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관(2020), 숙종조 인쇄 출판과 서적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미소장 |
2 | 강민구(2016), 조선 3대 유서의 형성과 특징, 보고사. | 미소장 |
3 | 강민정(2015), 九章術解의 연구와 역주 ,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번역학전공 박사논문. | 미소장 |
4 | 강혜선(1999), 박지원 산문의 고문 변용 양상, 태학사. | 미소장 |
5 | 구지현(2011), (1763) 계미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보고사. | 미소장 |
6 | 권진옥(2020),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에서 창작의 지평으로, 학자원. | 미소장 |
7 | 김대중(2019a), 잡동산이 내 碑誌傳狀 수습 양상 , 한국실학연구 38, 한국실학학회, 213~246면. | 미소장 |
8 | 김대중(2019b), 풍석 서유구 산문 연구, 돌베개. | 미소장 |
9 | 김명호(2022), 열하일기 연구(수정증보판), 돌베개. | 미소장 |
10 | 김영진(2003), 조선후기의 明淸小品 수용과 小品文의 전개 양상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은정(2014), 申翊聖의 瀋陽 체험 기록 北征錄 , 동양학 5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7~217면. | 미소장 |
12 | 김철범(2012), 한문산문 글쓰기론의 논리와 전개, 보고사. | 미소장 |
13 | 김하라(2015), 일기를 쓰다: 흠영 선집, 돌베개. | 미소장 |
14 | 노요한(2019), 조선초기 官撰 註解書의 문헌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박선이(2022), 숙종~정조대 科策과 科表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박수밀(2013),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돌베개. | 미소장 |
17 | 박수밀(2020), 열하일기 첫걸음: 조선 최고의 고전을 만나는 법, 돌베개. | 미소장 |
18 | 박종채 술, 김윤조 역(1997), (역주)過庭錄, 태학사. | 미소장 |
19 | 박철상(2011), 정조의 비밀 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 푸른역사. | 미소장 |
20 | 박희병(2010), 연암과 선귤당의 대화: 종북소선의 평점비평 연구, 돌베개. | 미소장 |
21 | 배우성(2015), 독서와 지식의 풍경: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읽기와 쓰기, 돌베개. | 미소장 |
22 | 백승호(2020), 정조의 문치: 글쓰기로 인의의 정치를 펴다, Humanist. | 미소장 |
23 | 백진우(2011), 朝鮮後期 史論 散文 硏究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서유구 저, 임원경제연구소 역(2016~2021), 임원경제지, 풍석문화재단. | 미소장 |
25 | 서유구 저, 진재교ㆍ노경희ㆍ박재영ㆍ김준섭ㆍ박지은ㆍ이정욱ㆍ전형윤ㆍ지금완 역(2019), 금화경독기, 자연경실. | 미소장 |
26 | 송혁기(2021), 나만이 알아주는 나 : 조귀명 평전, 글항아리. | 미소장 |
27 | 송호빈(2017), 金秉善 編 華東唱酬集 硏究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신상필(2022), 조선전기 서사문학의 지형과 제 양상: 필기 문학을 중심으로 , 고전문학연구 61, 한국고전문학회, 71~101면. | 미소장 |
29 | 신익철(2009), 조선 후기 한문학과 중국문학, 소명출판. | 미소장 |
30 | 심경호(1988), 조선 후기 古文의 형식미 , 관악어문연구 13,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27~150면. | 미소장 |
31 | 심경호(1998), 한문산문의 기록성과 국문산문의 관련성 , 한국한문학연구 22, 한국한문학회, 79~110면. | 미소장 |
32 | 심경호(2005), 연암 박지원의 논리적 사유방법과 闢異端論 비판 , 대동한문학 제23집, 대동한문학회, 109~142면. | 미소장 |
33 | 심경호(2007), 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 특히 管子와 老子의 독법과 관련하여 , 한국실학연구 13, 한국실학학회, 365~405면. | 미소장 |
34 | 심경호(2016b), 한국 한문산문사 서술의 제문제 , 한국한문학연구 64, 한국한문학회, 59~117면. | 미소장 |
35 | 심경호(2016c), 고문서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역주를 통한 의미의 확장 , 장서각 36, 한국학중앙연구원, 69~102면. | 미소장 |
36 | 심경호(2017), 조선후기 변격시문에 관한 일고찰 , 대동한문학 53, 대동한문학회, 5~36면. | 미소장 |
37 | 심경호(2018a),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 한문학논집 49, 근역한문학회, 273~350면. | 미소장 |
38 | 심경호(2018b), 내면기행: 옛사람이 스스로 쓴 58편의 묘비명 읽기, 민음사. | 미소장 |
39 | 심경호(2020a),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 그 역사문화상 기능 , 한국한문학연구 77, 한국한문학회, 225~300면. | 미소장 |
40 | 심경호(2020b),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종류와 기록자 계층 , 동아한학연구 14,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391~456면. | 미소장 |
41 | 심경호(2020c), 옛 그림과 시문, 세창출판사. | 미소장 |
42 | 심경호(2021b),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일조각. | 미소장 |
43 | 심경호(2021c), 이황의 表箋과 上樑文 , 퇴계학논집 28, 영남퇴계학연구원, 185~217면. | 미소장 |
44 | 심경호(2021d), 經世學으로서의 經學 방법론 탐색: 정약용의 詩解를 중심으로 , 金泳鎬ㆍ李民ㆍ미야지미 히로시(宮嶋博史)ㆍ차이쩐펑(蔡振豊) 외 저, 세계사 속의 다산학: 실학의 집대성에서 동서문화의 통합으로, 지식산업사, 41~69면. | 미소장 |
45 | 심경호(2021e), 1634년 별시 책문의 정치성 , 문명과 경계 4,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259~331면. | 미소장 |
46 | 심경호(2022a), 하곡 정제두의 詩箚錄과 詩誦에 대하여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경학연구 초청강연회, 2022년 1월 22일(토) 오후 1시~3시. | 미소장 |
47 | 심경호(2022b), 『호, 주인옹의 이름』,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48 | 심경호(2022c), 산문기행, 민음사. | 미소장 |
49 | 심경호(2022d), 성호사설의 ‘字書’ 인용에 대하여 , 민족문화 61, 한국고전번역원, 41~88면. | 미소장 |
50 | 심경호(2023a), 김시습의 관동 관련 시문과 불교 관련 시문 역주, 만해불교아카데미제작 DB. | 미소장 |
51 | 심경호(2023b), 명나라 찬획 袁黃의 임진전쟁 당시 공문, 그리고 조선 관료와의 학술쟁변에 대하여 , 동아한학연구 16,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1~97면. | 미소장 |
52 | 沈慶昊(2016a), 明淸文學與學問在朝鮮的受容 , 中正學報, 臺灣中正大學. | 미소장 |
53 | 沈慶昊(2019a), 近世以前の韓国における国家、社会と 文 , 河野貴美子, Wiebke Denecke, 新川登龜男, 陣野英則 共編, 日本文學史3, 勉誠出版. | 미소장 |
54 | 沈慶昊(2019b), 近代以前の韓国における知的活動と 文 , 河野貴美子, Wiebke Denecke, 新川登龜男, 陣野英則 共編, 日本文學史3, 勉誠出版. | 미소장 |
55 | 沈慶昊(2019c), 李滉朱子行狀輯注小考 , 朱子學硏究 32, 朱子學硏究編委會編, 江西敎育出版社. | 미소장 |
56 | 沈慶昊(2021a), 朝鮮の漢文ㆍ変体漢文 , 金文京編, 漢字を使った文化はどう広がったのか : 東アジアに漢字漢文文化圏, 東京:文学通信. | 미소장 |
57 | Sim Kyung-Ho and Peter Kornicki(2017), 34. Sino~Korean Literature , The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dited by Wiebke Denecke, edited by Wai~Yee Li, and edited by Xiaofei Tia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8 | Sim Kyung-Ho(2019), The Fundamental Studies Concern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the Associated Compilation of Texts with Collected Commentaries during the Reign of Sejong ,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colume 22 Number 1,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une 2019. | 미소장 |
59 | 심경호ㆍ김우정 역(2018), 당육선공주의 1, 전통문화연구회. | 미소장 |
60 | 심경호ㆍ김우정 역(2019), 당육선공주의 2, 전통문화연구회. | 미소장 |
61 | 심규식(2023), 광해군 시대 관각문학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2 | 안대회(2019), 청장관 이덕무 연구, 학자원. | 미소장 |
63 |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ㆍ이홍식ㆍ장유승ㆍ이현일(2017), 한국 산문선 1~9(전9권), 민음사. | 미소장 |
64 | 안득용(2019), 한국 고전 자기서사 연구: 선인들의 자기 돌봄과 돌아봄, 태학사. | 미소장 |
65 | 안세현(2015), (누정기를 통해 본) 한국한문산문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미소장 |
66 | 오보라(2018), 西陂 柳僖 文學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7 | 윤선영(2019), 조선 시대 科試의 四書疑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8 | 윤재환(2020), 명곡 최석정 문학세계에 대한 접근의 일단, 학자원. | 미소장 |
69 | 이가원(1961),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 미소장 |
70 | 이강옥(2018), 한국 야담의 서사세계, 돌베개. | 미소장 |
71 | 이기백ㆍ노용필ㆍ박정주ㆍ오영섭 공저(1993초, 1995중판), 최승로 상서문 연구, 일조각. | 미소장 |
72 | 이대형(2018), 無竟集文稿의 변려문과 역사성: 事蹟詞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62, 열상고전연구회, 195~224면. | 미소장 |
73 | 이대형ㆍ이미라ㆍ박상석ㆍ유춘동 역(2012), 要覽, 보고사. | 미소장 |
74 | 이종묵ㆍ김형술ㆍ당윤희ㆍ박민수ㆍ백승호ㆍ장유승ㆍ한종진(2021), 조선에 전해진 중국 문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75 | 이현주(2016), 역관상언등록 연구: 17세기 조선 외교사를 담당한 역관들의 생생한 기록, 글항아리. | 미소장 |
76 | 이희목(2005), 이건창 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미소장 |
77 | 임완혁(2008), 구연 전통과 서사, 태학사. | 미소장 |
78 | 임형택(2012), 한문서사의 영토, 태학사. | 미소장 |
79 | 장보웨이(張伯偉) 저, 심경호 역(2017), 동아시아 한문학 연구의 방법과 실천, 고려대학교출판원. | 미소장 |
80 | 장진엽(2017), 계미통신사 필담의 동아시아적 의미, 보고사. | 미소장 |
81 | 전경목(2017), 조선후기 탄원서 작성과 수사법 활용: 고문서학과 한문학의 연구 접점시론 , 대동한문학 52, 대동한문학회, 31~66면. | 미소장 |
82 | 정민(1989), 朝鮮後期 古文論 硏究, 아세아문화사. | 미소장 |
83 | 정민(2020), 오늘 아침, 나는 책을 읽었다: 선비의 독서법, 연암의 산문 미학, 태학사. | 미소장 |
84 | 정승경(2022), 霽月堂 宋奎濂家 所藏 先札 譯注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5 | 정우봉(2021), 조선 사람들, 자기 삶을 고백하다, 세창출판사. | 미소장 |
86 | 조계영(2014),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 16~18세기 한ㆍ중ㆍ일 서적의 전파와 수용, 소명출판. | 미소장 |
87 | 진재교(2007), 이조 후기 箚記體 筆記 연구-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 한국한문학연구 39, 한국한문학회, 387~425면. | 미소장 |
88 | 최식(2009), 조선의 기이한 문장: 항해 홍길주 산문 연구, 글항아리. | 미소장 |
89 | 최혜미(2022), 17세기 年譜 編刊의 역사적 맥락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0 | 하지영(2021), 천하제일의 문장: 신유한 평전, 글항아리. | 미소장 |
91 | 한영규(2020), 19세기 이후 인물지의 여성 기록 편성 방식 , 대동한문학 64, 대동한문학회, 245~278면. | 미소장 |
92 | 허경진(2009), 정원용 관련 저술 해제집, 보고사. | 미소장 |
93 | 홍길주 저, 박무영 역(2021), 누가 이 생각을 이루어 주랴 1~2, 태학사. | 미소장 |
94 | 홍길주 저, 박무영ㆍ이주해ㆍ김철범ㆍ이은영ㆍ이현우 역(2006), 峴首甲藁ㆍ縹礱乙㡨ㆍ沆瀣丙函, 태학사. | 미소장 |
95 | 홍학희ㆍ김기림ㆍ김현미ㆍ서경희ㆍ황수연ㆍ차미희ㆍ강성숙ㆍ김경미ㆍ이경하ㆍ조혜란 역주(2013), 19세기ㆍ20세기초 여성생활사 자료집(1~9), 보고사. | 미소장 |
96 | 황위주(2008), 조선시대 古文書의 漢文文體的 特徵 , 대동한문학 28, 대동한문학회. | 미소장 |
97 | 高橋博巳(2009), 東亞の文芸藝共和國, 新典社. | 미소장 |
98 | 川原秀城(2010), 朝鮮數學史: 朱子學的な展開とその終焉, 東京大學出版會 ; 川原秀城 저, 안대옥 역(2017), 조선수학사, 예문서원. | 미소장 |
99 | 川西裕也(2015), 高麗の国家体制と公文書 , 史苑 75-2, 立敎大學史學會. | 미소장 |
100 | 川西裕也(2016), 朝鮮中近世の公文書と国家: 変革期の任命文書をめぐって , 法制史研究 法制史學會年報 65(2015), 日本: 法制史學會. | 미소장 |
101 | 李儼ㆍ杜石然 저, 안대옥 역(2019), 중국수학사, 예문서원. | 미소장 |
102 | 아담 샬 편저, 전용훈ㆍ한형조ㆍ곽문식ㆍ김보름ㆍ최정연 역주(2022), 주제군징: 만물로써 신의 섭리를 증명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