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노인의 건강생활습관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흡연과 음주가 어떠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내용: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건강생활습관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두 변인 관계에 음주와 흡연이 조절효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흡연과 음주는 생활체육습관과 성공적 노화의 영향 관계에 반대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고, 노인의 흡연과 음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ole of smoking and dr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lifestyle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A survey of 300 elderly people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2022,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influence of healthy lifestyle habits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as investigated,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drinking and smoking appeared as regulatory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t was found that smoking and drinking have opposit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habits and successful ag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동기 학대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체계손상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traumatized self-system on the impact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on adult interpersonal problems 성정옥, 박원주 p. 2599-2613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언택트 홈트레이닝 참여유무에 따른 성인들의 삶의 질 차이 분석 = A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after untact at-home workouts particip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신지우, 이경일 p. 2615-2627

명리학과 MBTI의 성격심리에 관한 연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yeongrihak and MBTI's personality psychology 안수현 p. 2629-2642

NGO 활동가들이 인식하는 경력성공의 의미 = Meaning of career success perceived by NGO activists 오설아, 장환영 p. 2643-2658

중노년층의 삶의 요건과 자살생각 = Life condition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 mediating effects of pessimism : 비관적 삶의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지민, 오세일 p. 2659-2674

5·18을 호명하는 장편소설의 문학적 윤리 방식 연구 = A study on literary ethical ways of novels calling May 18th 유홍주 p. 2675-2690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현숙, 김다희 p. 2691-2706

综合视角下的社会情感能力培养和积极教育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motional ability development and positive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张洁 p. 2707-2719

자립준비청년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토의 경험과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and meaning of mentors who participating in the youth mentoring program for independence preparation 정광주 p. 2721-2734

TBL을 통해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안전교육 실천의 교육적 의미 = The exploration meaning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practice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eam-based learning 조혜선 p. 2735-2746

멜라니 클라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요셉 이야기 속 시기심을 마주하는 공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space facing envy in the story of Joseph from Melanie Klein's perspective 최윤아 p. 2747-276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wedding photography on customer preference = 웨딩 촬영의 표현 특성이 고객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Zhengda Pu, Sijoon An p. 2763-2776

동아시아 음악 문화의 전통 음계와 조율 체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udy[실은 study] of musical scales and tuning systems in East Asian musical culture : China, Korea, and Japan : 중국·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유연 p. 2777-2789

여전사의 훈육된 몸과 좀비의 훼손된 몸 고찰 = A critical study on woman warrior's disciplined body and mutilated body of zombie in Seth Grahame-Smith's Pride and Prejudice, and Zombies : 세스 그레이엄 스미스의 『오만과 편견 그리고 좀비』를 중심으로 강영아 p. 2791-2800

NLP 자기성장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A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NLP self growth program 강정범, 한송희 p. 2801-2816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acilitating questions for students studying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질문 촉진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 문제 중심 수업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problem-based Instruction Harim Kong p. 2817-2832

감정노동 집단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on group programs for emotional labor 권복실, 성승연 p. 2833-2847

혼합적 방법론을 적용한 디지털 Z세대 소비자의 큐레이션 구독서비스에 관한 선호 유형 연구 = Typologies of curation subscription service preference of digital Z generation consumers applying mixed methodology 김기연 p. 2849-2863

남편의 직장을 이유로 분거하고 있는 아내의 결혼만족도 관련 요인 = Factors related t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living apart from husbands due to the husbands' workplace 김소영 p. 2865-2879

자기자비가 타인자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compassion for other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pathy : 정서인식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연, 박원주 p. 2881-2896

한국 내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화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social support for immigrants in Korea : focusing on the type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support in the public domain : 공적 영역의 구조적, 기능적 지지 유형을 중심으로 김양정 p. 2897-2912

전문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ocial welfare practicum experience of junior college students 김주희 p. 2913-2924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와 미얀마어 표현 비교 연구 = A comparison study on Korean auxiliary words 'do, kkaji, jocha, majeo' and Myanmar expression : semantically : 의미상으로 까웅 미엣 뚜 p. 2925-2940

노인근로자 고용형태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n depression of ageism experience by elderly workers' employment types 박가희, 이예림 p. 2941-2954

작가론적 관점에서 본 애니메이션 <반딧불의 묘> = Re-reading The Grave of Fireflies by Isao Takahata 박선영 p. 2955-2970

하이브리드 온라인 중심 문제 기반 학습 지원을 위한 통합형 협업 E-PBL(ICE-PBL)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integrated collaborative E-PBL (ICE-PBL) system for hybrid E-PBL support 박지순, 주수언 p. 2971-2986

부모의 인권민감성 평가척도 문항개발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al human rights sensitivity evaluation scale items 서원경, 조해연 p. 2987-3001

학생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학습역량 진단 결과 분석 = Analysis on the results of diagnosing learning competency for personalized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 focusing on university A : A대학을 중심으로 윤혜림 p. 3003-3015

Effects of critical literacy on Korean kindergarteners = 비판적 문해력이 한국 유치원생에게 미치는 효과 Songyi Lee, Christian Kim p. 3017-3032

'유모차 부대'는 어떻게 맘충이 되었나? = How did Yumochabudae become Momchung? 이인영 p. 3033-3044

재활의료분야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job experiences of medical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medicine 이준우, 강이슬, 김동민 p. 3045-3060

지적장애 아동의 수용 표현 어휘력 및 심리·정서적 변화를 위한 언어중재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 A single case study of language intervention art therapy to improve acceptance/expression vocabulary and psychological/emotional chan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임연아, 김서현 p. 3061-3074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risis counseling experi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정재철, 나윤희, 윤기연, 류선영, 나여심 p. 3075-3084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서의 어려움 = Difficult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in post-COVID-19 정현심 p. 3085-3098

중국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justment : as a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status : 심리 건강 상태를 매개효과로 풍단정, 최옥채 p. 3099-3113

북한 통일전선의 연원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 of North Korea's united front 홍길동 p. 3115-3126

대학 유학생의 어문규범에 맞지 않는 표기 조사에 나타난 인식 분석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alysis of foreign university students' error expression survey 황희선 p. 3127-3140

「통일교육 지원법」상 대학에서의 통일교육에 관한 소고 = A brief study on unif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under the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김성태, 김대홍 p. 3141-3152

학교현장실습 전후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역량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chool field practic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and teaching efficacy 최경남, 김현정 p. 3153-3165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 박미정, 이진경 p. 3167-3182

전기차 확대 정책의 쟁점과 대응과제 = Issues and challenges of electric vehicle expansion policy 박오영 p. 3183-3198

以文化多元提升文化挪用 = Walking in the depth of "cultural appropriation" : interpretation of Kim Jones's costume design art : Kim Jones服装设计艺术解读 吴郑宏 p. 3199-3209

국내 인구감소에 따른 외국인의 지역 정착지원 방안 = Support plan for foreigners to settle down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in domestic population 윤향희 p. 3211-3220

현대인의 생활 속 茶 冥想 프로그램 = Development of tea meditation program in modern life centered on Zen meditation : 선 명상 중심탐구 이정희 p. 3221-3232

기술창업기업의 운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operational capabilities of high-tech startup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전수성, 이록 p. 3233-3247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AI robot for elderly care in the aging era = 고령화 시대 노인 돌봄을 위한 AI로봇 도입 및 활용 방안 Woohong Cho p. 3249-3260

혐오의 관점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톺아보기 = Exploring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from the perspective of hatred 한규현, 권혁남 p. 3261-3274

노인의 건강생활습관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lifestyle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 흡연과 음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업, 홍완기 p. 3275-3288

2022 합숙문화를 통해 본 학생선수 합숙시스템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 athletes' camp system through the camp culture 2022 김경오 p. 3289-3303

암 생존자의 희망에 대한 개념분석 = Hope among cancer survivor : a concept analysis 박영옥 p. 3305-3320

타악기 합주 활동이 베트남 유학생들의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rcussion ensemble activities on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Vietnamese students : focusing on internalization issues : 내재화 문제를 중심으로 백승영, 고명지 p. 3321-3334

사회적 기업 활성화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ocial enterprises 윤준영 p. 3335-3348

Effects of high-caffeine energy drink on concentration, anxiety, and vital signs in high school female students = 여자고등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가 집중도, 불안,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Mihyun Jeong p. 3349-3363

셀프코칭 유지요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coaching maintenance factors 권혜란, 탁진국 p. 3365-3380

현대적 저항권 개념의 일고찰 = A review on modern concept of the right of resistance 김정훈 p. 3381-3394

중국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esign 왕분, 김주경 p. 3395-3410

延边州铁路沿线安全环境治理研究 = Study on the safety and environmental governance along Yanbian railway : analysis based on Fengqiao experience : 基于枫桥经验的分析 李圣春, 徐曦彤, 吳泰坤 p. 3411-3421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체계 및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전종희 p. 3423-3438

여성 노인의 운동실천 방해, 촉진, 우울, 삶의 질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of exercise inhibitors, promoting, depressi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oman 정진영 p. 3439-3450

Pragmatic approaches to Totally = '전적으로'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호의적 의견 일치 장치로써 다기능적인 역할 : multifunctional roles as a well-disposed coincidence device Jungyull Lee p. 3451-3462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란(2019), “대사증후군 노인을 위한 자기효능감 증진 생활습관 중재 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김숙희·이정원·박영숙·현태선(1997), “청주지역 노인의 영양실태 조사: 생활습관, 식행동및 영양소 섭취 실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4): 467-478. 미소장
3 김재중(2007),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지연(2013), “청소년의 흡연 여부와 흡연량에 따른 자살관련 행동의 상관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혁주(2023), “노인의 경제적 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구조적 관계 연구”, 『인문사회21』,14(1): 3037-3049. 미소장
6 김현옥·정경화(2009), “거주지역에 따른 노인의 건강생활양식 비교: 전라북도를 중심으로”,『노인간호학회지』, 11(1): 16-28. 미소장
7 김형준(2005), “노인들의 신체활동이 생활습관, 건강인식, 신체구성, 혈액성분 및 체력에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희년·김은진(2014), “우울, 음주와 흡연, 사회적 지지가 농촌지역 홀몸노인의 자살위험에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연구』, 5(2): 123-158. 미소장
9 문수정·박서영(2012), “노인의 근로활동 참여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3): 487-504. 미소장
10 박윤희(2017), “중년기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유승권(2014), “체형분류에 따른 중년여성의 생활습관, 건강관련 체력 및 심혈관질환 요인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정옥환·이상호·이경일(2022), “성인의 신체건강을 위한 건강·운동체력과 기능적 움직임의관계”, 『인문사회21』, 13(5): 3849-3862. 미소장
13 조명기·김권영(2021), “퇴직노인의 생활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심리적 복지감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인문사회21』, 12(5): 3221-3234. 미소장
14 한경희·김기남·박동연(1998), “충북지역 노인들의 약물복용 및 영양상태: Ⅳ. 약물복용 및건강관련 습관(음주, 흡연, 운동)에 따른 영양상태의 차이”, 『지역사회영양학회지』,3(3): 397-409. 미소장
15 황길주(2020),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중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Aiken, L. S. & S. G. West(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interaction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미소장
17 Rowe, J. W. & R. L. Kahn(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433-44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