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이 정부의 제1차 재난기본소득과 자녀 관련하여 경험한 것이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령기 이하 자녀가 있는 저소득층 한부모 2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test, ANOVA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이 낮은 집단과 학력이 높은 집단, 이혼 및 사별 집단, 경제활동 집단, 비동거부의 양육비 수령집단, 지난 1년간 연속 2주 슬픔과 절망을 경험한 집단의 삶의 질 평균이 높았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경제활동 집단과 비동거부의 양육비 수령 집단, 재난지원금액 만족은 정적으로, 그리고 자녀 관련 경험은 부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의 삶의 질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족돌봄청년의 경험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 = A context-pattern 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young carers caring for their grandparents : 대리가정위탁 보호아동에서 가족돌봄청년으로의 전환 권지성, 좌현숙, 최서경 p. 5-42

한부모 결혼이주여성의 주거 경험 = Residential experience of single-parent married immigrant women 정미숙, 김미옥 p. 43-74

입양아동 학대 사건 판결문에 대한 내용분석 = A content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of child abuse in adoptive families 박현선, 안소영, 최미숙 p. 75-102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코로나19와 재난기본소득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 = The impact on quality of life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 of COVID-19 and basic disaster income 성정현 p. 103-132

아동학대 언론보도에 대한 타임라인별 텍스트마이닝 비교 = Comparison of text mining by timeline for media coverage of child abuse : focusing on topic modeling :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박해선 p. 133-175

발달과정에서 겪은 모 사별과 애도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f the mother’s death on the childhood and mourning process 박보라, 최연실 p. 177-209

재혼을 앞둔 중년 남성의 섹스리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역동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family dynamics influencing sexless in middle-aged men about to remarry 문혜린, 박태영, 서민순, 현일송, 김형범, 김경욱 p. 211-247

코로나19 시기 미혼모의 자녀 돌봄 경험 =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about caring for children during COVID-19 윤은영, 정익중 p. 249-276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동진, 2021, “코로나시대 국가개입, 기본소득인가? 공고서비스인가?”, 『진보평론』, 87:53-67. 미소장
2 김미숙⋅나임순, 2010, “한부모가족시설 여성의 일-가정 양립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9(2):103-138. 미소장
3 김선숙⋅박호준, 2019, “빈곤, 가족구조와 아동 삶의 질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50(2):155-178. 미소장
4 김승희⋅이한나, 2020,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가족의 주거스트레스 유형별 특성과 지원방향 모색”, 『IDI 도시연구』, 18:9-44. 미소장
5 김영선⋅이재림⋅최정아, 2021,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 및 자녀교육 경험”, 『인간발달연구』, 28(3):139-165. 미소장
6 김용훈, 2021, “코로나-19 재난상황에서의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방안”, 『한국지방자치연구』, 23(1):139-157. 미소장
7 김원정, 2020, “젠더관점에서 본 코로나19 일자리 위기와 정책 대응 과제”, 『KWSD 브리프』, 62:1-14. 미소장
8 김혜옥⋅김현정⋅조혜지, 2022, “일개 지역 소상공인들의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3(3):279-289. 미소장
9 김혜진, 2020, “코로나19의 노동시장 관련 3대 이슈와 대응방안”, 『BOK 이슈노트』, 2020-13:1-15. 미소장
10 노대명, 2020, “재난기본소득 논의를 통해 본 한국 소득보장제도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64-84. 미소장
11 노혜진, 2022, “코로나19 이후 아동가구 부모의 우울 변화에서 빈곤 여부에 따른 격차”, 『보건사회연구』, 42(2):199-219. 미소장
12 민성길⋅김광일⋅서신영⋅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OL)의개발”, 『신경정신과학』, 39(1):78-88. 미소장
13 박미석⋅전지원, 2017,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25-42. 미소장
14 박선영⋅이재림, 2021, “소셜 빅데이터로 알아본 코로나 19와 가족생활: 토픽모델 접근”, 『한국콘텐츠학회지』, 21(3):282-300. 미소장
15 서상혁, 2021, “기본소득제도 도입 타당성에 관한 연구: 재속가능한 재원확보 분석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성정현, 2022a,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의 경제적 부담경험과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지』, 22(8):527-541. 미소장
17 성정현. 2022b, “코로나19 시기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과 교육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 69(3):123∼159. 미소장
18 신영미⋅권순범, 2021, “코로나19로 인한 빈곤가정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행복감의 관계”, 『아동과 권리』, 2:227-245. 미소장
19 양재진, 2020, “전 국민 기본소득의 정책 효과와 한계 분석”, 『동향과 전망』, 110:26-59. 미소장
20 엄지연⋅홍은정, 2020,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의 가정내 돌봄과 교육 부담 완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작은연구 좋은 서울』, 20(2):1-73. 미소장
21 여성가족부, 2021, 『2021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미소장
22 원영훈⋅윤지웅, 2020, “정부지출이 국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OECD Better Life Index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6(3):95-137. 미소장
23 유명순, 2020, “재난심리와 사회적 위험인식으로 본 코로나19 4개월”, 서울대보건대학원, https://www.snu.ac.kr/coronavirus/research?md=v&bbsidx=128176. 미소장
24 유영성⋅정원호⋅김병조⋅이관형⋅김을식⋅마주영, 2020,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재난, ‘재난기본소득’이 해법이다”, 『이슈&진단』, 3:1-25. 미소장
25 이경란⋅최정숙, 2021,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저소득 취약⋅위기가족의 생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9(4):725-763. 미소장
26 이승철, 2014, “구미시 지역주민의 삶의 질 만족도 영향요인과 향상 방안-종단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1(3):69-91. 미소장
27 이승호, 2020, “코로나19 확산과 가구의 소득, 지출 변화”, 『노동리뷰』, 12:7-20. 미소장
28 이용호⋅김이레⋅김은지, 2019, “재난피해자의 국가지원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13-414. 미소장
29 이은란, 2021, “코로나(COVID-19) 유행 상황에서의 대구⋅경북 대학생들의 삶의 질 변화 양상: 코로나 스트레스, 신경증 성향, 불안 통제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이현주⋅정은희⋅김문길⋅전지현, 2020, 『가구소득에 대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31 장혜림⋅정선욱⋅좌현숙⋅이세원⋅이화조, 2021, 『코로나19가 취약환경의 아동⋅청소년 교육 격차에 미친 영향』,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삼성. 미소장
32 장혜림⋅이래혁, 2022, “코로나19로 인한 가구 경제 악화가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구와 양부모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57:1-24. 미소장
33 전현숙⋅신원식, 2022, “코로나19의 위험이 여성가구주의 일과 삶에 미친 영향과 삶의 질회복을 위한 정책 대안”, 『사회보장연구』, 38(1):101-133. 미소장
34 전형익⋅이미숙, 2020, “기본소득 제도의 도입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연구』, 151:1607-1629. 미소장
35 정익중, 2020a, “코로나19로 인한 아동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국제사회 보장리뷰』, 13:47-59. 미소장
36 정익중⋅이수진⋅정수정⋅유다영, 2022, “코로나19 시기, 아동의 일상 균형과 빈곤가구 여부에 따른 행복감 비교”, 『보건사회연구』, 42(1):299-315. 미소장
37 정현정, 2022, “기본소득 실현가능성에 대한 연구: 코로나 재난지원금 및 국내/외 사례와 관련하여”,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8 정해식⋅김성아, 2015,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227:75-88. 미소장
39 조명선, 2019, “재난 피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3차 재난 피해자 패널 자료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0(2):217-225. 미소장
40 조현섭⋅한영주⋅원성두⋅김희선⋅유지혜⋅쵀재원⋅황유빈, 2021, “코로나19 시대 학부모들의 정신건강 및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현황 분석”, 『한국심리학회지:건』, 26(5):943-869. 미소장
41 조혜지⋅김혜옥, 2020, “코로나19로 인한 C시 지역 소상인들의 불안감,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추계학술대회』, 175. 미소장
42 주영선⋅이운경, 2022, “코로나19로 인한 돌봄공백이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 및 가구 빈곤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7(2):127-151. 미소장
43 최상미⋅주영선, 2021, “빈곤 청년의 코로나19로 인한 실직 및 소득 감소와 행복: 경제적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9:33-60. 미소장
44 최윤경, 2020, “코로나19와 아동의 교육⋅보육⋅돌봄(ECEC) 전략”, 『보건복지포럼』, 50-63. 미소장
45 최청락⋅김혜정⋅문정희⋅이자형⋅박금식⋅이진숙, 2020, 『코로나19 경험을 통한 여성가족분야 대응전략 연구보고서』, 부산여성가족개발원. 5:1-65. 미소장
46 통계개발원, 2017, 『국민삶의 질 2017 보고서』, 통계개발원. 미소장
47 통계청, 2019, 『생활시간조사』. 미소장
48 통계청, 2020, 『인구동향조사』. 미소장
49 한병훈, 2015. “정부역량이 시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109-134. 미소장
50 Cortes, G. M., and Forsythe, E. C., 2020, “The heterogeneous labor market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Upjohn Institute Working Paper, 20-327. 미소장
51 Garey, J., 2020, “Single Parenting During the Coronvirus Crisis: Stragegies for managing when you’re going it alone”, https://childmind.org/article/. 미소장
52 Khachadourian, V., Armenian, H. K., Demirchyan, A., Goenjian, A., 2015, “Loss and psychosocial factors as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a cohort of earthquake survivo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3(1):13. 미소장
53 OECD, 2015, Better life Index-Edition, https://stats.oecd.org/. 미소장
54 Petts, R. J., Carison, D. L., Pepin, C. J., 2020, “A gendered pandemic: Childcare, homeschooling, and parents’ employment during COVID-19”, Gender, Work & Organization, 28(52): 515-534. 미소장
55 Soonhee, Y., Miok, K., Sejin, J., 2018,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of parents who lost children in the Sewol ferry disas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7(2): 179-188. 미소장
56 The Global Partnership to End Violence Against Children., 2020, “Leaders call for action to protect children during COVID-19”, https://www.end-violence.org/articles/leaders-call-actionprotect-children-during-covid-19-now-7-languages. 미소장
57 WHO, 1993, WHOQOL Study Protocol, Geneva:WHO.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