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학·지역학의 발흥과 한국사연구 = Korean history research in the rise of Korean studies and regional studies 오영교 p. 1-34
21세기 한국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지평의 확장 =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ancient history in the 21st century and expansion of research horizons : new, detailed and crossing boundaries : 새롭게, 세밀하게 그리고 경계를 넘어 한영화 p. 35-57
공간과 자료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길로 들어선 고려사 연구 = A study of Goryeo history that has entered a new path beyond the boundaries of space and data 문경호 p. 59-104
2000년대 이후 조선후기 재정사 연구의 흐름과 과제 = The flow and challenges of financial history resear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 2000s 최주희 p. 105-153
한국근대사 연구의 주요 분석개념에 대한 재고 = A review of the major analysis concepts of Korean modern history research : modernity, coloniality, and publicity : 근대성, 식민지성, 공공성 김윤희 p. 155-190
한국현대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 Trends and prospects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search : the research history of aid and development : 원조·개발·발전사 연구를 중심으로 이동원 p. 191-218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영역변천과 진번의 이동 = Changes in the territory of old Joseon and migration of Jinbeon in 3th and 2rd century BCE 김기민 p. 219-266
여말선초 덕치 근본·형벌 보조의 정치론과 감흥적 교화 = Virtue precedes penalty and edification by perception and emotion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early Joseon Dynasty 도현철 p. 267-304
조선후기 사찰의 토지 소유와 변동 = Land ownership and variation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Joseon period : focusing on the case of Daedunsa Temple(大芚寺) in Haenam(海南) : 해남 대둔사(大芚寺)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기 p. 305-338
일제 통감부기 관습조사와 응답자의 계층 분석 = The custom survey of the residency-general and the social class analysis of Korean interviewee 이승일 p. 339-370

1950~60년대 '풍기 단속'과 여학생 = Public moral control and female students in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as reflected in Icheon Yangjeong Girls' School student guidance materials : 이천의 양정여중고 학생지도자료를 중심으로 소현숙 p. 371-408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高麗史』 미소장
2 『高麗史節要』 미소장
3 『朝鮮王朝實錄』 미소장
4 『謹齋集』 미소장
5 『牧隱集』 미소장
6 『三峯集』 미소장
7 『陶隱集』 미소장
8 『益齋亂藁』 미소장
9 『陽村集』 미소장
10 『春亭集』 미소장
11 『論語』 미소장
12 『孟子』 미소장
13 『書經』 미소장
14 『周易』 미소장
15 『禮記』 미소장
16 『中庸』 미소장
17 『近思錄集解』 미소장
18 강문식, 2008, 『권근의 경학사상 연구』, 일지사 미소장
19 金容燮, 2000, 『韓國中世農業史硏究』, 지식산업사 미소장
20 도현철, 1999, 『고려말 사대부의 정치사상연구』, 일조각 미소장
21 송웅섭・최봉준 외, 2019. 『고려에서 조선으로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비평사 미소장
22 안재순, 1999, 『세종문화사대계』 4(윤리・교육・철학・종교편) 미소장
23 李景植, 1986,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 일조각 미소장
24 정재훈, 2005,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 연구』, 태학사 미소장
25 陳媛, 2012, 『주자의 소학론과 한・중에서의 변용』, 민속원 미소장
26 한영우, 1983, 『정도전사상의 연구』, 서울대출판부 미소장
27 김인호, 1998, 「여말선초 군주수신론과 『대학연의』」『역사와 현실』 29 미소장
28 김훈식, 1986, 「여말선초의 민본사상과 명분론」『애산학보』 4 미소장
29 김훈식, 1989, 「15세기 민본 이데올로기와 그 변화」『역사와 현실』 1 미소장
30 도현철, 2018,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문치 확대」『역사비평』 124 미소장
31 도현철, 2020, 「조선초기 민 인식의 변화와 언문을 통한 유교 문명화」『동방학지』 193 미소장
32 도현철, 2022, 「고려말 유학자의 성장과 재상정치론」『한국사상사학』 72 미소장
33 文喆永, 1982, 「麗末新興士大夫의 新儒學수용과 그 특징」『韓國文化』 3 미소장
34 박용국, 2021. 「고려말 조선초 진주지역 ‘父老’의 존재와 성격」『영남학』 77 미소장
35 신동훈, 2021, 「여말선초 향교 건립의 추이」『한국사학사학보』 43 미소장
36 윤훈표, 2004, 「법과 규범, 관행에 대한 의식」『동방학지』 124 미소장
37 윤훈표, 2022, 「고려말기 형정의 상황과 개편 방향」『학림』 50 미소장
38 이봉규, 2010,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퇴계학보』128 미소장
39 이봉규, 2013, 「인륜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泰東古典硏究』31 미소장
40 이상민, 2020, 「15세기 지방 유식자의 활용과 평민교화」『역사와 현실』118 미소장
41 이상민, 2022, 「15세기 율문 교육과 형률적 교화 모색」『역사학보』 253 미소장
42 정순우, 2010, 「麗末鮮初‘私置書齋’의 역할과 성격」『정신문화연구』 33-4 미소장
43 조지만, 1999, 「《대명률》의 성립과 수용」『법사학연구』 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