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생활지원사가 인식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충청남도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life supporters in Chungcheongnam-do / 이용재 ; 정덕진 1

[Title] 1

국문초록 2

1. 서론 3

2. 선행연구 고찰 4

1) 좋은 돌봄 4

2)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생활지원사 5

3)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 6

3. 연구방법 8

1) 자료수집 방법 8

2) 연구모형 및 자료분석 방법 8

3) 윤리적 고려 9

4. 연구결과 10

1) 일반적 특성 10

2) 주요 변수의 수준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 11

3)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 13

5. 결론 및 제언 16

참고문헌 19

Abstract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요양보호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egiver job choice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이지현, 여영훈 p. 5-30

보기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의 성과와 한계 = Performance and challenges of integrated community care project : case of region A : A지역 사례 김주현, 이용재 p. 31-63

보기
장기요양 재가수급자의 영양상태와 건강 및 기능상태와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health status, and functional a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in long-term care 권진희, 김정희, 정현진, 이정석 p. 65-86

보기
지역사회 통합돌봄에서 재택의료센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the home medical center model of community integrated care : focused on the Seo-Gu in Gwangju : 광주광역시 서구 사례를 중심으로 문용필, 이현복 p. 87-114

보기
노인돌봄 사회서비스 전문인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roviding social service for elderly care : focusing on participants in job-creation projects tailored to local industries based on a public-private cooperation : 민관협력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중심으로 김진, 박미진 p. 115-142

보기
요양보호사 직무교육에 대한 교육 우선순위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priorities for long-term care givers job training 경승구, 정현진, 이호용 p. 143-169

보기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종사자의 이직의도 결정에 관한 매개모형 검증 = Verification of mediator model on decision process of employee turnover intention in Seoul-type day care center 김고은 p. 171-195

보기
코로나19 시대 노인요양시설의 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업무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rk experience in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nursing home in the era of COVID-19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ohort isolation : 코호트 격리를 중심으로 성신명, 오유경, 정찬우, 김민선 p. 197-234

보기
생활지원사가 인식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life supporters in Chungcheongnam-do : 충청남도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이용재, 정덕진 p. 235-256

보기
소유구조 형태별 노인요양시설 운영 사례분석 = Case analysis of nursing home operations based on ownership structure 이희승, 이정석, 정현진, 신순애, 권진희 p. 257-278

보기
일본 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치매친화 지역사회 방향성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strategies for dementia friendly community of Korea based on the case study in Japan 이옥진, 허윤정 p. 279-304

보기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진희, 한은정, 강임옥(2010). 방문요양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 재이용의사 간의 관계 분석. 한국노년학, 30(2), pp.355-368 미소장
2 권중돈(2017). 2017년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업수행기관 평가결과 분석연구.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미소장
3 권중돈(2018).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 보건사회연구, 38(1), pp.9-36 미소장
4 김기수, 권중돈, 홍혜지(2018). 노인돌봄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중심으로. 대전복지재단 미소장
5 김재희, 김욱(2015). 서울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전문적 역량의 조절효과. 서울도시연구, 16(4), pp.193-214 미소장
6 김선미, 이수영, 정여주(2021). 충청남도 노인돌봄서비스 종사자 처우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충청남도사회서비스원 미소장
7 김송이(2012).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82(1), pp.103-136 미소장
8 김윤수, 류호영(2012). 사회적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2(3), pp.298-326 미소장
9 보건복지부(2020).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10 보건복지부(2022). 2022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11 석재은(2014).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 66(1), pp.221-249 미소장
12 석재은, 노혜진, 임정기(2015). 좋은 돌봄의 필요조건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노인돌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7(3), pp.203-225 미소장
13 석재은, 김형용, 전용호, 이기주, 최선희(2018).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사업의 개편방안 연구. 춘천: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연구비 지원 미소장
14 송다영(2014). 한국 30~40대 여성의 이중돌봄 현실과 돌봄경험의 다중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6(3), pp.209-230 미소장
15 양난주, 임세희, 한성윤(2012).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영리 비영리성이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4), pp.27-52 미소장
16 이명진, 김명희, 윤소현, 임효재, 김은하(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일반돌봄군 및 중점돌봄군 노인과 서비스 관리자 및 생활지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대전: 대전광역시사회서비스원 미소장
17 이명호(2014). 재가서비스에 종사하는 노인돌봄인력의 소진. 한국지역사회학회, 22(2), pp.175-196 미소장
18 이민홍, 전용호(2018).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서비스관리자의 업무특성과 업무로 인한 부정적 결과. 노인복지연구, 73(1), pp.209-234 미소장
19 정진경, 정세희(2015).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경험과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67, pp.7-31 미소장
20 전용호(2012).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주요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pp.345-384 미소장
21 전용호(2015). 노인 돌봄서비스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 인력과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2), pp.347-379 미소장
22 전용호(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한국노년학, 40(4), pp.599-616 미소장
23 전용호, 이석환(2022).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초기 이슈에 대한 질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77(1), pp.225-252 미소장
24 정경희, 강은나, 박세경, 이윤경, 김세진(2014). 노인장기요양보험 치매특별등급 도입에 따른 노인돌봄서비스 개편 방안 연구. 오송: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25 최희경(2010).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돌봄’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8, pp.31-58 미소장
26 통계청(2021.9.29.). 2021 고령자 통계. (2021.9.29. 보도자료) 미소장
27 황경란, 박혜선, 이미영(2017). 경기도 독거노인 보호 사업 활성화 방안. 수원:경기복지재단 미소장
28 Cancian, F. M. (2000). Paid Emotional care: Organizational forms that encourage nurturance. M.H.Meyer (Ed.) Care Work: Gender, Labor and the Welfare State. NY: Routlege.pp.136-148 미소장
29 Gilbert, N. & Terrell, P. (2013).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8th ed.). London: Pearson Education Ltd 미소장
30 Walsh, K., & Shutes, L.,(2012). Care relationship, quality of care and migrant workers caring for older people. Ageing & Society, 30(3), pp.1-2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