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진동영, 김의준, “주력산업의 위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지역개발연구, 제53권, 제2호, pp.149-173, 2021. | 미소장 |
2 | 문동진, 이수기, 홍준현, “산업구조의 다양성과 지역 경제 성장: Jacobs의 산업 다양성 이론을 바탕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4권, 제4호, pp.35-66, 2014. | 미소장 |
3 | 이두희, 김송년, 유이선, 김지수, 지역산업위기 유형분석과 위기대응방안 및 산업전환전략, 산업연구원, 2019. | 미소장 |
4 |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 2/bbs/bbsView.do?bbs_seq_n=164436&bbs_cd _n=81¤tPage=1&search_key_n=&cate_n =&dept_v=&search_val_v= | 미소장 |
5 | 이종호, 장후은,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동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46-257, 2019. | 미소장 |
6 | 정성훈,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37-245, 2019. | 미소장 |
7 | 황진호, “산업도시와 지역의 변화: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2019. | 미소장 |
8 | 김현지, 김성진, 김한국,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감성분석에 따른 지역 산업생태계 위기 예측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8호, pp.1-9, 2020. | 미소장 |
9 | 정성훈·최다희, 강원도 산업단지 집적화 추진 현황 및개선 방안, 한국은행 강원본부, 2018. | 미소장 |
10 | 박소영, 산업위기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과 과제, 국토연구원, 2019. | 미소장 |
11 | 정준호,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 정책 방향,”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9권, 제4호, pp.782-798, 2016. | 미소장 |
12 | D. Massey, Space, Place and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4. | 미소장 |
13 | 전지혜, 이철우,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91-303, 2019. | 미소장 |
14 | J. Bachtler and R. Downes, A Time of Policy Change: Reforming Regional Policy in Europe, EoRPA Paper 19/1, European Regional Policy Research Consortium, University of Strathclyde, Glasgow and Technical University of Delft, 2019. | 미소장 |
15 | G. Owen, Industrial policy in Europe since the Second World War: what has been learnt?, ECIPE Occasional paper, European Centre for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Brussels, Belgium, 2012. | 미소장 |
16 | 정승국, 지역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입법·정책적 대응 사례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2019. | 미소장 |
17 | A. Beer,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me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ustralia,” Local Economy, Vol.30, No.1, pp.21-40, 2015. | 미소장 |
18 | R., Hassink, A. Isaksen, and M, Trippl, “Toward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ew regional industrial path development,” Regional Studies, Vol.53, No.11, pp.1636-1645, 2019. | 미소장 |
19 | 김지수, 지역산업역량에 따른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유형 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20. | 미소장 |
20 | 주미진, “4차 산업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375–389, 2021. | 미소장 |
21 | 남기성, 오민홍, 홍현균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상대집중지수의 제안,” 응용통계연구, 제21권, 제4호, pp.581-588, 2008. | 미소장 |
22 | 김계숙, 고석찬, “집적경제가 지역 고용성장에 미친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4권, 제7호, pp.43-59, 2009. | 미소장 |
23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tblId=D T_127005_B005&orgId=127&language=kor&co nn_path=&vw_cd=&list_i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