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외국어고는 1980년대 초 각종학교의 형태로 시작하여 크고 작은 논란과 함께 40년 이상 유지되어왔다. 정책이 형성되고 오랜 기간에 걸쳐 변화를 거듭하며 유지되어 온 만큼, 외국어고 정책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조망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맥락에서 제도의 형성 및 변화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관점에 따라 외국어고 정책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1982년부터 2023년 6월까지의 외국어고 정책을 4개의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를 구조·제도·행위자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어고 도입기·양적 확대기·정책 전환기·정책 표류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외국어고 정책은 도입기에서 제도가 형성되어 유지되는 ‘경로의존’이 나타났으나, 이후에는 ‘경로진화’ 단계가 계속되고 있었다. 제도 운영 방식의 변화가 일어나는 가겹 단계인 양적 확대기를 거쳐, 내부적으로 정책의 새로운 변화가 발생한 정책 전환기를 맞이하였으나, 정책 표류기 단계에 이르러 결국 외국어고가 존폐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각 시기의 구조·제도·행위자 수준 간 상호작용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어고 정책의 제도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법제화 및 신뢰 구축을 바탕으로 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참고문헌 (8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영혜, 박소영, 정현철, 박진아(2007). 특수목적 고등학교 정책의 적합성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 강태중(2003). 특수목적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에 관련된 논란의 성격. 교육정치학연구, 9(1). 한국교육정치학회. 1-25. 미소장
3 강태중(2015). 한국 고등학교 체제 논의의 양상과 특질. 교육연구와 실천, 81, 1-25. 미소장
4 경향신문(2023.03.19.). 고교‘다양화’라 쓰고 ‘서열화’라 읽는다, https://www.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2303192110005 에서 2023년 4월 4일 인출. 미소장
5 공병영(2012). 정책변동과정에서 집행평가의 영향에 관한 연구: 외국어고등학교 정책추진 과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소장
6 공병영, 이상돈(2015). 외국어고등학교 정책변동과정 사례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1). 한국교육행정학회. 203-227. 미소장
7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8년 대통령 업무보고: 교육살리기, 과학기술강국 건설. 미소장
8 교육과학기술부(2009.06.03.). 공교육 경쟁력 향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 미소장
9 교육과학기술부(2009.12.10.). 고등학교 선진화를 위한 입학제도 및 체제 개편 방안. 미소장
10 교육부(2013.08.28.). 학생・학부모 부담 완화와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 발표. 보도자료. 미소장
11 교육부(2014.12.26.).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 보도자료. 미소장
12 교육부(2019.11.07.).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발표. 보도자료. 미소장
13 교육부(2022.07.29.). 새 정부 교육부 업무보고. 보도자료. 미소장
14 교육부(2023.06.21.). 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 미소장
15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3.09.24.). ’15~16학년도 대입제도 및 ’15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 확정. 보도자료. 미소장
16 교육인적자원부(2004.10.22.). 특수목적고 운영 정상화 방안. 미소장
17 교육인적자원부(2006.06.19.). 외고 설립 및 운영 개선방안. 미소장
18 교육인적자원부(2007.10.29.). 수월성 제고를 위한 『고등학교 운영 개선 및 체제 개편방안』. 미소장
19 국민일보(2016.04.10.). “자사고와 외고 ‘엇갈린 희비”,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520382&code=61121111&cp=kd>에서 2022년11월 3일 인출. 미소장
20 국회도서관(2009). 고등학교・대학 입시정책 한눈에 보기: 외국어고 논쟁 포함. 국회도서관. 미소장
21 김경선, 정일환(2003). 고등학교 평준화 보완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1(4). 한국교육행정학회. 69-90. 미소장
22 김광억, 김대일, 서이종, 이창용(2003). 입시제도의 변화: 누가 서울대학교에 들어오는가?. 한국사회과학, 25, 3-187. 미소장
23 김도윤(2021).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통한 외국어고 정책 논의. 지방교육경영, 24(2).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107-130. 미소장
24 김성천, 남미자(2009). 외국어고 입시체제와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교육사회학연구, 19(3). 한국교육사회학회. 51-77. 미소장
25 김영철(2003). 특수목적형 고등학교 체제 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6 김영철(2004). 경기도의 ‘특목고 벨트’ 선언 어떻게 볼 것인가. 사학 2004 봄호, 107. 대한사립학교장회. 8-14. 미소장
27 김영철(2007). 외국어고등학교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8 김윤권(2005).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4(1). 한국정책학회. 299-400. 미소장
29 김현주, 정제영(2018). Mucciaroni 모형을 활용한 외국어고의 위상 변동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5(1). 한국교육정치학회. 75-101. 미소장
30 김희규(2010). 외국어고등학교 입학전형 실태와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17(1). 한국교육정치학회, 113-130. 미소장
31 노명순(2006). 대학입학정책 변화요인의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4(3). 한국교육행정학회. 241-264. 미소장
32 뉴스1(2017.04.16.). 중학교 성취평가제 도입에 또다시 흔들리는 ‘외국어고’,https://www.news1.kr/articles/?2968312 에서 2022년 10월 27일 인출. 미소장
33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2007.10.16.). 경기고의 ‘추억’ 잊고 평준화 원칙 지키려면…, https://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48638651에서 2022년 10월 27일 인출. 미소장
34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2007.10.19.). “외국어고는 정책실패다”, https://www.korea.kr/special/policyFocusView.do?newsId=148639140&pkgId=49500252 에서2023년 4월 4일 인출. 미소장
35 동아일보(2013.03.30.). 외국어고 30년… 新 권력엘리트 산실로,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30330/54075740/1에서 2023년 4월 16일 인출. 미소장
36 동아일보(2008.02.28.). [사설] 전교조의 이기적 교육관, 조기유학 부추긴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80228/8549647/1에서2023년 4월 16일 인출. 미소장
37 류방란(2005). 평준화 제도 이후 고등학교 교육의 대중화와 교육과정 정책. 아시아교육연구, 6(4), 1-19. 미소장
38 머니투데이(2013.05.21.). ‘국제중 지정취소’... 여당 ‘반대’ vs 야당 ‘찬성’,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3052111413441069에서 2022년 10월27일 인출. 미소장
39 박균열(2013).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제한요인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0(1). 한국교육정치학회. 53-72. 미소장
40 박대권, 이의석(2017).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에 의한 외국어고 정책변동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4(3). 한국교육정치학회. 173-196. 미소장
41 박부권(2010). 특수목적 고등학교 제도 개선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미소장
42 박소영(2017).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중등교원수급정책 분석: 1980년~2000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미소장
43 박소영, 정제영(2022).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중등교원수급정책: 1970년-2000년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0(1). 한국교육행정학회. 399-427. 미소장
44 박수정, 윤명선(2019).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컨설팅장학 정책 변화 분석. 한국교육, 46(3), 63-98. 미소장
45 박진형(2013). 대학평가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교육연구논총, 34(2), 79-102. 미소장
46 서용희, 주철안(2009). 고등학교 평준화정책 집행과정의 영향요인 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7(3). 한국교육행정학회. 375-400. 미소장
47 세계일보(2022.08.17.). “‘이과 쏠림’ 심화…전국 외국어고 30곳 중 절반은 ‘미달’”,https://www.segye.com/newsView/20220817514951에서 2022년 11월 3일 인출. 미소장
48 시사저널(1997.10.16.). 특수 목적고 재학생 “검정고시로 서울대 가겠다”.,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1847에서 2022년10월 26일 인출. 미소장
49 신현석, 윤지희(2018). 초등 교원수급정책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5(4). 한국교육정치학회. 379-408. 미소장
50 연합뉴스(2006.07.05.). 교육부 “외국어고 신설 자제해달라”, https://www.yna.co.kr/view/AKR20060705085900004 에서 2023년 4월 4일 인출. 미소장
51 연합뉴스(2008.04.11.). <경기도 ‘특목고’ 신설 잇따르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041628?sid=102 에서 2023년 4월 16일 인출. 미소장
52 연합뉴스(2010.04.01.). 충주 중산외국어고 내년부터 일반계고 전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201749?sid=102 에서 2023년 3월 24일 인출. 미소장
53 연합뉴스(2010.06.23.). 용인외국어고 자사고 전환.. 특목고 첫 사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346340?sid=102 에서 2023년 3월 24일 인출. 미소장
54 연합뉴스(2020.01.06.). ‘외국어고・자사고→일반고’ 입법예고 종료…학교들 “헌법소원 낼 것”,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6092151004 에서 2022년 10월 26일 인출. 미소장
55 연합뉴스(2023.04.06.). 강원외국어고, 특목고 지위 포기... 농촌형 자율고로 전환한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406119600062?input=1195m 에서 2023년 4월 17일 인출. 미소장
56 윤인재, 나민주(2013). 신제도주의에 기반한 국내 교육정책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정치학연구, 20(2). 한국교육정치학회. 75-101. 미소장
57 이기원, 정제영(2021). 옹호연합모형(ACF)을 적용한 대학입학전형제도의 변동과정 분석. 교육연구논총, 42(4), 33-66. 미소장
58 이덕난(2022). 자사고・외고・국제고 등 고교유형 개편의 쟁점 및 과제 분석. 교육법학연구, 34(3). 대한교육법학회. 77-102. 미소장
59 이슬아, 이연우, 한유경(2019). 역사적 신제도주의 과점에서의 교원 연수 정책 분석:2010~2019년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6(4). 한국교육정치학회. 81-105. 미소장
60 이영신(2022).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한 교육정책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9-215. 미소장
61 이종태, 강태중, 성기선, 이윤미(2007).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중장기 운영 방향 및 발전방안 연구(정책 2006-지정-37). 한국교육연구소. 미소장
62 장아름(2015). 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제도변화 관점 적용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2(4). 한국교육정치학회. 109-140. 미소장
63 장아름(2018).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교육문제연구, 31(4), 25-57. 미소장
64 정제영, 이희숙(2011). ‘넛지(Nudge) 전략을 활용한 외국어고 정책’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1). 한국교육행정학회. 227-249. 미소장
65 정제영, 이희숙(2015).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외국어고 정책 분석: 2004-2013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3(2). 한국교육행정학회. 85-104. 미소장
66 조선일보(2009.11.04.). [대한민국 제1호] 1984년 3월 대원외고・대일외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1/03/2009110303413.html에서 2023년 4월 16일 인출. 미소장
67 조선일보(2022.11.21.). 이주호 “대학 에산, 지자체에 넘기겠다… 외국어고는 폐지 안해”,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2/11/21/BSINBUQFB5DFLI6MQZKDFV5F6Y/ 에서 2023년 4월 4일 인출. 미소장
68 조흥순(2018). 교육감선거제 변화의 신제도주의적 분석. 인문사회21, 9(4), 457-472. 미소장
69 중앙일보(1987.02.18.). 서울 8학군 병 갈수록 심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86861#home 에서 2022년 10월 23일 인출. 미소장
70 중앙일보(2022.08.12.). ‘외국어고 폐지 방침’에 화난 외국어고 교장・학부모 “왜 선택권 빼앗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93963 에서 2022년11월 1일 인출. 미소장
71 하연섭(2002).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이론적 자기 혁신과 수렴. 한국행정학보, 36(4). 한국행정학회. 339-359. 미소장
72 하연섭(2011).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제2판). 서울: 다산출판사. 미소장
73 하연섭, 유영미(2017). 영유아 교육・보육 예산정책의 분석-제도주의적 해석-. 한국정책학회보, 26(4). 한국정책학회. 227-253. 미소장
74 한겨레(2007.02.21.). 60~70년대 ‘명문고’ 부활?... “특목고불패”,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91999.html 에서 2023년 4월 19일 인출. 미소장
75 한겨레(2008.05.09.). “서열화 사회인데 평준화만 내세워서야...”,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286680.html 에서 2023년 4월 16일 인출. 미소장
76 한겨레(2022.07.29.). 윤석열 정부 자사고 존치, 외국어고는 폐지,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52891.html 에서 2023년 4월 4일 인출. 미소장
77 한국경제(2016.11.08.). “중3학생 6만여명 급감…특목・자사고 경쟁률 떨어졌다”,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6110810371 에서 2022년 11월 3일 인출. 미소장
78 홍미영, 한유경, 추지윤(2020). 정책 과정론 관점에서 외고・자사고 정책 논의. 교육정치학연구, 27(3). 한국교육정치학회. 189-218. 미소장
79 황지원(2015). 특목고의 설립 취지와 실제의 간극. 교육비평, 35, 68-69. 미소장
80 Mahoney. J., & Snyder. R.(1999). Rethinking agency and structure in the study of regime change. Studies in Compar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New Brunswick. 미소장
81 Streek, W., & Thelen, K.(2005). “Introduction: 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