學報』 72 | 미소장 |
76 | 문광균, 2015, 「조선후기 拯劣米징수제도의 변화」『大東文化硏究』 92 | 미소장 |
77 | 문광균, 2017, 「19세기 후반 경상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기선(汽船) 도입」『大丘史學』 129 | 미소장 |
78 | 박범, 2011, 「17~18세기 의주부의 경제상황과 재정운영의 변화」『朝鮮時代史學報』 58 | 미소장 |
79 | 박범, 2015, 「조선후기 糧餉廳의 屯田수취방식 변화와 雜費운영」『大東文化硏究』 92 | 미소장 |
80 | 박범, 2016, 「장용영 내영의 鄕色提調역할과 재정확보 과정」『역사와 현실』 102 | 미소장 |
81 | 박범, 2021, 「19세기 전라도 재실분등의 추세와 자연재해의 지역성」『朝鮮時代史學報』 97 | 미소장 |
82 | 방기중, 1986, 「조선후기 수취제도・민란연구의 현황과 『국사』교과서의 서술」『歷史敎育』 39 | 미소장 |
83 | 소순규, 2017, 「고려 말 조선초 재정구조의 연속성과 공납제 운영」『역사비평』 120 | 미소장 |
84 | 이민우, 2022, 「조선 초기 조용조에 대한 이해와 부세제도의 개혁방향」 『史林』 79 | 미소장 |
85 | 손병규, 2002, 「18세기 지방의 私奴軍役파악과 운영」『韓國史學報』 13 | 미소장 |
86 | 손병규, 2007, 「조선시대 국가경제의 운영원리 -국가재분배의 관점에서-」『朝鮮時代史學報』 42 | 미소장 |
87 | 손병규, 2011, 「총론 - 조선후기 비총제적 재정체계의 형성과 의미」『역사와 현실』 81 | 미소장 |
88 | 손병규, 2016, 「18~19세기 지방재정운영에 있어 자율적 납세조직의 활동」『韓國史學報』 65 | 미소장 |
89 | 송기중, 2015, 「대동법의 실시와 軍船役규정의 정비 -충청・전라・경상도를 중심으로-」「朝鮮時代史學報」72 | 미소장 |
90 | 송기중, 2016, 「균역법 실시와 어영청 재정 운영의 변화」『역사와 현실』 102 | 미소장 |
91 | 송기중, 2017, 「균역법의 실시와 균역청의 병조급대 시행」『朝鮮時代史學報』 82 | 미소장 |
92 | 송양섭, 2008, 「총론 - 조선후기 재정사 연구와 『부역실총』」『역사와 현실』 70 | 미소장 |
93 | 송양섭, 2008, 「『부역실총』에 나타난 재원파악 방식과 재정정책」『역사와현실』 70 | 미소장 |
94 | 송양섭, 2010, 「균역법 시행기 雜役價의 詳定과 지방재정 운영의 변화: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韓國史學報』 38 | 미소장 |
95 | 송양섭, 2011, 「조선후기 지방재정과 계방의 출현: 제역 및 제역촌과 관련하여」『역사와 담론』 59 | 미소장 |
96 | 송양섭, 2017, 「1888년 영해부 호구분쟁에 나타난 戶政運營의 일단 -호적색 윤일찬의 ‘捧賂減戶’에 대한 마을민의 등소 사례-」『朝鮮時代史學報』 82 | 미소장 |
97 | 송양섭, 2021, 「19세기 거제 구조라리의 부세운영과 촌락사회의 동향」『大東文化硏究』 114 | 미소장 |
98 | 송양섭, 2021, 「19세기 社倉・社還制운영과 향촌민의 진휼참여 -순천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朝鮮時代史學報』 97 | 미소장 |
99 | 송찬섭, 2000, 「숙종대 재정추이와 경자양전」『역사와 현실』 36 | 미소장 |
100 | 심재우, 2006, 「단성현 호적대장에 등장하는 장애인의 존재양태」『朝鮮時代史學報』 36 | 미소장 |
101 | 엄기석, 2021, 「17~18세기 황해도 상정법의 실시와 정비」『史學硏究』 141 | 미소장 |
102 | 엄기석, 2023, 『조선후기 황해도 상정법 시행과 지방재정』,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3 | 여민주, 2020, 「조선후기 서울의 땔감 유통」『서울과 역사』 106 | 미소장 |
104 | 염정섭, 2016, 「조선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지역과 역사』38 | 미소장 |
105 | 염정섭, 2019,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韓國史硏究』 184 | 미소장 |
106 | 염정섭, 2020,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宮房田의 변화 추이 -折受・免稅에 대한 논의와 정책을 중심으로-」『인문학연구』 60 | 미소장 |
107 | 오인택, 2000, 「경자양전의 시행조직과 양안의 기재 형식」『역사와 현실』 38 | 미소장 |
108 | 유현재, 2016, 「18세기 願納의 증가와 동전의 재정 활용」『한국문화』 76 | 미소장 |
109 | 유현재, 2016, 「조선후기 금위영의 재정운영과 그 성격」『역사와 현실』 102 | 미소장 |
110 | 유현재, 2018, 「19세기 중반 호조의 재정지출의 성격과 특징 -‘用下條’ 분석을 중심으로-」『전북사학』 54 | 미소장 |
111 | 윤은미, 2005, 「朝鮮後期慶尙監營의 財政構造의 運營」,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2 | 이영훈, 2004, 「朝鮮時代의 主戶-挾戶關係再論」『古文書硏究』 25 | 미소장 |
113 | 임성수, 2013,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호조의 수입구조 변화와 그 영향」『역사와 현실』 9 | 미소장 |
114 | 임성수, 2015, 「조선후기 田結稅징수와 중간비용 연구」『大東文化硏究』 92 | 미소장 |
115 | 임성수, 2017, 「조선후기 호조의 田稅부과와 給災운영 변화」『한국문화』 78 | 미소장 |
116 | 임성수, 2017, 「17~18세기 隱結・漏結・餘結의 존재양태와 정부의 대응변화」『歷史學報』 234 | 미소장 |
117 | 임성수, 2017, 「18~19세기 隱餘結의 파악과 지방재정운영」『東方學志』 181 | 미소장 |
118 | 임성수, 2017, 「17세기 호조의 포목 확보책과 田稅作木시행」『民族文化硏究』 74 | 미소장 |
119 | 임성수, 2019, 「17~18세기 과세지 확대와 宮房田규제 강화」『한국문화』 87 | 미소장 |
120 | 임성수, 2019, 『朝鮮後期戶曹의 財政運營硏究: 加入・鑄錢을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1 | 이영호, 2011,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韓國史硏究』 152 | 미소장 |
122 | 이영훈, 1996,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과 특질」『경제사학』 21 | 미소장 |
123 | 이용기, 2007,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 洞契와 마을자치』,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4 | 이유진, 2021, 『조선후기 - 대한제국기 호구 파악 방식의 변화 양상』,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5 | 이헌창, 2007, 「한국사 파악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문제점」『한국사 시민강좌』 40 | 미소장 |
126 | 이헌창・조영준, 2008, 「조선 후기 貢價의 체계와 추이」『韓國史硏究』 142 | 미소장 |
127 | 장경준, 2006,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승려 등재배경과 그 양상」『大東文化硏究』 54 | 미소장 |
128 | 전민영, 2016, 「18세기 말~19세기 해촌의 공동납 운영방식 -거제 구조라리 고문서를 중심으로-」『古文書硏究』 48 | 미소장 |
129 | 전민영, 2017, 「19세기 구조라리 마을고문서와 공동생활방식 -여객주인 어조를 둘러싼 문제를 중심으로-」『古文書硏究』 51 | 미소장 |
130 | 전상욱, 2018, 「17세기 함경도지역 공물수취체계와 상정법의 시행」『韓國文化』 82 | 미소장 |
131 | 전상욱, 2022, 「17세기 전반 강원도 대동법의 시행과 운영」『朝鮮時代史學報』 103 | 미소장 |
132 | 전상욱, 2022, 『조선후기 강원도지역의 貢納制개혁과 大同・詳定法시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3 | 정수환, 2021, 「18세기 경주 갓뒤마을 동계의 말림갓을 위한 호혜와 협동」『歷史學報』 252 | 미소장 |
134 | 정승진, 2006, 「나주 초동 동계의 장기지속과 변화, 1601~2001」『大東文化硏究』 54 | 미소장 |
135 | 정연식, 1989, 「균역법 시행 이후의 지방재정의 변화」『震檀學報』 67 | 미소장 |
136 | 정진영, 2001, 「조선후기 호적대장 ‘호’와 그 경제적 기반」『역사와 현실』 39 | 미소장 |
137 | 정진영, 2002, 「조선후기 호적 ‘호’의 편제와 성격」『大東文化硏究』 40 | 미소장 |
138 | 조낙영, 2015, 『조선후기 유수부 재정연구: 강화・광주・화성유수부를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9 | 조영준, 2008, 『19세기 왕실재정의 운영실태와 변화양상』,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0 | 조영준, 2008, 「19세기 왕실재정의 위기상황과 전가실태」『經濟史學』 44 | 미소장 |
141 | 조영준, 2010, 「조선후기 ‘雜稅’ 연구의 현황과 과제」『奎章閣』 36 | 미소장 |
142 | 조영준, 2011, 「『賦役實摠』의 雜稅통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巫稅・匠稅・海稅・場稅를 중심으로-」『한국문화』 54 | 미소장 |
143 | 최윤오, 2000, 「朝鮮後期의 量案과 行審冊」『역사와 현실』 36 | 미소장 |
144 | 최종석, 2016, 「내재적 발전론 ‘이후’에 대한 몇 가지 고민」『역사와 현실』 100 | 미소장 |
145 | 최주희, 2011, 「18세기 중반 『度支定例』類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의도」『역사와 현실』 81 | 미소장 |
146 | 최주희, 2012, 「15~16세기 別進上의 상납과 운영 -강원・경상지역 사례를중심으로-」『韓國史學報』 46 | 미소장 |
147 | 최주희, 2012, 「조선후기 왕실・정부기구의 재편과 서울의 공간구조」『서울학연구』 49 | 미소장 |
148 | 최주희, 2012, 「18세기 중반 定例類에 나타난 王室供上의 범위와 성격」『藏書閣』 27 | 미소장 |
149 | 최주희, 2014, 『조선후기 宣惠廳의 운영과 中央財政構造의 변화 -재정기구의 합설과 지출정비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0 | 최주희, 2014, 「영조대 중반 균역법 시행논의와『宣惠廳定例』의 간행」『韓國史硏究』 164 | 미소장 |
151 | 최주희, 2014, 「17~18세기 왕실・정부의 연료 소비 증대와 땔감 조달 방식의 변화」『역사와 현실』 84 | 미소장 |
152 | 최주희, 2015, 「대동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科外別役의 문제」『大東文化硏究』 92 | 미소장 |
153 | 최주희, 2016, 「균역법 시행 전후 훈련도감의 재원확보 양상」『역사와 현실』 102 | 미소장 |
154 | 최주희, 2017, 「광해군대 경기선혜법의 시행과 선혜청의 운영」『韓國史硏究』 176 | 미소장 |
155 | 최주희, 2018, 「1826년 『例式通攷』의 편찬과 왕실재정의 정비 노력」『역사와 현실』 107 | 미소장 |
156 | 최주희, 2020, 「17~18세기 중반 중앙정부의 各司員役감축 노력과 그 의의」『朝鮮時代史學報』 94 | 미소장 |
157 | 최주희, 2022, 「대동법 시행기 進上制의 정비와 영조대 초반 『進上別單謄錄』의 작성」『韓國史學報』 86 | 미소장 |
158 | 허원영, 2013,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順天府西面家坐冊』(1774) 분석을 중심으로-」『역사문화연구』 47 | 미소장 |
159 | 四方博, 1938, 「李朝人口に關する身分階級別的觀察」『朝鮮經濟の硏究』第3, 京城帝國大學法學會論集第10冊 | 미소장 |
160 | 安達義博, 1976, 「18・19世紀前半の大同米・布・錢の徵收支出と國家財政」『朝鮮史硏究會論文集』 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