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초등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 내용과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시 실과교육에서 발명교육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에서 고시한 2009,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문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 토의를 통하여 발명교육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도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의 발명교육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차원에서 단순한 창의성 교육이나 발명기법 교육을 넘어 기술 혁신의 성격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발명 단원의 목표에 발명이 가진 기술 혁신의 성격을 강조하여 서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목표 차원에서 발명 교육을 기술 교과 역량의 함양을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서 관련된 내용지식과 활동 체험 및 가치 함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셋째, 내용 체계 차원에서 발명교육의 내용적 범위를 지식 재산 교육의 차원으로 확대하여 구성한다. 넷째, 성취기준 차원에서 발명교육 내용 요소의 종합적 성격을 발명 수업 지도안에 도식화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발명 수업의 정체성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며 발명수업의 성찰 및 컨설팅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교수·학습 및 평가 차원에서 융합적 성격의 발명 수업 전략 및 모형을 개발할 시 메이커 활동 연계, 생태전환 관점 연계, STEAM 연계, 로봇 연계, 디지털 연계 등 다양한 가치 및 내용과 연계한다. 이러한 연계가 이루어질 때 더욱 다채롭고 풍성한 발명교육의 실천이 가능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남북한 실과(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practical art(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 focusing on the 11-year-old curriculum : 만 11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주, 박미정 p. 1-36

실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발명교육 변화 분석 및 발명교육 적용방안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change and how to apply in invention education by revised practical curriculum 임윤진, 윤주혁, 이동원 p. 37-59

친환경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riendly energy educatio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문민, 손장호 p. 61-80

절차적 사고에 기반한 메이커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ak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rocedural thinking : focusing on the theme of a pro-environmental future city : 친환경 미래 도시 주제 중심으로 석예슬, 이상원 p. 81-108

환경교과목 수강 교사의 환경교육 실천에 관한 FGI 연구 = A FGI study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actices of teachers who took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subjects 고인규, 최지연 p. 109-123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career maturity 정다운, 김재호 p. 125-146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ubjective happines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조세영, 김형균 p. 147-170

실과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practical arts on career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최승환, 정진현 p. 171-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