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유권자의 뉴스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제20대 대통령 선거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한 일간지 기사를 분석했다. 전국 일간지 10개사와 지역 일간지 9개사의 온라인 기사 1,477건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기사 제목의 특징과 해석 보도의 유형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선거 여론조사 보도 시 과거에 지적되었던 오차범위 해석의 오류나 조사 출처 및 개요를 명시하지 않는 등의 문제는 대체로 해소되었다. 그러나 기사 제목에서 드러나듯 지지율 수치를 중심으로 순위, 차이, 추세만을 강조하는 경마중계형 보도는 여전히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대부분의 보도는 결과 수치를 나열하고 최소한의 1차적 해석만을 제공하며, 2차적 해석의 경우도 따옴표 해석과 훈수두기, 그리고 정치에 대한 회의감을 조장하는 내용이 주요 특징이었다. 물론, 소수 보도의 경우 선거나 정치적 이슈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조사 결과를 근거로 삼는 대안적 해석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권자의 관심과 투표율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경마중계형 보도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그러한 보도의 폐해를 최소화하는 방편으로 수용자의 뉴스 리터러시 향상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가 언론에는 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하는 데 유용한 조언인 동시에 뉴스 수용자에게는 좋은 뉴스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During the election period, numerous news articles report the results of surveys on voting intention and opin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polls coverage and provide guidelines to help news audience evaluate the quality of such news. Thus, we analyzed the contents of 1,477 online news items from 19 daily newspapers published in about two months leading up to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Problems previously pointed out such as ignorance of the margin of error and failure to disclose important poll information have largely been resolved. However, most new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horse-race coverage, focusing on the result figures and rankings only. Otherwise, they minimized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results. In case of interpretive news articles, we identified three features: quotes from third-parties, skepticism about politics and elections, and advice to candidates not voters. Only a few articles provided insightful analysis of the poll results, exploring important contextual factors and underlying political issues. We believe these findings highlight variations in news quality regarding their ability to engage audiences and foster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through the provision of poll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Therefore, we have provided guidelines to enhance news literacy in selecting and evaluating news coverage of polls, which we hope will prove useful for both audiences and journalist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중선거구제와 제3정당의 생존 = Multi-member district and survival of the third party : the cases between the 4th and 8th Korean local elections : 제4~8회 지방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 박상훈, 이재훈 | p. 5-32 |
|
|
청소년 유권자의 제20대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정보 수집 및 투표 경험 탐색 = Exploration on first time voters' political information gathering and voting experience in the 20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 이지영, 손다정, 김아미 | p. 33-69 |
|
|
선거 여론조사 뉴스 리터러시 향상 방안 도출을 위한 제20대 대통령 선거 보도 내용분석 = News coverage of polls during the 20th presidential campaign in Korea : a news literacy approach | 정일권, 진보래 | p. 71-106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