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날뫼북춤의 춤사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영상자료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날뫼북춤은 전체적인 춤사위가 절제되고 통일감 있는 춤으로서 군사들이 훈련을 받은 것과 같이 체계적이고 일사 분란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제5마당의 강강술래와 제7마당의 오방진 등에서는 군사훈련을 위해 대형을 짜고 훈련을 하는 모습이 연상되는 등 전체적으로 체계적인 전투무용과도 같다. 둘째, 날뫼북춤은 군사적인 요소가 강한 만큼 농경문화의 영향을 받은 춤사위는 거의 드물지만, 11마당과 12마당을 통해 농경문화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1마당과 12마당을 통해 날뫼북춤에 농경문화적 성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전체적인 춤사위의 흐름을 살펴보면, 군사적 요소가 더 부각됨으로서 날뫼북춤은 전투무용적 성향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광주지역 교방과 권번, 광주시립국악원의 한국전통춤 교육 연구 =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t the Gwangju Regional Gyobang and Kwon Byeon, Gwangju National Gugak Center 공진희 p. 1-15

국가무형문화재 무용 분야 종목 지정 조사지표의 구성과 변화 양상 = Dance's survey indicators' composition and evolution for recognition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김연정 p. 17-39

중국소수민족무용 연구 = A study on the miniority ehthnic dance of China : focus on ‘One Asia in Dance’ : <춤으로 만나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남수진 p. 41-65

부산시립무용단의 사(史)적 흐름 고찰 = A study on the historical flow of the Busan Municipal Dance Company 민성희, 허태성 p. 67-102

진주지역 대학 무용교육의 양상과 의의 =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the Jinju region 박미경 p. 103-128

날뫼북춤 춤사위 연구 = A study on the Nalmoe Drum Dance 윤제명, 윤혜미 p. 129-148

'전통무용' 분야 무형문화재 제도 현황과 쟁점 = 'Traditional dance' :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이종희 p. 149-175

호남권번의 기예전승 연구 = A study on the artistic transmission of Honam region 이현주 p. 177-204

광주지역 축제 속의 무용공연 흐름 및 변화분석 = Analysis of trends and changes in local festivals of Gwangju : focus on the Gwangju Fringe Festival : 광주 프린지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조호석 p. 205-226

재매개 이론을 통한 메타버스 체험공연 <비비런>의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scalability of metaverse experiential performance BIBIRUN through remediation theory 주송현 p. 227-247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몸 관리행동 간의 인과관계 = Gender as a moderator variable :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body shaping behaviour of dance major students at art high school : 성별 조절효과 중심으로 현임숙, 정진욱 p. 249-272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미숙(2013). 날뫼북춤의 제의성과 사회기능성 고찰. 무용예술학연구, 40(1), 19-41. 미소장
2 김종대(1988). 우리고장 대구. 대구: 영문사. 미소장
3 나문구(2014). 비산농악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대구직할시(1990). 무형문화재 보고서 제130호. 대구: 대구직할시. 미소장
5 박재희(2001). 날뫼북춤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박태선(2017). 날뫼북춤 연행 과정에 내재된 장단의 리듬 유형 분석 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백현순(2011). 날뫼북춤의 철학적 의미 고찰. 한국무용연구, 29(1), pp. 1-22. 미소장
8 부산직할시 북구 문화공보실(1993). 낙동강유역 민속, 민요집. 부산: 낙동향토문화원. 미소장
9 유대안(2003). 날뫼북춤의 장단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유무열(1998). 농악. 서울: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미소장
11 이병옥(2000). 한국무용민속학 개론. 용인: 노리. 미소장
12 이상복(2012). 대구 비산 농악의 정체성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정윤희(2021). 다문화가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전통춤 교육방안-마이크로 러닝을 활용한 날뫼북춤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2, 115-152. 미소장
14 최명호(1998). 대구 지역의 날뫼북춤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최명호(2000). 날뫼북춤의 지도 방안 연구. 국악교육, 18, 317-339. 미소장
16 최혜정(1996). 대구 날뫼북춤과 밀양 오북춤의 비교연구. 상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출판부. 미소장
18 네이버사전. https://ko.dict.naver.com(2019.10.30.검색). 미소장
19 대구향토역사관. https://artcenter.daegu.go.kr(2019.10.22.검색). 미소장
20 디지털진도문화대전. http://jindo.grandculture.net(2019.10.11.검색). 미소장
21 비산농악 날뫼북춤 보존회. http://bsan2.enterweb.co.kr/(2019.9.3.검색). 미소장
22 광진 주민연대 15주년 기념 날뫼북춤 공연영상, 2015년 10월 13일 미소장
23 날뫼북춤 윤종곤 보유자 인터뷰, 2019년 10월 21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