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가 점차 소멸됨에 따라, 코로나로 큰 타격을 입은 외식업계는 사업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는 영업이익 및 고객 회복, 경쟁력 유지에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에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받은 중국의 하이디라오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문헌 및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하이디라오가 직면한 대내외 환경과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이디라오는 기업규모, 제품품질, 서비스품질 및 직원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우위를 가지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하이디라오는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지만, 위협보다 더 많은 기회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하이디라오에 SO-확장전략과 WO-확장전략을 결합하는 발전전략 및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하고, 한국 및 중국 요식업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随着近期新型冠状病毒逐渐消散, 在之前的COVID-19时期受到重创的餐饮业迫切需要调整其经营策略. 这对于提升营业利润和客户恢复以及保持长期竞争力至关重要. 因此, 本研究以受新冠疫情影响相对较小的知名中餐连锁企业海底捞为研究对象, 结合文献和案例分析海底捞面临的内外部环境和竞争力.

分析结果显示, 海底捞在企业规模、产品质量、服务质量、员工管理等方面具有显著优势. 后COVID-19时代, 海底捞面临来自竞争对手的激烈竞争, 但海底捞有望获得更多的机会而不是威胁. 此外, 本研究对提高韩国和中国食品服务公司的竞争力和发展战略提供了启示.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소비자의 공동브랜딩(品牌联名) 제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ntion of Chinese consumers to purchase co-branding products : focusing on Guo Chao(patriotic consumption) and product type(domestic products and foreign products) : 궈차오(国潮, 애국주의 소비) 및 제품유형 (중국산 및 외국산)을 중심으로 서비우, 박상수, 왕서혜 p. 1-32
중국 출생성비 불균형 분석 = Analysis of imbalance of sex ratio at birth in China : focusing on 2020 population census of China : 인구센서스 자료를 중심으로 최준환, 최정석 p. 33-53
천두슈의 마르크스주의 수용에 관한 한 연구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Marxism by Chen Duxiu 이정구 p. 55-80

중국의 알고리즘 규제와 국가 = The regulation on algorithm and the state in China : focusing on the goals, implementation and consequences of the regulation : 규제의 목표, 실시 및 결과를 중심으로 이중희 p. 81-99
外商直接投资的制造业行业的效率分析 = 외국인직접투자의 제조업 업종별 효율성 분석 : 중국의 사례 : 以中国为例 庞清松, 孙亚楠, 金相郁 p. 101-128
后疫情时代中国连锁餐饮企业“海底捞”的发展战略研究 = 포스트코로나 시대 중국요식업기업 하이디라오의 발전전략연구 赵晓, 侯宏, 崔明哲, 孟垂杰, 谭笑 p. 129-153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집체학습(集体学习) 분석 = A study on the CPC CC Politburo collective learning : focusing on the Xi Jinping era : 시진핑 시기를 중심으로 임진희 p. 155-174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현수(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하이디라오 경쟁우위 지속성에 대한 함의, 「한중사회과학연구」, 19권1호, pp. 107-126. 미소장
2 조가, 김영길(2020),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에진출한 중국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하이디라오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34권3호, pp. 53-73. 미소장
3 Chou, S.F., Horng, J.S., Liu, C.H., Yu,T.Y., & Kuo,Y.T.(2022), Identifying the critical factors for sustainable marketing in the catering: The influence of big data applications, marketing innovation,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actor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Vol.51, pp. 11-21. 미소장
4 Guo, G., Hu, Y., & Fang, Y.(2020), Transform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atering Industry After COVID-19, In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s and Big Data Application (ICSSBDA 2020), Atlantis Press, pp. 254-257. 미소장
5 Hendrayanti, S., & Nurauliya, V.(2021),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innovation, creativity, product quality, BASKARA: Journal of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Vol.4, Issue1, pp. 85-94. 미소장
6 Lin, J., Huang, Y., Zhang, J., & Chen, R.(2019), Identifying opinion leaders in social media during brand crises: a case study on haidilao hot pot, Review of Integrative Business and Economics Research, Vol.8, Issue 3, p.24. 미소장
7 Ng, H. S., Kuek, T. Y., Zhang, L. K., Yeoh, L. K., Zhang, J. H., Yuan, Y. H., & Sharma, H.(2022), The Impact of Marketing Mix on Customer Satisfaction in Haidilao Hotpot, Advances in Global Economics and Business Journal, Vol.3, Issue 2, pp. 117-129. 미소장
8 Oliveira, M., Santos, T. C. S. D. M. D., Sousa, M., & Lopes, J. M.(2021), COVID 19 impacts on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The case of catering SMEs in Portugal, Academy of Entrepreneurship Journal, Vol.27, pp. 1-9. 미소장
9 Vladimirova, O., Artemova, E., & Zhubreva, T.(2020),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impact of merchandising on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catering enterprises, in Proceedings of the 2019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Vladivostok, Russian Federation, pp. 599-615. 미소장
10 Xiong, X., & Yao, R.(2021), Strategic analysis of the catering industry under Covid-19: A case study in China,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Management, Vol.253, pp. 1-6. 미소장
11 Xu, J.(2021), A Case Study of Public Relations–Based on Haidilao’s Successful Response to Emergencies, Proceedings of Business and Economic Studies, Vol.4, Issue4, pp. 225-227. 미소장
12 崔健(2021), 后疫情时期餐饮企业文化重塑研究——基于海底捞应对疫情的启示, 「现代商业」, 2021年第32期, pp. 77-79. 미소장
13 高山(2015), 连锁经营企业扩张战略研究——以餐饮业为例, 「北京工业大学学报」, 2015年第15期5卷, pp. 38-44. 미소장
14 顾彦(2018), 上菜只需2分钟, 海底捞“无人餐厅”来了, 「中国战略新兴产业」, 2018年第45期, pp.27. 미소장
15 郭思宇·赖华强(2020), 激励理论在企业人力资源管理中的应用研究——以海底捞为例, 「现代商业」, 2020年第579期26卷, pp. 76-77. 미소장
16 荆林波·马彦华(2010), 当前我国餐饮业发展面临的问题及政策建议, 「商业时代」, 2010年第476期1卷, pp. 25-27. 미소장
17 孔璇·肖涛(2019), 新媒体时代下企业危机传播分析——以海底捞事件为例, 「传播与版权」, 2019年第4期, pp. 189-190. 미소장
18 李飞·米卜·刘会(2013), 中国零售企业商业模式成功创新的路径——基于海底捞餐饮公司的案例研究, 「中国软科学」, 2013年第9期, pp. 97-111. 미소장
19 李歌(2020), 企业文化建设对企业发展的影响研究——以海底捞企业为例, 「中国商论」, 2020年第5期, pp. 158-159. 미소장
20 刘梦(2023), 基于人性化理念的企业管理模式分析——以海底捞为例, 「经营与管理」, 2023年5月3日网络首发, pp. 1-13. 미소장
21 路鹃·吴龙·张允奕·王羽瑶(2019), 组织形象建设在食品安全危机管理中的作用——以“海底捞后厨门”事件为例, 「青年记者」, 2019年第2期, pp. 105-106. 미소장
22 苗祉婳(2022), 疫情影响下海底捞财务风险分析, 「合作经济与科技」, 2022年第22期, pp. 162-164. 미소장
23 唐艳·胡桐(2021), 落入红海还能“海底捞”吗?——基于海底捞的供应链风险分析及优化, 「企业管理」, 2021年第11期, pp. 39-44. 미소장
24 王宇(2022), 探究“互联网+”背景下餐饮企业竞争力影响因素, 「商场现代化」, 2022年第972期15卷, pp. 24-26. 미소장
25 武亚军·张莹莹(2015), 迈向“以人为本”的可持续型企业——海底捞模式及其理论启示, 「管理案例研究与评论」, 2015年第8期1卷, pp. 1-19. 미소장
26 许静怡·崔明哲·李浩然(2022), 中国文旅企业华侨城的成功原因分析, 「中國地域硏究」, 2022年第9期2卷, pp. 177-195. 미소장
27 张荣齐·田文丽(2014), 餐饮连锁企业O2O商业模式研究, 「中国市场」, 2014年第795期32卷, pp. 81-88. 미소장
28 郑晓明·丁玲·欧阳桃花(2012), 双元能力促进企业服务敏捷性——海底捞公司发展历程案例研究, 「管理世界」, 2012年第2期, pp. 131-147, 18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