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초등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 내용과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시 실과교육에서 발명교육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에서 고시한 2009,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문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 토의를 통하여 발명교육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도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의 발명교육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차원에서 단순한 창의성 교육이나 발명기법 교육을 넘어 기술 혁신의 성격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발명 단원의 목표에 발명이 가진 기술 혁신의 성격을 강조하여 서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목표 차원에서 발명 교육을 기술 교과 역량의 함양을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서 관련된 내용지식과 활동 체험 및 가치 함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셋째, 내용 체계 차원에서 발명교육의 내용적 범위를 지식 재산 교육의 차원으로 확대하여 구성한다. 넷째, 성취기준 차원에서 발명교육 내용 요소의 종합적 성격을 발명 수업 지도안에 도식화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발명 수업의 정체성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며 발명수업의 성찰 및 컨설팅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교수·학습 및 평가 차원에서 융합적 성격의 발명 수업 전략 및 모형을 개발할 시 메이커 활동 연계, 생태전환 관점 연계, STEAM 연계, 로봇 연계, 디지털 연계 등 다양한 가치 및 내용과 연계한다. 이러한 연계가 이루어질 때 더욱 다채롭고 풍성한 발명교육의 실천이 가능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