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수명, 『새로운 오독이 거리를 메웠다』, 세계사, 1995. | 미소장 |
2 | 이수명,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 세계사, 1998. | 미소장 |
3 | 김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 미소장 |
4 | 김석, 『불안-존재의 목소리』, 은행나무, 2022. | 미소장 |
5 | 김홍중, 멜랑콜리와 모더니티 ,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 미소장 |
6 | 오형엽, 『알레고리와 숭고』, 문학과 지성사, 2021. | 미소장 |
7 | 유성호, 오세영 외, 탈냉전의 시기(1991년~2000년) , 『한국 현대시사』, 민음사, 2007. | 미소장 |
8 | 이수명, 『공습의 시대-1990년대 한국시문학사』, 문학동네, 2016. | 미소장 |
9 | 이수명, 『표면의 시학』, 난다, 2018, 41-42쪽. | 미소장 |
10 |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 양영란 역,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 미소장 |
11 | 이폴리트 텐(Hippolyte Taine), 정재곤 역, 『예술철학』, 나남, 2013. | 미소장 |
12 | 자크 라캉(Jacques Lacan), 홍준기 외 역, 『에크리』, 새물결, 2019. | 미소장 |
13 | 로이스 타이슨(Lois Tyson), 윤동구 역, 『비평이론의 모든 것』, 앨피, 2012. | 미소장 |
14 | 로버트 스탬(Robert Stam), 오세필·구종상 역,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한나래, 1998. | 미소장 |
15 | 숀 호머(Sean Homer), 김서영 역, 『라캉 읽기』, 은행나무, 2014. | 미소장 |
16 |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빈 몸’의 윤리와 감각화 방식: 이수명, 조용미의 시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34,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 미소장 |
17 | 김청우, 개시(開示)된 은폐를 들추기-이수명 시의 한 읽기 , 『시와세계』 38, 시와세계, 2012. | 미소장 |
18 | 김한식, 이미지와 상상력의 시공 여행-이수명과 배신호의 시 , 『현대시학』 363, 현대시학사, 1999. | 미소장 |
19 | 김현섭, 수직도시와 수직건축, 그리고 수직의 욕망 , 『建築』 354, 2008. | 미소장 |
20 | 김홍진, 현대시에 나타나는 도시 이미지의 반영 의식-1990년대 이후의 시와 그로테스크 시학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67, 국어문학회, 2018. | 미소장 |
21 | 변학수, 꿈/詩의 상징과 상징적 표현 , 『현대시학』 393, 현대시학사, 2001. | 미소장 |
22 | 안지영, 시에서 ‘소통’이란 무엇인가-이수명 시를 중심으로 , 『시와정신』 47, 시와정신사, 2014. | 미소장 |
23 | 오형엽, 공포와 환상의 시적 계보 , 『신생』 65, 전망, 2015. | 미소장 |
24 | 이성혁, 움직이는 형상들의 매혹, 또는 감염 , 『현대시』 207, 한국문연, 2007. | 미소장 |
25 | 이승훈, 변기와 인터랙티브 미학-디지털 시대의 시쓰기 , 『문학사상』 329, 문학사상사, 2000. | 미소장 |
26 | 이재복, 놀이의 현상학 , 『 현대시학』 425, 현대시학사, 2004. | 미소장 |
27 | 이재복, 아이덴티티는 너무 20세기적이야-박상순, 이수명, 황병승, 김경주를 중심으로 , 『열린시학』 50, 고요아침, 2009. | 미소장 |
28 | 이창민, 영혼과 무의식 , 『서정시학』 12, 계간 서정시학, 2001. | 미소장 |
29 | 이혜원, 1990년대 서술시의 양상과 그 의미 , 『어문학』 99, 한국어문학회, 2008. | 미소장 |
30 | 이혜원, 미지의 세계를 향한 진지한 놀이-이수명론 , 『계간 시작』 51, 천년의시작, 2014. | 미소장 |
31 | 이혜원,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 2 , 『현대시의 윤리와 생명의식』 소명출판, 2015. | 미소장 |
32 | 이혜원, 철도, 공장, 골목-서대경 시에 나타나는 도시의 표상과 감각 , 『발견』 28, 2020. | 미소장 |
33 | 이희우, 나의 우울과 나무의 기쁨 , 『문학과사회』 138, 문학과지성사, 2022. | 미소장 |
34 | 이훈, 삶에서 죽음으로의 이행, 자가형성의 회전체들-이수명론 , 『시와 반시』 74, 시와반시사, 2010. | 미소장 |
35 | 전명환, 이수명 시의 언어적 특성 연구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