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수신서 『유학강요』의 위상과 '전통의 발명' : 일본인물의 '위인화'를 중심으로 = The status of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 and “invention of traditions” : focusing on “creating an exemplar” of Japanese figures / 박시언 1

국문초록 1

목차 1

서론 2

제1장 근대일본의 수신 교과와 『유학강요』의 위상 4

1. 『유학강요』의 체제 4

2. 수신 교과의 역사성과 『유학강요』 6

제2장 『유학강요』 일본인물의 제반 형상 10

제3장 인물의 재편과 정통성의 창출 19

1. 고대를 배경으로 한 인물의 특징 : 천황의 친정 19

2. 중세를 배경으로 한 인물의 특징 : 남조 정통론 21

3. 근세를 배경으로 한 인물의 특징 : 학문적 지향 23

결론 25

참고문헌 26

Abstract 28

日本語抄録 28

필자인적사항 2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이지 초, 한반도 인식의 다층성 = Images of the Korean Peninsula presented in the Meiji era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 : 『유학강요』에 묘사된 '중계자, 문화 전래자'로서의 '한반도/한반도인' 채수은 p. 57-77

보기
수신서 『유학강요』의 위상과 '전통의 발명' = The status of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 and “invention of traditions” : focusing on “creating an exemplar” of Japanese figures : 일본인물의 '위인화'를 중심으로 박시언 p. 5-32

보기
本居宣長の『古事記伝』から見た「韓(カラ)」についての考察 = A study of “Korean” as seen from “Kojikiden” by Norinaga Motoori 山口和男 p. 173-189

보기
19세기 말 일본 여성 지식인의 문필활동과 자기인식 = Writing and self-perception of Japanese women intellectuals in the late 19th century : focusing on Shimizu Shikin : 시미즈 시킨을 중심으로 박은영 p. 121-139

보기
JTBパブリッシング『るるぶ原神』に対する考察 = Reflections on JTB Publishing's “Rurubu Genshin” : a tourist guidebook transformed into a game guidebook : ゲームガイドブックに化した観光ガイドブック 李正薫 p. 239-266

보기
일본 대중문화 개방정책의 현황 및 의의 = Curr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opening policy on Japanese pop culture 한영균 p. 267-291

보기
일본 서브컬처 속의 '지역' 표상 = ‘Local’ in Japanese subculture : 『우동의 나라 금색 털뭉치』 속의 가가와현 표상을 중심으로 남상욱 p. 101-119

보기
일본사회의 외국인 '혐오'와 혼혈 = Japanese society’s ‘hate’ for foreigners and mixed races : the dichotomy of “international child”, “double” discourse and “Asian” mixed race : '국제아', '더블' 담론의 이분법과 '아시아계' 혼혈 박이진 p. 141-172

보기
한문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유학강요』 =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 the figure of Sugawara no Michizane in 『Yōgaku Kōyō』 : '충신'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표상이 갖는 한계와 의미 우제인 p. 79-99

보기
<우주전함 야마토> 팬덤의 미디어와 SF 문화 = Media of the Space Battleship Yamato fandom and science fiction culture 이석 p. 215-237

보기
메이지기 유교 사상의 변용과 도덕교육 = The use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representation of Confucian saints in the “Jugaku Gakusyo” : 『유학강요』에 나타난 유교경전 활용과 유교 '성인'의 표상 이아영 p. 33-56

보기
안보위기 인식에 따른 일본 국방전략의 역사적 고찰 = A study on defense strategy according to Japan's perception of security crisis in Northeast Asia 유지아 p. 191-213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이진(2022) 「19세기 후반 일본 여자교육의 모델이 된 여성들―수신 교과서 『婦女鑑』의 인물 구성 연구」『大東文化硏究』 117, p.339. 미소장
2 박이진・박시언(2022) 「수신 교과서 부녀감(婦女鑑) 의 텍스트성-일본 근대 전환기 여성표상의 다양성-」, 『사총』 105, p.197. 미소장
3 베네딕트 앤더슨 저・서지원 역(2021) 『상상된 공동체』, 도서출판길, pp.20-24, 26. 미소장
4 이명실(2017) 『논쟁으로 보는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 살림터, pp.90-91. 미소장
5 정형(2013) 「전쟁영웅 내러티브 연구의 방법과 실제」, 『일본의 전쟁영웅 내러티브 연구』, 제이앤씨, pp.17-18, p.25. 미소장
6 스즈키 사다미 저・정재정 외 역(2008) 『일본의 문화내셔널리즘』,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pp.41-45. 미소장
7 하루오 시라네(白根治夫)외 저・왕숙영 역(2002)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pp.39-40. 미소장
8 越後純子(2016) 『近代敎育と婦女鑑の硏究』, 吉川弘文館, pp.248-249, p.273. 미소장
9 鈴木貞美(2015) 『近代の超克』, 作品社, p.194. 미소장
10 矢治佑起(1990) 「『幼学綱要』に関する研究―明治前期徳育政策史上における意味の検討―」, 『日本の教育史学』 33, pp.37-45. 미소장
11 海後宗臣(1962) 『日本敎科書体系近代編』第3券修身(三), 講談社, pp.567-573, p.594. 미소장
12 元田永孚(1935) 『幼學綱要』, 宮內省藏板縮冊板, 日本精神文化振興會. 미소장
13 元田永孚(1883) 『幼學綱要』, 宮內省藏板1쇄판, 吉川弘文館. 미소장
14 『文部省第五年報・第一冊』(1877), 文部省, pp.515-523. 미소장
15 『文部省第三年報・第一冊』(1875), 文部省, pp.617-6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