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신경숙·은희경·전경린 소설 속 인물들은 남성 팔루스를 욕망하는 인물들이지만 그 양상은 각기 다르다.

신경숙의 소설에서 여성 인물은 우울증을 통해 쾌락 결여의 젠더를 구성한다. 어린 시절 좌절된 동성애의 기억은 여성 인물을 우울증에 빠뜨리고 그 결과 나르시시즘 단계로 퇴행한다. 이 여성 인물은 남성 팔루스를 욕망하지만 자기 욕망을 철회함으로써 자기 쾌락을 비워두게 된다. 이러한 쾌락 결여의 여성 젠더는 전통적 모성과 조응함으로써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은희경의 소설에서 여성 인물은 반복 복종을 통해 쾌락 배제의 젠더를 구성한다. 이 인물은 남성 팔루스를 욕망하지만 스스로를 열등 인자로 몰아넣으며 자폐적 세계로 도피한다. 쾌락 배제의 여성 젠더는 정신병원 수감을 거쳐 불모의 성에 이르게 된다. 그것은 결과적으로 가부장제의 근간이 되는 가정을 해체하는 역할을 한다.

전경린의 소설에서 여성 인물은 남성 팔루스를 패러디하는데 그 결과 쾌락과잉의 젠더가 된다. 이 여성 인물은 남성 팔루스를 욕망하면서 성적으로 과잉된 존재가 된다. 이는 남성 인물의 자유로운 성적 관계에 대한 패러디이다. 이러한 패러디는 남성의 성적인 권위를 부정하고 남성/여성 간의 위계를 무너뜨리는 효과를 낳는다. 쾌락 과잉의 여성 젠더는 성에 깊이 빠져들게 됨으로써 성적 모험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여성의 젠더는 팔루스에 대한 욕망에 있어서 여성이 쾌락을 드러내는 방식에 따라 여성의 젠더가 다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은 단일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하는 여성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90년대 『녹색평론』의 생태 담론의 형성과 이론적 기반 = The formation and theoretic basis of the ecological discourses of The Green Review 김보경 p. 10-44

팔루스에 대한 여성 욕망과 유동하는 정체성 = Female desire for phallus and fluid identity : a study of the novels of Shin Gyeong-Sook, Eun Hee-Gyeong, Jeon Gyeong-lin : 신경숙 은희경 전경린의 소설을 중심으로 박형숙 p. 45-70

1990년대 소설가 되기의 여성적 욕망 = The desire and shame of a female writer : focusing on Shin Kyung-sook’s novel The Girl Who Wrote Loneliness : 신경숙의 『외딴방』을 중심으로 강도희 p. 71-103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폭력성 연구 = A study on the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post-network dramas : with a focus on Killing Eve and Inspector Koo : 「킬링이브」와 「구경이」를 중심으로 장다빈, 한혜원 p. 267-294

AI는 피해자를 대신하여 증언할 수 있는가 = Can AI testify on behalf of victims? :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AI for use in testimonies of the Japanese army “comfort women” survivors :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 증언 활용 AI콘텐츠의 의의와 한계 임경화 p. 295-323

어머니의 신체와 연결성 = The mother’s body and connectedness : 구비설화에 나타난 '어머니'의 용인과 배제 양상을 중심으로 강성숙 p. 106-136

해방기 전후의 박화성 문학 활동 연구 = Park Hwa-seong’s literary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period 남은혜 p. 137-175

김춘수 문학의 여성 인식에 나타난 이상화/대상화의 기제 연구 = A study of the mechanisms of idealization and objectification in the representations of women in the literary works of Kim Chun-Soo 최희진 p. 176-212

한국 전쟁기 모녀 관계 중심 여성 서사의 계보화 및 구술사/생활사적 성격 탐구 = Exploring the genealogical aspects and oral/life history of women’s narratives centered on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during the Korean War : with a focus on Park Wan-seo’s The Naked Tree and Hwang Jeong-eun’s The Every Year : 박완서 『나목』, 황정은 『연년세세』를 중심으로 선우은실 p. 213-239

'가부장-아내'의 젠더 수행성과 돌봄노동의 윤리적 고찰 = An ethical assessment of the gender performativity of the “Male Patriarch/Wife” relationship and care work : 송경아, 「나의 우렁총각 이야기」와 영화 「박강아름 결혼하다」를 중심으로 이진송 p. 240-266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문학과지성사, 1993. 미소장
2 은희경, 『상속』, 문학동네, 2002. 미소장
3 전경린,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문학동네, 1999. 미소장
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정신분석세미나팀,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2003, 66쪽. 미소장
5 정순진, 『여성의 현실과 문학』, 푸른사상, 2001, 90쪽. 미소장
6 조현준, 『젠더는 패러디다』, 현암사, 2014, 38-45쪽. 미소장
7 한국성폭력상담연구소, 『섹슈얼리티 강의』, 동녘, 1999. 40-41쪽. 미소장
8 미쉘 푸코, 신은영·문경자 옮김, 『성의 역사 2』, 나남, 2004, 26쪽. 미소장
9 쉴로미드 리몬–캐논, 최익규 옮김,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1985, 22-25쪽. 미소장
10 시모어 채트먼,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78쪽, 166쪽, 170쪽. 미소장
11 앤서니 기든스, 배은경·황정미 옮김, 『현대 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새물결, 1996, 34-35쪽. 미소장
12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옮김,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216쪽, 343-344쪽. 미소장
13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정일 옮김,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1997, 252-255쪽. 미소장
14 고미숙, 「‘순정‘과 ’냉소‘ 사이에서 표류하는 페미니즘」, 『비평기계』, 소명출판, 2000, 108-124쪽. 미소장
15 박철화, 「여성 문학의 위상, 정체성과 다양성」, 『우리 문학에 대한 질문』, 생각의 나무, 2002, 147-158쪽. 미소장
16 박현이, 「전경린의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론–여성인물 ‘미흔’의 변환 과정을 중심으로」, 『문예시학』14권, 문예시학회, 2003, 139-164쪽. 미소장
17 박형숙, 「현대여성소설의 섹슈얼리티 연구」, 중앙대박사학위논문, 2013,1-256쪽. 미소장
18 이연숙, 「은희경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 연구–「타인에게 말걸기」와 「그녀의세 번째 남자」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제 37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147-168쪽. 미소장
19 이주미, 「신경숙 소설에 나타난 자기 파멸의 심리적 메커니즘–바이올렛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7권, 한민족문화학회, 2009, 227-251쪽. 미소장
20 장현숙, 「틀 벗어나기, 存在의 상미적(象微的) 소감(消減) –은희경의 단편(短篇)「아내의 상자」를 중심(中心)으로–」 『어문연구』 28권 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0, 110-133쪽. 미소장
21 정경운, 「여성의 ‘몸’을 보는 두 개의 서사: 문자와 영상–정경린의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과 변영주의 「밀애」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26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05, 277-300쪽. 미소장
22 정연희,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의 정신분석학적의미」, 『국제어문』39집, 국제어문학회, 2007, 367-389쪽 미소장
23 조선정, 「모성 서사와 그 불만: 『엄마를 부탁해』와 〈마더〉에 나타난 모성 이데올로기 비판의 문화지형」, 이희원 외, 『페미니즘, 차이와 사이』, 문학동네, 2011, 300-322쪽. 미소장
24 허경, 「‘욕망의 억압’에서 ‘쾌락의 활용’으로–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제23집, 강원대인문과학연구소, 2009, 12, 429-452쪽. 미소장
25 황예인, 「『내 생에』에 새겨진 지문을 찾아서」,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문학동네, 2014, 331-351쪽. 미소장
26 황종연, 「여성성과 전설의 우물」, 『문학동네』, 1995, 가을호, 41-61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