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1인가구 40, 50대 비혼여성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어 그 경험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이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더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6명의 1인가구 40, 50대 비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 친구를 포함한 대인관계 및 사회적 관계들과의 경험과 의미에 대한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분석 결과,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관계성의 핵심적 본질은 ‘자기 경계가 확고하며, 친밀한 사적 상호작용 대상이 부족하고, 이러한 대상이 부재하더라도 혼자서 잘 해내고 있고, 해야 함’이다. 이에 더하여, 1인가구 40, 50대 비혼 남성의 관계성에 대한 경험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gain more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 of never-marri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of one-person households by investigating their relational experiences and meaning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by interviewing six never-marri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by Van Man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re essence of the relationship they are experiencing is that they have ‘firm self-boundaries’, ‘lack of intimate personal interaction objects’, and ‘are doing well on their own’ even when these objects are absent because they ‘must do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of one-person households, never-married men in their 40s and 50s, as a sugges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학습자의 두음법칙 예외 조항 오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word-initial law exceptive clauses errors of Korean learners 김미선 p. 1-16

4·3의 진실과 작가의 현실 의식 = The 4·3 truth and the author's sense of reality 김미향 p. 17-30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s 김지영, 윤천성 p. 31-46

예비교사의 사이버괴롭힘 대처 효능감 특징 탐색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cyberbullying intervention self-efficacy : focusing on differences in grades and types of prevention efforts : 학년 및 예방 노력 유형 차이를 중심으로 김현수 p. 47-62

1인가구 40, 50대 비혼여성의 관계성에 관한 현상학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40-50's never-married women in one-person households 김현화 p. 63-74

재혼 시 유족연금수급권 상실규정의 재산권 침해 여부 = Whether property rights are infringed in the provisions on the loss of survivor's pension rights on remarriage 노한장 p. 75-88

회복탄력성이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 on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 음악교육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뉴소정, 고영춘 p. 89-101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차이 =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of university student 서수진, 이향숙, 윤정진 p. 103-118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자아효능감과 행복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elf-efficacy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using a nonlinear potential growth model 원효헌, 장재혁, 서원석 p. 119-134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도덕적 역량 강화 방안 = A way to improve moral competence through music therapy 성현영, 박균열 p. 135-147

항만 관련 권한의 배분기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stribution criteria of port-related authority 손용구, 김상구 p. 149-163

대학생 번영 집단과 쇠약 집단이 보고한 삶의 의미의 원천과 이유 = Sources and reasons of meaning in life reported by flourishing and languishing college students 신현숙 p. 165-180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영재 선발 시 자기소개서 활용의 타당성 분석 = Text mining-based feasibility analysis of the use of self-introduction letter in selecting a gifted student 양태연, 추교남, 한기순 p. 181-192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심리적부적응이 그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n learning attitudes of foreign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택원, 양아여, 장허위안 p. 193-208

무기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influence of lethargy on self-esteem : on students majoring in orchestral music : 관현악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천추, 고영춘 p. 209-222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유명은, 최항준 p. 223-238

방송보도에서의 몰래카메라 사용에 대한 법적 허용범위와 기준 = Legal standards and immunity in broadcast news reporting using hidden cameras 유승관 p. 239-251

산재요양 후 재취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re-employed workers after rehabilitation for industrial acci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일자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성철, 강상준 p. 253-266

대학생의 출산의식과 양육기술 신념이 부모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rocreation consciousness and parenting skills belief on perception of parenthood among college students 이성희, 이승아 p. 267-281

인도네시아 전래동화와 젠더 재현 = Reading gender representation in Indonesian fairy tales 이연 p. 283-2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교육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focusing on Japanese-Korean translation : 일한 번역을 중심으로 이선중, 이수현, 심혜령 p. 299-310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차별과 장애수용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 연구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이진향 p. 311-322

「유아 논리 및 논술교육」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논리논술에 대한 인식 변화 =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Logic and Ess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임예지 p. 323-334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the post-COVID era 임혜원, 장유진 p. 335-350

대외 뉴스 기사에서 문화 어휘의 중한 번역 연구 = A research on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cultural vocabulary in external news report : the case of the Korean version of Xinhuanet : 신화망(新华网) 한국어판을 중심으로 장문려 p. 351-362

회복탄력성이 개인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in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individual thinking ability :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 성악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등광휘, 고영춘 p. 363-376

BVAR 모형을 이용한 소비심리, 금리, 거래량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nsumer sentiment, interest rate, and transaction volume on housing price using the BVAR 전해정 p. 377-390

평생학습도시사업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contents 정복임 p. 391-402

졸업 시점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영향 요인 = Factors influencing end-of-life nursing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at graduation 정선영 p. 403-416

사범대학 교직과목으로서의 다문화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in college of education 조주희 p. 417-432

봉사학습 참여 대학생들의 인식 변화 분석 = Analysis of perception change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service learning 주경일 p. 433-447

중도 시각장애인의 포커싱 집단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regarding focusing group program for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 주은선, 이소은, 김호진 p. 449-46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visit intention of visitors to the new genre public art park and the activation strategy = 신유형 공공예술 공원 이용객의 재방문 의사에 따른 영향 요인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상해 사구(Community) 화원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Shanghai community garden Guan Xi Chen, Min Lee p. 465-480

반려동물 장례 및 펫로스 증후군 관련 산업 현황 연구 = A research on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industries related to pet funeral and pet loss syndrome 최시영, 이지수, 최영복 p. 481-494

유아 사회적 유능감, 모 우울, 모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하민경 p. 495-510

장애인 친구의 유·무와 통합캠프 참여에 따른 비장애 청소년의 장애수용태도 및 공감의 차이 = Differences i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s and empathy of non-disable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led friends and participation in integrated camps 하주현 p. 511-524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이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미친 영향 =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tewardship codes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홍수희 p. 525-538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2세반 영아의 스키마 놀이 양상 탐색 = Exploration of schema play aspects of 2-years old class using loose parts 고선 p. 539-552

한국어교육학의 질적 사례연구 연구방법론적 양상 = Methodological aspect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in Korean education 구민지 p. 553-566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learning presence of nursing students 김민숙 p. 567-581

지역주민 우울의 개인, 가족, 환경적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f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depression in community residents 김소희 p. 583-594

지방부담금 신설 권한 창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uthority creation for local government's charges 김인영, 민기 p. 595-610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ubjectiv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우울의 매개효과 김태형 p. 611-623

대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성조, 이진실 p. 625-634

대학생의 자기개념명확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내적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두경희 p. 635-649

중학생의 공격성과 언어폭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yberbullying behavior on the effect of agg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박신희, 고현 p. 651-666

국내 체류 몽골인 유학생들의 학업 적응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ademic adjustment of Mongolian students staying in Korea 박종호 p. 667-678

7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사와 역사교육적 활용 = The 7th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ancient history narrative and its application in history education 박지원 p. 679-693

예비유아교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유아환경교육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 A collaborative action study for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with pre-primary early childhood teachers 배지현, 박수정, 조유진 p. 695-709

산업체위탁과정 학습자의 교수실재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rners' sense of real teaching in the industrial consignment process on learning transfer :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satisfaction : 학습성과와 학습만족도의 매개효과 김미선 p. 711-726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stickiness in short video APP = 쇼트 클립 APP사용자의 고착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중국 90허우 틱톡 앱 사용자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post-90s Douyin APP users in China Xu Zhi Le, Surng Gahb Jahng p. 727-741

Understanding Brazil's foreign policy under Bolsonaro through a text-mining analysis =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본 브라질 보우소나루 정부의 외교정책 Hoyoon Jung p. 743-758

여성 문화소비자가 인지하는 공연서비스품질, 관람만족, 구매행동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service quality and viewing satisfaction purchasing behavior perceived by female cultural consumers 조선하 p. 759-772

(The) effect of face on self-disclosure in SNS = 체면이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Seungho Cho, Eunjung Shim p. 773-788

전북 농촌지역의 계절근로자제 이용실태 및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seasonal worker program and policy implications in rural areas in Jeonbuk Province 조원지, 이서연 p. 789-801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pplying reality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social workers =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효과 Misun Cha, Hyunsim Lee p. 803-817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녀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paternal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interpersonal traits 천순미 p. 819-833

변혁적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황남연, 황찬규 p. 835-850

존 낙스의 교육 사상 연구 = A study on John Knox's view of education 권태경 p. 851-864

정신장애인이 인식하는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김근휘, 이진향 p. 865-876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미숙(2016), “중소도시 중년 비혼여성의 생활세계”, 『한국인구학』, 39(4): 103-152. 미소장
2 김순남(2016), “이성애 비혼여성으로 살아가기-지속 가능한 비혼, 젠더, 친밀성”, 『한국여성학』, 32(1): 181-217. 미소장
3 김은정(2017), “청·중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2): 45-60. 미소장
4 김혜경(2017), “‘가족 이후’의 대안적 친밀성: 비혼 청년층의 공동주거 사례를 통해 본 돌봄과 우정의 공동체 실험”, 『한국사회학』, 51(1): 155-198. 미소장
5 김혜정(2015), “비혼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7-40. 미소장
6 박건·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405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미소장
7 막스 반 매넌(M. van Manen) 저, 신경림·안규남 옮김(1997),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방법론』, 서울: 동녘. 미소장
8 박수선·이무영(2017), “중장년 1인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149. 미소장
9 박지혜·장영은(2022), “1인가구 청년의 주관적 건강 영향요인: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3(4): 2857-2872. 미소장
10 박채림·신희영(2022), “사회적 지지, 기본 심리 욕구, 삶의 만족도의 관계:누구로부터의 지지가 중요한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5(3): 83-106. 미소장
11 성미애(2014),“40, 50대 비혼여성의 결혼 및 가족 담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2): 131-141, . 미소장
12 성미애·최연실·최새은·이재림(2017), “부모-비혼 성인자녀 관계의 재조명”, 『가정과삶의질연구』, 35(1): 139-158. 미소장
13 여성가족부(2022), “2021년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 미소장
14 오유미·김현주(2019), “가족동거 비혼 여성의 모녀관계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40-50대 비혼 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7(2): 213-239, . 미소장
15 이병호(2014), “중장년층 1인가구의 사회활동 참여: 다인 가구와의 비교”, 『보건사회연구』,34(3): 348-373. 미소장
16 이성은(2015), “비혼여성의 생활세계 분석을 통한 새로운 가족형태의 탐색”, 『이화젠더법학』,7(2): 73-112. 미소장
17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한국인구학』, 37(4): 1-24. 미소장
18 임유진·박미현(2018), “1인가구 중년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4(1): 187-206, . 미소장
19 정유진·이나련(2022), “비혼 여성의 부모 및 형제자매 관계 특성과 영향 요인”, 『인문사회21』, 13(1): 1243-1258. 미소장
20 지은숙(2022), “비혼여성의 돌봄관계와 새로운 친밀성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21』, 13(6):4959-4974. 미소장
21 천성문·김동현·김현정·김민지(2019), “비혼 중년여성의 홀로하기를 통한 자기성찰 경험에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 285-310. 미소장
22 Holt-Lunstad, J.(2018), “Why soci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or physical health: Asystems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modifying risk and protection”, 『AnnualReview of Psychology』, 69(1): 437-458. 미소장
23 Kislev, E.(2022), “Relationship desir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never-married anddivorced men and women”, 『Sexual and Relationship Therapy』, 1-13, . 미소장
24 Miller, J. B.(1986), 『Toward a new psychology of women (2th ed.)』, Boston:Beacon Press. 미소장
25 Schlossberg, N. K.(1984), 『Counseling adults in transition-Linking practice withtheory』, New York: Spring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