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그래픽 디자인 전공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 연계 기반 커리큘럼 방향성 연구 = Research on guideline based on subjects linkage for the development of experts for design education : curriculum of related department of graphic design 장순규, 한상만, 황현택 p. 8-21
PBL에 기반한 BX디자인 교육프로세스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BX design education process model based on PBL 김세미 p. 24-34
데이빗 린치 감독 영화에 나타난 여성성의 원형 = The archetype of femininity in David Lynch's films : focusing on the films <Blue Velvet> and <Wild at heart> : 영화 <블루벨벳>과 <광란의 사랑>을 중심으로 박상현 p. 36-46
중국 소비자의 K-POP 미디어 콘텐츠 이용동기가 관계의 질 및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hinese consumers' K-POP media contents motivation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이화영, 이현석 p. 48-63
지역 로컬푸드 자체인증 브랜드 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 self-certified brand design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 certification brands in Sangju City : 상주시 로컬푸드 인증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구수민, 임경호 p. 66-76
메타버스 내 다크패턴 디자인 유형 연구 = A study of dark pattern design types in metaverse environment 신홍주, 윤재영 p. 78-92
관광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농촌 관광 서비스디자인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service design to improve tourist satisfactio : taking the experience tourism industry of Da Zhai Village as an example : 다자이촌의 체험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손향박, 홍창기 p. 94-107
가상 인플루언서 속성이 상품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virtual influencer attributes on product recommendation intention : contents use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as moderators : 콘텐츠 이용 만족과 구매의도를 매개변인으로 염영영, 김종무 p. 110-122
시각 저널리즘으로서 시사만화의 사회적 기능과 표현방식 = The social function and expression of editorial cartoon as visual journalism : focusing on Gobau Yeonggam : <고바우 영감>을 중심으로 송진원 p. 124-134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표지의 색채디자인에 대한 감성이미지 연구 = A study on the emotional image of color design of mathematics book's cover in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mathematical textbooks in China : 중국 인교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유양, 한석원, 대정화 p. 136-147
4대 명나라 고대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분석 디자인 = Four ancient city brands of the Ming Dynasty : an analysis of identity expression design : focusing on the logo type : 로고 타입 중심으로 진명, 홍창기 p. 150-164
추천 알고리즘의 이유 제공 방식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 A study on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way of providing reasoning for recommendations : focused on the video recommendation platform : 동영상 추천 플랫폼을 중심으로 조윤지, 임영송, 송준근, 정아윤, 김기현, 윤재영 p. 166-180
개인 사진촬영 능력이 주관적 웰빙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sonal photography skills on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 focused on a case study of students of Zhengzhou University of Light Industry : '정저우 경공업 대학'의 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추샤오휘, 김해윤 p. 182-192
틱톡 라이브 커머스 쇼호스트 공신력과 예고영상이 여성 패션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ikTok live commerce show host credibility and preview video on women's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 purchase benefits as moderator : 구매혜택을 조절변수로 마예영, 김종무 p. 194-206
실감형 미디어를 활용한 학습 콘텐츠 개발 방향 = Development direction of learning content using immersive media : focusing on learning theory and content type analysis : 학습이론과 콘텐츠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남지연 p. 208-223
ASMR 콘텐츠의 시각적 표현이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visual presentation of ASMR content on user behavior 최수희, 서구원 p. 226-237
중국 상하이 소개팅 코너의 구혼 광고 조사와 사용된 유행어에 관한 시각 아카이브 연구 = Research on the visual archive of buzzwords used in the survey of matchmaking ads at matchmaking corners in Shanghai, China 증지아, 김경선 p. 240-251
틱톡 쇼트 클립의 2차 전파에 미치는 요인 분석 = Analysis of secondary propagation factors of TikTok short clip : focused on the application 'Tik Tok video' : 틱톡 영상을 중심으로 딩한디, 김해윤 p. 254-264
메타버스 내 인터랙션에 의한 사용자의 브랜드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er brand experience of by interaction in metaverse : focused on ZEPETO world map brand : 제페토의 월드맵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서윤, 윤재영 p. 266-279
고령자 중심 기술융합 프로젝트를 위한 공동디자인(Co-Design) 툴킷 제안 = Development of a co-design toolkit for senior technology projects : focusing on the stage of surveying the insights and needs of elderly participants : 인지저하 고령 참여자의 인사이트 및 니즈 도출을 중심으로 김상아, 구유리 p. 282-297
블랙핑크를 활용한 명품패션브랜드의 메이크업 제품 광고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A study on makeup product advertis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using Black Pink : focusing on plastic semiotic analysis of Chanel, Dior, and Yves Saint Laurent advertisements : 샤넬, 디올, 입생로랑 광고의 조형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미진, 전형연 p. 300-320

UX study from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소비자 경험(UX) 개선 연구 : 소화기 브랜드 아이덴티티(BI) 역할 증대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role of BI in the improv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Park, Sun-young p. 322-335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kçayır, M., & Akçayır, G. (2017). Advantag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augmented reality fo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0, 1-11. 미소장
2 Aguayo, C., & Eames, C. (2023). Using mixed reality (XR) immersive learning to enhanc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54(1), 58-71. 미소장
3 Brown, J.S., Collins, A., & Duguid, P. (1989). Commentary: Debating the Situation: A Rejoinder to Palincsar and Wineburg. Educational Researcher, 18(4), 10-62. 미소장
4 Duffy, T.M., & Jonassen, D.H. (1991). Constructivism: Ne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31(5), 7-12. 미소장
5 Hein, G.E. (1991).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Institute for Inquiry. Available at:http://www.exploratorium.edu/ifi/resources/co nstructivistlearning.html 미소장
6 Hwang, G.-J., Tsai, C.-C., Chu, H.-C., Kinshuk, K., & Chen, C.-Y. (2012). A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approach to conducting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a science park.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5), 931-947. 미소장
7 Ibanez, M., et al. (2011).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n a mixed-reality environment. IEEE Internet Computing, 15(6), 44-47. 미소장
8 Korthagen, F.A.J. (2010).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the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Towards an integrative view of teacher behavior and teacher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1), 98-106. 미소장
9 Krokos, E., Plaisant, C., & Varshney, A. (2019). Virtual memory palaces: immersion aids recall. Virtual Reality, 23, 1-15. 미소장
10 Merchant, Z., et al. (2014).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based instruction on students'learning outcomes in K-12 and higher education: A meta-analysis. Computers &Education, 70, 29-40. 미소장
11 Pedaste, M., Mäeots, M., Siiman, L.A., de Jong, T., van Riesen, S.A., Kamp, E.T., Manoli, C.C., Zacharia, Z.C., & Tsourlidaki, E. (2015). Phases of inquiry-based learning:Definitions and the inquiry cycl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14, 47-61. 미소장
12 Radianti, J., et al. (2020). A systematic review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Design elements, lessons learned, and research agenda. Computers &Education, 147. 미소장
13 Rogers, S. (2019). Virtual reality: The learning aid of the 21st century. Secondary Virtual Reality: The Learning Aid of the 21st Century. 미소장
14 Tomlinson, C. A. (2001).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Ascd. 미소장
15 Zawacki-Richter, O., & Latchem, C. (2018). Exploring four decades of research in Computers & Education. Computers &Education, 122, 136-152. 미소장
16 Avantis World,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avantisworld.com/ 미소장
17 Anatomy 4D,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4danatomy.com/ 미소장
18 BBC 100 Voices - 360° Berlin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bbc.com/historyofthebbc/100-voic es/ww2/360berlin/ 미소장
19 Froggipedia,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apps.apple.com/us/app/froggipedia/id1348306157 미소장
20 Labster's Virtual Laboratories,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labster.com/simulations/ 미소장
21 Mars: Curiosity Rover,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unimersiv.com/about-us/ 미소장
22 Mars 2030,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space.com/37663-space-tries-mars-2030-virtual-reality.html 미소장
23 Minecraft: Education Edition,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education.minecraft.net/en-us/blog/na sa-artemis-minecraft-inspires-next-generation 미소장
24 Mondly,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mondly.com/vr 미소장
25 The Anne Frank House VR Tour,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annefrank.org/en/anne-frank/sec ret-annex/ 미소장
26 The Hidden Worlds of the National Parks,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artsandculture.withgoogle.com/en-us/ 미소장
27 Oculus Career experience,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oculus.com/experiences/go/1970547433005773/ 미소장
28 PRISMS VR,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prismsvr.com/subjects 미소장
29 Skyview,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apps.apple.com/us/app/skyview/id404990064 미소장
30 VictoryXR, Retrieved 2023. 03. 31. fromhttps://www.victoryxr.com/ 미소장
31 The VR Museum of Fine Ar,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15020/T he_VR_Museum_of_Fine_Art/ 미소장
32 VRroom,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vr-room.com/virtual-environment / 미소장
33 Wonderscope,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apps.apple.com/us/app/wonderscope/i d1437417679?platform=ipad 미소장
34 교육부. (2023. 02.23).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의 실현,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 o?boardID=72769&boardSeq=94551&lev=0&searc 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15&opType=N 미소장
35 백영균. (2006). 게임기반학습 (Game Based Learning) 활성화의 전제조건에 대한고찰.정보과학회지,24(2), 45-50. 미소장
36 범원택, 김자영, 김남주. (2019). VR AR을 활용한실감형 교육 콘텐츠 정책동향 및 사례 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5. 미소장
37 서울파이낸스. (2020. 06.10). “이통3사, 언택트 시대 '실감형 콘텐츠' 경쟁,”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 ?idxno=386005 미소장
38 사이언스레벨업,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sciencelevelup.kofac.re.kr/virtualReality /list 미소장
39 신다정, 이민혜 (2021). PISA 2015에 나타난 한국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동기에 대한 탐구기반 수업과교사 지도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교육심리연구, 35(4), 707-730. 미소장
40 연합뉴스. (2017, 11, 14). “가상현실로 공황장애치료…길병원 치료센터 내년 개소,”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71114117900065, 미소장
41 이코노미 인사이트 (2023 )AI, MR, 맞춤형체험학습 앞당긴다. 디지털 기술로 진화하는 교육 현장.(2017. 12. 01).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www.economyinsight.co.kr/news/articleV iew.html?idxno=3834 미소장
42 이수진, 황우형 (2009). 상황학습 (Situated Learning) 에 기초한 수학 자료개발 및 적용. 교과교육연구, 2(1), 115-147. 미소장
43 전황수. (2019. 4). 가상현실(VR)의의료분야적용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4권 제2호, 미소장
44 정형원, 이대웅. (2008). 최근 구성주의 학습이론중심의 교육용게임의 이론적 배경 고찰.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14, 149-158. 미소장
45 조선일보. (2017.08.23.). “불안 상황, 가상현실로 훈련… VR 게임으로 정신과 질환 치료한다,” . Retrieved 2023. 03. 31. from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2/2017082201658.html 미소장
46 전자신문. (2023, 03. 16.). 에듀테크, 교육을바꾸다. “올해가 에듀테크 르네상스 원년.”https://www.etnews.com/2023031600008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