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부산대학교 박물관 소장 훈몽자회 책판은 조선 중종 때의 역관인 최세진이 저술한 〈훈몽자회〉를 목판에 새긴 것으로, 인, 상, 중, 하 총 52점으로 구성되었다. 위 책판은 충해로 인해 목질부 손상이 다수 발생한 것이 확인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에 앞서 유물 내외부 상태조사를 위해 X-ray를 촬영한 결과, 책판 표면과 내부에서 가해 해충의 충공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다수 관찰되었다. 또한, 책판 제작에 사용된 수종 확인을 위한 수종분석 결과 52점 모두 단풍나무속으로 확인되었다. 처리 전 조사 이후 훈몽자회 책판의 디지털 기록화 및 정밀실측을 위해 3D scan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크기가 다양한 결구별 마구리를 제작할 수 있었다. 책판의 보존처리는 세척-강화처리-마구리 제작 및 결합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위 보존처리 방법을 적용한 결과 충해로 인해 열화되어 박락이 발생하는 목질부를 안정적으로 보존처리할 수 있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8, Guidelines for establishing 3D scan data for cultural heritage. | 미소장 |
2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 Printing Woodblocks with inscription of “Hunmongjahoe”, https://www.heritage.go.kr/ 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2101660000&pageNo=1_1_1_1(2015). | 미소장 |
3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0, Temples Woodblocks Conservation Processing Guide Book. | 미소장 |
4 | Haeinsa Temple and Hapcheon-gun, 2018, Conservation study of duplicated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einsa temple. | 미소장 |
5 | Kim, E.H., 2016, Hydroxypropyl cellulose treatment for surface stabilizing of polyethylene glycol-treated waterlogged wood. Master’s thesis, Chungbo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 미소장 |
6 | Korean Studies Institute, 2007, Introduction to Woodblocks, https://gunwi.go.kr/mokpan/sitemenu/view.do?menuCode =49(2007). | 미소장 |
7 | Lee, P.W., 1997, Wood properties and uses of the tree species grown in Korea Ⅱ.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Korea. | 미소장 |
8 |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0, Conservation of Wood cultural heritage. | 미소장 |
9 | Seo, J.H. and Park, S.J., 2011, Conservation of lacquered furniture amd woodblocks. The Jounal of Conservation Properties, 8, 36-49. | 미소장 |
10 | Park, S.J., 1992, The uses of major high-quality species in Korea. Korean Society of Architecture, 36(4), 102-105. | 미소장 |
11 | Park, S.J., Lee W.Y. and Lee, W.H., 2006, Timber organization and identification. Hyangmunsa, Korea. | 미소장 |
12 | Park, S.J. and Kang, A.G., 1996, Species Identification of Tripitaka Korean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4(3), 80-89. | 미소장 |
13 | Jo, S.Y., Park, J.H. and Kim, S.C., 2022, Experimental study for consolidating materials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block.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8(2), 166-17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