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인권침해 문제가 제기되었던 대구시립희망원에서 2019년 지역사회로 탈시설하여 생활하고 있는 중증‧중복 발달장애인 8명의 탈시설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종단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먼저 대구시 중증‧중복 발달장애인 탈시설 자립지원 시범사업의 배경과 국내외 선행연구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이후 미국의 성과분석연구소(COA)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어온 발달장애인의 거주서비스에서의 삶의 질 추적 도구인 PLQ(Personal Life Quality Protocol)를 사용하여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측정된 데이터를 R version 4.0.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사회통합활동, 생산성 및 주간활동, 일상에서의 선택과 자율성, 주관적 삶의 질, 행동(적응 및 도전행동)의 조사시점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탈시설 이전과 탈시설 이후의 시간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선형 혼합 효과 모형(Linear mixed-effects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통합활동, 일상생활에서의 선택과 자율성, 주관적 삶의 질이 모두 탈시설 이전 대비 탈시설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시설 거주 당시의 생산성 및 주간활동은 측정할 수 없었으나, 탈시설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행동 측면에서 도전행동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적응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흔히 ‘최중증 장애인’으로 간주되는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경우에도 탈시설 이후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언과 심리운동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후기노년기 노인을 위한 노인심리운동 과제 고찰 = Eine Studie zu den Aufgaben der Motogeragogik für ältere Menschen im späten Alter 박재우 p. 139-158

심리운동 프로그램 체험이 중등특수교사의 인식도와 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program experience o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application 전지수 p. 123-137

정서 이론과 정서의 경험 = Theories of emotion and experience of emotion 배지원, 문장원 p. 107-122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심리운동의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psychomotorik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여은혜 p. 83-105

숲프로그램 탐색을 통한 장애인산림치유프로그램 현황연구 = Proposal of forest healing program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search of forest program for the disabled 황연주, 신창섭 p. 67-82

강화된 환경중심 의사소통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기능 산출 형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nhanced milieu communication teaching on utterance patterns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송희선 p. 47-66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 이후 삶의 질 종단연구 =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longitudinal study of people with profound and multiple learning disabilities after deinstitutionalizaiton : Daegu Municipal Institution 'Hope' in Korea : 대구시립희망원 사례를 중심으로 박숙경, 김정애, 노은비, James W. Conroy, 전근배 p. 25-45

심리적 외상 청소년 심리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sychomotorik for psychological support for psychological trauma adolescents 곽정민, 김승희 p.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