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세계 기반 초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irtual world-based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
남충모, 김종우
|
p. 1-8
|
|
보기
|
|
초등교육현장에서의 Unity 플랫폼 활용성 연구 = A study on Unity platform usability in elementary education fields
|
강설주, 박판우, 배영권
|
p. 9-16
|
|
보기
|
|
학교 안전사고 예방 교육을 위한 Unity 플랫폼 기반 VR 콘텐츠 제작 방향 제안 = Proposal of VR content production direction based on Unity platform for school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
강설주, 배영권, 박판우
|
p. 17-24
|
|
보기
|
|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분류와 요소 = Classification and elements of AI education for teachers
|
신수범
|
p. 25-31
|
|
보기
|
|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격차 해소 방안 탐색 = Exploring ways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using edutech
|
최영아, 임서은, 정영식
|
p. 33-38
|
|
보기
|
|
AI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
임서은, 정영식
|
p. 39-47
|
|
보기
|
|
AI 블록코딩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융합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I block based programming education on creative convergenc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우희정, 정영식
|
p. 49-55
|
|
보기
|
|
국내·외 교육용 콘텐츠 메타데이터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metadata for educational contents
|
범상윤, 정영식
|
p. 57-62
|
|
보기
|
|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맥락 중심의 교육용 데이터셋 주제 탐색 = Exploring context-oriented educational datasets for K-12 AI education
|
김슬기, 김귀훈, 김태영
|
p. 63-71
|
|
보기
|
|
메타버스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소프트웨어 실력 향상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oftware education using metabus[실은 metaverse] on software ability improvement confidence
|
박미희, 허경
|
p. 73-81
|
|
보기
|
|
언플러그드 기반 파이썬 보드게임 개발 및 적용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plugged based Python board game
|
박정호
|
p. 83-88
|
|
보기
|
|
학교 공간의 에듀테크 기반 지식 공유 모델 설계 = Design of edutech-based knowledge sharing model in school space
|
성영훈
|
p. 89-95
|
|
보기
|
|
초등학교 도덕 교과 성취기준별 인공지능 윤리요소의 타당성 검증 = Verif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elements by achievement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moral curriculum
|
장준홍, 정영식
|
p. 97-103
|
|
보기
|
|
AI 챗봇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민주 시민 교육 지도 방안 = A method of gu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using AI chatbot
|
정예지, 마대성
|
p. 105-113
|
|
보기
|
|
PBL 기반의 컴퓨팅사고력 수업모형 적용 및 효과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odel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
박현민, 신승기
|
p. 115-119
|
|
보기
|
|
해외 컴퓨터 교육 및 인공지능 교육 연구 키워드 분석 = Keyword analysis of abroad study about computer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김성준, 허경, 손원성
|
p. 121-126
|
|
보기
|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저학년 언플러그드 SW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plugged SW education program for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storytelling
|
조소영 신승기
|
p. 127-131
|
|
보기
|
|
데이터 리터러시 활용 교육 동향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of education using data literacy
|
김빛나라, 신승기
|
p. 133-138
|
|
보기
|
|
노벨 엔지니어링과 현상 기반 학습 = Novel engineering and phenomenon-based learning
|
홍기천
|
p. 139-145
|
|
보기
|
|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발음지도를 위한 음성인식 애플리케이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
|
김종민, 마대성
|
p. 147-153
|
|
보기
|
|
직접교수법 기반의 알고리즘 교육 수업모형 적용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direct instruction
|
신혜지, 신승기
|
p. 155-160
|
|
보기
|
|
예비교사의 SW·AI 수업에 대한 피어리뷰 문항 타당도 분석 = Analysis of validity of peer review questions for pre-service teacher SW·AI class
|
심재권, 박선주
|
p. 161-167
|
|
보기
|
|
CPS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CPS
|
이재호, 이승훈
|
p. 169-174
|
|
보기
|
|
인공지능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설계 = Elementary data literacy education program desig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
최준기, 구덕회
|
p. 175-181
|
|
보기
|
|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탐구학습 기반 수업 설계 연구 = A study on inquiry learning-based class design for improving data literacy
|
이영호, 김우열, 유인환
|
p. 183-188
|
|
보기
|
|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언플러그드 교육 적용 및 효과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plugged education and effectiveness analysis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지수, 신승기
|
p. 189-194
|
|
보기
|
|
2D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 적용 방안 연구 = Study of class application method using 2D-based metaverse platform
|
배국환, 배영권, 이영호
|
p. 195-200
|
|
보기
|
|
AI 스피커 활용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using AI speakers
|
구성림, 김정랑
|
p. 201-206
|
|
보기
|
|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for computational thinking
|
김호영, 김정랑
|
p. 207-214
|
|
보기
|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
정예지, 김정랑
|
p. 215-220
|
|
보기
|
|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방안과 사서의 전문성 강화에 대한 인식조사 설계 = Library service plan using AI(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design of a perception survey on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
|
석광희, 한병래
|
p. 221-225
|
|
보기
|
|
라즈베리파이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저전력 촬영 시스템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a shooting system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ing Raspberry-Pi and solar cells
|
권오성
|
p. 227-232
|
|
보기
|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의견 분석 = Analysis of teacher opinions on education program using metaverse
|
허경
|
p. 233-238
|
|
보기
|
|
교육 데이터 머신러닝 적용 방안에 대한 교사 의견 분석 = Analysis of teachers' opinions on how to apply machine learning to educational data
|
허경
|
p. 239-244
|
|
보기
|
|
초등학생을 위한 One-Time Password 방식의 웹 로그인 모델 설계 = Development of one-time password web login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마영지, 이영석, 구덕회
|
p. 245-250
|
|
보기
|
|
엔트리 플랫폼 기반 블록 코드 데이터셋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struction block code dataset based on entry platform
|
전인성, 송기상
|
p. 251-255
|
|
보기
|
|
컴퓨팅 사고력 기반 문제해결 수업 모형의 초등학교 적용 및 효과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odel for problem-solving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
나지현, 신승기
|
p. 257-261
|
|
보기
|
|
노벨 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방안 =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n using novel engineering
|
김다은, 구덕회
|
p. 263-269
|
|
보기
|
|
미국의 AI교육 커리큘럼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of the curriculu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us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 문헌 고찰 방법론을 사용하여
|
유원진, 박판우, 김우열
|
p. 271-278
|
|
보기
|
|
루앙프라방교원대학 ICT교육 역량강화 교수연수 프로그램설계 = LPTTC professor training program design for strengthening ICT education competency
|
한병래, 박보경, 김현주, 하경수
|
p. 279-284
|
|
보기
|
|
데이터 리터러시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 Designing data literacy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
박현희, 신승기
|
p. 285-293
|
|
보기
|
|
인공지능도구를 이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개발 =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develop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
양현아, 김갑수
|
p. 295-299
|
|
보기
|
|
Merge Cube를 이용한 인체 수업 모형 개발 = A lesson plan development for the human body using Merge Cube
|
손효상, 김갑수
|
p. 301-305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