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에서는 일본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에 소장된 사본 『매월당집』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을 고찰하였다. 검토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각문고본 『매월당집』은 詩藁와 文藁, 別集, 遊錄 등 각각 독립성을 지닌 별책이 하나의 전집으로 묶인 것이다. 책에 찍혀 있는 인장을 통해 볼 때, 18세기 말이나 19세기 초에 일본 창평판학문소에 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내각문고본 시고와 문고를 을해자본 『매월당집』, 경진자본『매월당집』 등과 비교해 보면, 내각문고본은 을해자본을 수용·증보한 사본이고, 경진자본은 내각문고본 계열 사본의 정고본을 바탕으로 간행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각문고본은 殘片만 남아 있는 을해자본의 실제 구성과 내용을 추정하고 경진자본의 성립 과정을 알려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셋째, 내각문고본의 ‘유록’도 원고본 단계의 성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여기에는 김시습의 자필 유고본에 실려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넷째, ‘감흥시’의 원작은 11수가 아니라 13수였다. 11수로 된 것은 경진자본을 간행하면서 두 수를 제외했기 때문이다. 원작 13수는 1465년 무렵 김시습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잘 보여준다. 그 당시 김시습은 세조가 지배하던 당시의 현실은 인정하되, 세조 측근의 신하들에 대해서는 강한 적대 의식을 표출했다.
내각문고본 『매월당집』에는 새 작품으로서 비구니의 생애를 기록한 글이 있고, 그동안 서명만 알려졌던 『임천가화』도 별집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들은 불교와 관련된 김시습의 생평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거나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梅月堂詩四遊錄』 (청구기호: 한古朝45-22). | 미소장 |
2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필사본 『梅月堂集』 (청구기호: 奎7062-v.1-9). | 미소장 |
3 |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편, 『梅月堂全集』, 성균관대, 1973. | 미소장 |
4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 매월당집』 1∼5, 1977-1980. | 미소장 |
5 | 일본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 소장, 필사본 『梅月堂集』 (청구기호: 318-0171). | 미소장 |
6 | 연세대 도서관 소장, 필사본 『梅月堂詩集』 (청구기호: 고서(1) 811.19 김시습 매-필-1∼5). | 미소장 |
7 | 연세대 도서관 소장, 목활자본 『梅月堂詩藁』 (청구기호: 고서(1) 811.19 김시습 매-목). | 미소장 |
8 | 이우성 편, 『매월당집』 상·중·하, 아세아문화사, 1995. | 미소장 |
9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0 | 강창규, 「매월당 김시습의 「감흥시 11수」 연구」, 『한국문학논총』 90, 한국문학회, 2022, 5-38면. | 미소장 |
11 | 김풍기, 「조선 초기 문명사의 전환과 김시습의 <유금오록(遊金鰲錄)>」, 『한민족문화연구』 62, 한민족문화학회, 2018, 75-104면. | 미소장 |
12 | 金 烋, 『海東文獻總錄』, 學文閣, 1969. | 미소장 |
13 | 박철상, 「을해자본 『매월당집』 잔편 발굴의 의미」, 『문헌과해석』 27, 문헌과해석사, 2004, 215-235면. | 미소장 |
14 | 박철상,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매월당시고(梅月堂詩藁)』에 대하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고문헌총서 3 『梅月堂詩藁』, 계명대 출판부, 2008, 83-85면. | 미소장 |
15 | 박학래, 「『海東文獻總錄』과 敬窩 金烋」, 『민족문화연구』 50,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9, 227-248면. | 미소장 |
16 | 송석하, 「書物同好會會報」 14, 書物同好會, 1941, 1-5면. | 미소장 |
17 | 심경호, 『김시습 평전』, 돌베개, 2003. | 미소장 |
18 | 양승민, 「경진자본 『梅月堂集』 간행 과정과 校訂本」, 『한국한문학연구』 52, 한국한문학회, 2013, 457-495면. | 미소장 |
19 | 차충환, 「일본 내각문고 소장 寫本 『梅月堂集』 소개 및 고찰—『林泉佳話』 소개를 중심으로」, 『2022년 한국한문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2022년 한국한문학회 동계학술대회 (성균관대 국제관), 2023. | 미소장 |
20 | 차충환, 「김시습의 『林泉佳話』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87, 한국한문학회, 2023, 99-140면. | 미소장 |
21 | 탁효정, 「조선 전기 정업원(淨業院)의 성격과 역대 주지」, 『여성과 역사』 22, 한국여성사학회, 2015, 101-132면. | 미소장 |
22 | 황인규, 「조선 전기 정업원과 비구니 주지」, 『한국불교학』 51, 한국불교학회, 2008, 103-130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