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대상 심리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과 비영리민간단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15개의 영역에서 55개의 심리사회서비스 역할을 제시하였고, 병원 기반 또는 비영리민간단체에서 근무하는 42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각 역할의 중요성과 수행 정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병원과 비영리민간단체 사회복지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기관유형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심리사회서비스 제공 역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병원과 비영리민간단체의 사회복지사들이 수행하는 개인 및 기관 차원에서의 서비스 제공 역할 정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기관 내 소아청소년 대상 심리사회서비스 제공자들의 협력을 도모하여 서바이버십 궤적에서의 서비스의 연계성과 서바이버십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perceptions of hospital social workers and 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ocial workers who provide psychosocial services for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A literature analysis led to the development of 55 roles in psychosocial care across 15 service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2 social workers working in either hospital settings or community-based NGOs.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hospital-based and NG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importance the survey participants felt about the role of providing psychosocial services at different setting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the degree of current practice levels at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levels between hospital-based and NGO groups. This study indicates that service continuity and quality could be improved by promoting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and NGOs across the cancer survivorship trajecto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아청소년암 경험자 대상 심리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과 비영리민간단체 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 Role perceptions of hospital social workers and NGO social workers providing psychosocial service for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김민아, 최권호, 유정원, 박가랑 p. 7-29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과 삶 : The work and lives of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in the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type /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이레, 남재현, 김새봄 p. 30-49

인구 고령화의 인구학적 요인 분석 = Demographic components of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우해봉 p. 50-68

같지만 다른 그들, 청년 : Young people, the same generation but different individuals :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men and women / 성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영향요인의 탐색 연구 강지원, 장숙랑, 김해송, 김민경, 김현수, 주지영, 이경영, 김유경 p. 69-84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접근성과 심뇌혈관질환 사망비의 연관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to local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enters and mortality ratio 신한수, 노영민, 서지우 p. 85-100

세월호 재난 지역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with post-disaster community recovery programs following the Sewol Ferry disaster 홍혜미, 한소정 p. 101-117

코로나19 사태가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OVID-19 pandemic on adolescent obesity : focusing on difference by non-metropolitan area and gender / 비수도권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봉균 p. 118-140

사회 신뢰가 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trust on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박채림, 한창근 p. 141-156

재활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 조직의사소통,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and general ward nurses 배인정, 한지영 p. 157-173

WHO 가이드 원칙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과 일본, 스웨덴의 정책 비교 = Comparison of community care policies through the WHO guiding principles : pilot projects in Korea and policies in Japan and Sweden 정윤화, 이동현 p. 174-190

Inter-generational effects of basic pension on adult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성인 자녀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기초연금의 세대 간 영향 Hwang, Inuk, Lee, Tae-jin p. 191-208

COVID-19 유행 전과 유행 초기 소득에 따른 의료이용 불평등 변화 = Inequal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by income level before and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COVID-19 pandemic 김태현, 신영전 p. 209-225

암 생존자와 가족의 의사소통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for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y members :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 적용 임정원 p. 226-245

코로나19와 가구소득 불평등 : COVID-19 and household income inequality : focused on the role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and disaster relief funds / 기존 소득보장제도와 일시적인 재난지원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최진희 p. 246-264

외국인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특성 분석 = A study of foreigners' u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서종근, 왕영민, 심혜진 p. 265-281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 및 관련 요인 = Fear of cancer recurrenc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ancer survivors 박소영, 박아경 p. 282-298

영국의 이민자 사회권 변화에 관한 연구 : Immigrants' social rights in the UK : the intersection of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ies /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교집합 맥락에서 김경환 p. 299-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