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1인가구 40, 50대 비혼여성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어 그 경험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이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더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6명의 1인가구 40, 50대 비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 친구를 포함한 대인관계 및 사회적 관계들과의 경험과 의미에 대한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분석 결과,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관계성의 핵심적 본질은 ‘자기 경계가 확고하며, 친밀한 사적 상호작용 대상이 부족하고, 이러한 대상이 부재하더라도 혼자서 잘 해내고 있고, 해야 함’이다. 이에 더하여, 1인가구 40, 50대 비혼 남성의 관계성에 대한 경험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gain more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 of never-marri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of one-person households by investigating their relational experiences and meaning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by interviewing six never-marri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by Van Man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re essence of the relationship they are experiencing is that they have ‘firm self-boundaries’, ‘lack of intimate personal interaction objects’, and ‘are doing well on their own’ even when these objects are absent because they ‘must do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of one-person households, never-married men in their 40s and 50s, as a suggestion.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미숙(2016), “중소도시 중년 비혼여성의 생활세계”, 『한국인구학』, 39(4): 103-152. | 미소장 |
2 | 김순남(2016), “이성애 비혼여성으로 살아가기-지속 가능한 비혼, 젠더, 친밀성”, 『한국여성학』, 32(1): 181-217. | 미소장 |
3 | 김은정(2017), “청·중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2): 45-60. | 미소장 |
4 | 김혜경(2017), “‘가족 이후’의 대안적 친밀성: 비혼 청년층의 공동주거 사례를 통해 본 돌봄과 우정의 공동체 실험”, 『한국사회학』, 51(1): 155-198. | 미소장 |
5 | 김혜정(2015), “비혼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7-40. | 미소장 |
6 | 박건·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405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미소장 |
7 | 막스 반 매넌(M. van Manen) 저, 신경림·안규남 옮김(1997),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방법론』, 서울: 동녘. | 미소장 |
8 | 박수선·이무영(2017), “중장년 1인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149. | 미소장 |
9 | 박지혜·장영은(2022), “1인가구 청년의 주관적 건강 영향요인: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3(4): 2857-2872. | 미소장 |
10 | 박채림·신희영(2022), “사회적 지지, 기본 심리 욕구, 삶의 만족도의 관계:누구로부터의 지지가 중요한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5(3): 83-106. | 미소장 |
11 | 성미애(2014),“40, 50대 비혼여성의 결혼 및 가족 담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2): 131-141, |
미소장 |
12 | 성미애·최연실·최새은·이재림(2017), “부모-비혼 성인자녀 관계의 재조명”, 『가정과삶의질연구』, 35(1): 139-158. | 미소장 |
13 | 여성가족부(2022), “2021년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
미소장 |
14 | 오유미·김현주(2019), “가족동거 비혼 여성의 모녀관계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40-50대 비혼 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7(2): 213-239, |
미소장 |
15 | 이병호(2014), “중장년층 1인가구의 사회활동 참여: 다인 가구와의 비교”, 『보건사회연구』,34(3): 348-373. | 미소장 |
16 | 이성은(2015), “비혼여성의 생활세계 분석을 통한 새로운 가족형태의 탐색”, 『이화젠더법학』,7(2): 73-112. | 미소장 |
17 |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한국인구학』, 37(4): 1-24. | 미소장 |
18 | 임유진·박미현(2018), “1인가구 중년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4(1): 187-206, |
미소장 |
19 | 정유진·이나련(2022), “비혼 여성의 부모 및 형제자매 관계 특성과 영향 요인”, 『인문사회21』, 13(1): 1243-1258. | 미소장 |
20 | 지은숙(2022), “비혼여성의 돌봄관계와 새로운 친밀성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21』, 13(6):4959-4974. | 미소장 |
21 | 천성문·김동현·김현정·김민지(2019), “비혼 중년여성의 홀로하기를 통한 자기성찰 경험에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 285-310. | 미소장 |
22 | Holt-Lunstad, J.(2018), “Why soci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or physical health: Asystems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modifying risk and protection”, 『AnnualReview of Psychology』, 69(1): 437-458. | 미소장 |
23 | Kislev, E.(2022), “Relationship desir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never-married anddivorced men and women”, 『Sexual and Relationship Therapy』, 1-13, |
미소장 |
24 | Miller, J. B.(1986), 『Toward a new psychology of women (2th ed.)』, Boston:Beacon Press. | 미소장 |
25 | Schlossberg, N. K.(1984), 『Counseling adults in transition-Linking practice withtheory』, New York: Springe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