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되어가기를 살펴보아 현대사회의 아버지를 이해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실현할 아버지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는 P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이 작성한 비평적 글쓰기를 연구자료로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는 아버지와 자녀가 시간을 공유하고(Time ↔ share), 서로 믿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연결되며(Mind ↔ chain), ‘나-너’의 관계로 만나는 사건을 통해 성장하면서(Event ↔ ripe) 아버지로 되어간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되어가는 존재로 바라보고 이러한 과정을 지지하며 응원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fathers in modern society and to find ways to educate father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becoming-father of early childhood through 〈Like Father, Like Son〉 movie's critical writing written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critical piece written by the 3rd grad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P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was analyzed as research data.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fathers and children spend time together (Time ↔ share), to be connected with mutual trust and love (Mind ↔ chain), and to grow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s (Event ↔ ripe). This study suggest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iew father of early childhood as beings who becoming-father, and that parental education is needed to support this proces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주(2019), 전자알림장 앱을 통한 아버지와 유아교사간의 의사소통 현황 및 아버지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동규, 김은정(2012), 초등예비교사들의 영화 자료에 대한 인식 및 영화 타이타닉 활용 영어 수업의 실제 영상영어교육, 13(3), 33-55. https://doi.org/10.16875/stem.2012.13.3.33 | 미소장 |
3 | 김승환(2020.08.13). 코로나 돌봄 공백에, '육아하는 아빠' 늘었다.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813520826에서 2021년 9월 3일 인출 | 미소장 |
4 | 김영일, 김정희(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육아 배움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41(1), 5~30. https://doi.org/10.18023/kjece.2021.41.1.001 | 미소장 |
5 | 김용익(2018). 초등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 연구, 24(3), 87-107. https://doi.org/10.29113/skpaer.2018.24.3.087 | 미소장 |
6 | 김용익, 김낙흥(2015). '아빠학교'의 아버지들의 양육참여를 통해 겪은 삶의 경험 탐색, 육아지원연 구, 10(2), 191-215. https://doi.org/10.16978/ecec.2015.10.2.009 | 미소장 |
7 | 김은주, 김정미, 신승희(2021), '독박육아'에 관한 담론분석: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20(4), 47-73. https://doi.org/10.30761/ecoece.2021.20.4.47 | 미소장 |
8 | 김정미 (2021). 조선후기 한문학을 통해 살펴본 아버지의 부성이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의미,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정미, 김은주(2020). 조선후기 아버지의 자녀양육과정을 통해 본 돌봄 담론 분석: 한문학 사료를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4(3), 1-26. https://doi.org/10.17283/jkedi.2020.34.3.1 | 미소장 |
10 | 김정원, 전선옥(2020).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경기: 창지사, | 미소장 |
11 | 김주희(2022). 아버지의 영유아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 21, 13(6), 4287-4300. | 미소장 |
12 | 김진경, 이정미, 강은영(2017).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아버지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2(1), 65-89. https://doi.org/10.21459/kccr.2018.22.1.65 | 미소장 |
13 | 김형재(2015). CPS를 적용한 영화기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및 창의 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6), 399-409. https://doi.org/10.14257/AJMAHS.2015.12.11 | 미소장 |
14 | 나성은(2014).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내재한 젠더 위계와 ‘신 도구적 부성의 구성: 맞벌이 중간 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1), 1-39. https://doi.org/10.21478/family.26.1.201403.001 | 미소장 |
15 | 류황석(2016). 부모로서의 정체성과 한국사회 교육열: A. Giddens의 하이모더니티(high-modernity) 론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6(1), 1-24. https://doi.org/10.32465/ksocio.2016.26.1.001 | 미소장 |
16 | 배수진(2018). 2000년대 이후 동화에 나타난 아버지상 연구: 가족관계와 젠더담론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양현진(2015), 비평적 에세이 쓰기를 통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연구, 한국문예창작, 14(1), 135-169. | 미소장 |
18 | 우상규(2021.03.11). 코로나에 어쩔 수없이 육아·살림하는 남자 늘었다.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 newsView/20210310515139에서 2021년 9월 2일 인출 | 미소장 |
19 | 우신영(2017). 교육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구: 영화 <4>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비평 적 에세이를 대상으로, 교육연구, 69, 39-60. https://doi.org/10.17253/swueri.2017.69.002 | 미소장 |
20 | 육정학(2022). 영화 <보이스>를 통해 본 사회적 함의와 교육.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2), 95-104. https://doi.org/10.21184/jkeia.2022.2.16.2.95 | 미소장 |
21 | 윤미화(2016). 아버지의 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아버지 육아휴직자 가족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이상호(2013). 더불어 살아가는 즐거움을 알게 해 준 생태유아교육.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55-60. 2013년 11월 30일. | 미소장 |
23 | 이연주(2022). 아버지와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질적 수준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이영경, 김은주(2016). '품앗이 육아'를 통한 부모 되어가기,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33-53. | 미소장 |
25 | 이은하(2012). 예비유아교사의 장애관련 영화 감상 경험의 의미 탐색, 생애학회지, 2(1), 1-19. | 미소장 |
26 | 이은미, 신현규(2022).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러터러시연구, 13(3), 217-238. https://doi.org/10,37736/KJLR,2022,06.13.3.06 | 미소장 |
27 | 이지은(2016). Levinas의 "타자철학” 관점에서 본 교육적 관계맺음의 의미: 영화 |
미소장 |
28 | 장지혜(2013).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전가일, 전현욱(2017). 부모-되어감의 이해를 위한 비교체험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0(3), 149-188. https://doi.org/10.17318/jae.2017.20.3.005 | 미소장 |
30 | 전연우, 조희숙(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43-363. | 미소장 |
31 | 지나영(2022). 세상에서 가장 쉬운 본질육아. 경기: 21세기북스, | 미소장 |
32 | 최효원(2021).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의미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허달님(2018). 주 양육자로서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한상우(2015). 베르그송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 미소장 |
35 | Bergson, H. (2016). 창조적 진화. (황수영 역), 경기: 아카넷. (원저 1907 출판). | 미소장 |
36 | Buber, M.(2021). 나와 너. (표재명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저 1923 출판). | 미소장 |
37 | Creswell, J, W.(2017).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한유리 역) 서울: 박영스토리. (원저 2016 출판). | 미소장 |
38 | EBS파더쇼크제작팀 (2013). EBS 다큐프라임 파더쇼크. 경기: 쌤앤파커스, | 미소장 |
39 | Held, V.(2017). 돌봄: 돌봄윤리, 개인적, 정치적, 지구적. (김희강, 나상원 역), 서울: 박영사 (원저 2006 출판). | 미소장 |
40 | Schaefer, E, S., Bell, R, Q., Nancy Bayley(1959). Development of a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5, 84-10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