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듀이 실험학교 역사성에 기반한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운영의 시사점 탐색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historicality of Dewey laboratory school / 노진규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통합의 의미 : 경험의 통합과 삶의 확장 4

1.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통합의 의미 4

2. 초등학교 교육의 목표 : 경험의 통합으로서 삶의 확장 5

3. 초등학교 통합교과로서 통합의 의미 7

Ⅲ. Dewey 실험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통합적 흐름에 대한 역사적 접근 8

1. 실험학교 교육과정 편성에서 통합의 원리 : 시간, 공간 그리고 경험의 통합 9

2. 실험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통합적 흐름 12

Ⅳ.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운영의 현재적 시사 : 삶의 내러티브로 확장 17

1. 정반합 원리로서 경험과 교과의 통합 가능성 17

2. 내러티브로서 교과 경험의 내면화와 삶으로 전이 19

Ⅴ. 결론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감의 코칭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ice-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teacher empowerment and teacher efficacy 강대술, 김희규 p. 1-29

보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 중재 유형 분류 및 유형별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 Classifying parental mediation types for adolescent smartphone use and analyzing adolescent digital literacy levels by type 김다혁 p. 31-60

보기
듀이 실험학교 역사성에 기반한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운영의 시사점 탐색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historicality of Dewey laboratory school 노진규 p. 61-86

보기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 A mixed-methods research of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tudent exchange programs on country image : focusing on ASEAN student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손다운, 변기용 p. 87-117

보기
김정환의 교사론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teacher in Kim, Jeong-hwan 전일균 p. 119-13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