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 개발의 원리와 방향에 대한 탐색을 통해 읽기 영역의 개발 과정을 고찰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실행과 후속 교육과정에 관한 개선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은 기초 학력과 기초 문식성에 대한 책임 교육을 실현을 위한 읽기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 새롭게 변화한 문식 환경에 대응하여 전통적 독서와 디지털 독서로의 확장에 주목하였다. 디지털 독서의 맥락에서는 주제 통합적 독서와 자기 선택적 독서를 강화하여 중학교 1-3학년에 해당 교육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진로 연계 학기에 대비한 진로 독서와 자기 선택적 독서의 강화, 읽기의 정의적 요인에 대한 강화와 사회적 독서의 지향에서 개발의 중점을 두었다. 읽기 교육의 방향은 읽기 목적, 읽기의 개념, 읽기 대상과 범위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 그러나 학계나 학교 현장에서 인식하는 읽기를 둘러싼 요인에 대한 이해가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충분한 소통을 토대로 교육과정의 안착과 실행, 향후의 읽기 교육과정 상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직관을 활용한 문법 교육 = A study on linguistic intuitions-based education of grammar 김은애 p. 409-436

국어과 읽기 영역 서술형 평가를 위한 비지도 기반 인공지능 채점 보조 프로그램(SAAI)의 성능과 활용도 탐색 = Exploring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unsupervised based 'scoring assista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SAAI)' program for descriptiv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reading competence 최진영, 하민수 p. 7-48

모방 욕망 좌절자의 감정적 격동 이해와 독자의 서사적 정체성 발달 = Understanding of mimetic desire frustration's emotional turbulence and the development of a reader's narrative identity 선주원 p. 439-465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 1~2학년군 매체 영역 성취기준의 적절성 검토 = Appropriatenes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media area for elementary 1st and 2nd grades in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김광희, 김희동 p. 193-217

초·중기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관점에서 본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 영역 분석 = Analysis of the 'media' strand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and middle adolescents digital media literacy 장은주, 정현선 p. 219-258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예비 국어교사의 주관적 인식 분류 : Classification of subjective perception of pre-service Korean L1 teachers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udent agency" /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의 이론적 관점에 기초하여 장성민 p. 149-192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차이 분석 =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evalu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Korean teachers using the multi-faceted Rasch model 백유진, 박영민 p. 49-81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 개발의 논리와 교육적 의미 = The logic of developing 'grammar' area of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anings 남가영 p. 369-407

독자의 비밀과 지각 불가능하게-되기 : Reader's secret and becoming-imperceptible :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A Thousand Plateaus』 chapter 10 'Memories of the secret'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0장 중 '어느 비밀의 회상'을 토대로 김도남 p. 467-500

과학영재학교 국어과 창의·융합 독서 프로그램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he creative and convergent reading program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a science gifted school : focusing on the activity of writing fusion sijo / 융합 시조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황인정, 임정훈 p. 115-148
창세신화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methods using Korean creation mythology 변숙자 p. 501-532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특징과 지향 =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riting area 서수현 p. 341-367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 개발의 논리 = The logic of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서영진 p. 259-301

예비 국어교사의 논술 첨삭 지도 양상 분석 = A study on the essay correction coaching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편지윤 p. 83-113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개발의 중점과 방향 = The focus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reading' area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최숙기 p. 303-339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교육부 언론 보도(2021.11.24.). 미소장
2 김종윤(2014), 다문서 읽기 연구의 연구 동향과 전망, 『국어교육학연구』, 49(3), pp.137-163. 미소장
3 노은희, 정혜승, 민병곤, 서수현, 서영진, 김현정, 최소영, 남가영, 최숙기, 김정우, 옥현진, 가은아, 정현선, 서현석, 김종윤, 김정영, 김희동, 박유란, 문해원, 김광희, 오리사, 박은희, 김영아, 서규창, 김잔디, 황인정, 이명섭, 한상아, 이귀영, 배현진(2022a),『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2-2. 미소장
4 노은희, 정혜승, 민병곤, 서영진, 최숙기, 서수현, 남가영, 김정우, 옥현진, 최소영, 박종인, 김현정, 박혜영, 정진석, 조재윤, 가은아, 김종윤, 이경남, 김광희, 김정은, 김희동, 문해원, 박유란, 나혜정, 서규창, 오윤주, 장은주, 정형근, 김잔디, 김현숙, 박현진, 배현진, 이귀영, 이지나, 이지은, 한상아(2022b),『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2-14. 미소장
5 온정덕, 김병연, 박상준, 방길환, 백남진, 이승미, 이주연, 한혜정(2021), 『2022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기준 마련 연구』, 교육부. 미소장
6 정혜승, 노은희, 민병곤, 김잔디, 김정영, 김정우, 김현정, 남가영, 서수현, 옥현진, 이명섭, 조현종, 황인정(2021),『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미소장
7 최숙기(2014).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전략 수행 양상분석,『작문 연구 21, pp.91-313. 미소장
8 최인선, 김명화, 김수진, 김현정, 이신영. (2021).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PISA 2018 상위국 성취특성 및 교육맥락변인과의 관계 분석 RRE 202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2a),『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정책연구진 4차 합동 워크숍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22-50. 미소장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2b),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22-105. 미소장
11 Barrett, T.C. (1972). Taxonomy of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360Monograph. Lexington, MA: Ginn and Co. 미소장
12 Jewitt, C., & Kress, G. (Eds.). (2003). Multimodal literacy. New York: Peter Lang. 미소장
13 New London Group. (1996).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 Designing social futur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1), pp.60-92. 미소장
14 Strømsø, H. I., Bråten, I., & Britt, M. A. (2010). Reading multiple texts about climate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for sources and text comprehension. Learning and Instruction, 20(3), pp.192–2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