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들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참여한 정착지원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적 접근 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들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 교육프로그램을 남한 출신 10명과 북한 출신 10명으로 구성된 참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이행하였다.
연구내용: 교육 이전, 남한 출신 학습자들은 직무 역량과 네트워크 강화 방법에, 북한 출신 학습자들은 소진과 개인의 복합적 트라우마로 인한 문제 등의 해결에 참여 목표를 두었다. 교육 이후, 남한 출신은 직무적 영역에서, 북한 출신은 개인 트라우마 치유의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향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구성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강화 영역에서는 전문수준의 내용을 교육하기보다 개괄적 수준의 교육내용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들은 일반적인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개념보다 확장된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셋째, 정착지원자 개인의 트라우마에 대한 치료와 치유가 선행된 뒤 업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광웅·이봉근(201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실증연구”, 『북한연구학회보』,15(1): 1-38. | 미소장 |
2 | 김송이(2012),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The Women’s Studies』, 82(1): 103-136. | 미소장 |
3 | 김연·위지희·김남희·임명호(2019),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우울, 자살사고, 불안, ADHD,자존감, 충동성, 삶의 질”, 『대한스트레스학회』, 27(3): 209-214. | 미소장 |
4 | 김유나(2013),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가치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7:123-148. | 미소장 |
5 | 김종경·양영희(2011),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처기전”, 『성인간호학회지』,23(1): 50-59. | 미소장 |
6 | 김현아(2004), “북한이탈주민의 품행장애 행동과 성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12(1): 150-168. | 미소장 |
7 | 김현아(2016),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PTSD에 관한 메타분석”, 『Crisisonomy』, 12(1):105-124. | 미소장 |
8 | 김현아·전명남(2003),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129-160. | 미소장 |
9 | 김현아·전우택·도지완·유시은(2017), “북한이탈주민 지원 인력의 소진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통일정책연구』, 26(2): 267-292. | 미소장 |
10 | 김효주·김정근(2019),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노후준비 저해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통일과 평화』, 11(1): 261-304. | 미소장 |
11 | 김희진·정윤경(201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 및 자존감의 조절효과”, 『사회연구』, 16(1): 9-46. | 미소장 |
12 | 노경란(2010),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와 직무에 대한 인식 분석: 지역적응센터 담당자 역량모델의 기반 형성”, 『통일정책연구』, 19(1): 237-274. | 미소장 |
13 | 노인숙·배미랑(2016), “북한이탈주민전문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2): 1051-1064. | 미소장 |
14 | 노인숙·조선희(2012),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의 원인 탐색”, 『정신간호학회지』, 21(4): 303-310. | 미소장 |
15 | 박지현(2015), “평생학습중심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자기 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545-567. | 미소장 |
16 | 설진배·송은희(2015),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방향: 델파이 조사를 통한 북한이탈주민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16(5): 193-216. | 미소장 |
17 | 설진배·송은희·이은미(2014),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방안: 경제적 적응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북아논총』, 19(1): 157-174. | 미소장 |
18 | 송대기·신상수·이소희·김석주·전진용(2016),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도움에 대한 낙인감과우울감과의 연관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5(3): 194-201. | 미소장 |
19 | 양계민·정진경(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 97-115. | 미소장 |
20 | 윤석주·손지희(2015),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수의 소진 실태와 요인”, 『교육문제연구』, 28(1): 109-134. | 미소장 |
21 | 윤여상·김현아·한유미(2007), “새터민 조력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8(3):877-898. | 미소장 |
22 | 윤옥한(2017),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1): 443-474. | 미소장 |
23 | 윤혜미·박병금(2004),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3): 279-301. | 미소장 |
24 | 이명순·박경(2011),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과 우울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8월). | 미소장 |
25 | 이미정(2015),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 발달경험에 대한 현상하걱 연구”, 『가족과상담』, 5(1): 39-59. | 미소장 |
26 | 이민지·전진용·장혜인(2016),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우울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59-481. | 미소장 |
27 | 전연숙(2015),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자의 교육 실태 및 연구”, 『여성연구논총』, 16:53-85. | 미소장 |
28 | 전영선(2014),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통일인문학』, 58: 99-126. | 미소장 |
29 | 전우택(2000a), “탈북자들과 보호경찰관들의 인간관계에 대한 분석: 보호경찰들을 대상으로한 설무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4(1): 21-64. | 미소장 |
30 | 전우택(2000b),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5월). | 미소장 |
31 | 정연희·송민선(2018), “미국 내 한국 유학생들의 건강신념, 사회적지지 및 건강증진행위”,『가정간호학회지』, 25(1): 5-14. | 미소장 |
32 | 조영아(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21(1): 285-310. | 미소장 |
33 | 조영아·전우택·유정자·엄진섭(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증 예측요인: 3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7(2): 467-484. | 미소장 |
34 | 조윤득·신현석·박은아(2010), “돌봄 서비스 영역에서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부산, 경남 지역의 시설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26(1): 121-142. | 미소장 |
35 | 주영준(2009), “사회적 지지와 연결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익명의 알코올중독자(AA)에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 미소장 |
36 | 최영아·이주용·김정규(2009), “남성북한이탈주민의 초기 심리적 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연구”, 『통일정책연구』, 18(2): 215-248. | 미소장 |
37 | 통일부(2022), “북한이탈주민 정책, 최근현황”, |
미소장 |
38 |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Medicine』, 38(5): 300-314 | 미소장 |
39 | Gagné, R. M., Wager, W. W., Golas, K. C., & J. M. Keller(2005), 『Principles ofInstructional Design (5th ed.)』, Belmont, CA: Thomson/Wadsworth. | 미소장 |
40 | Held, V.(2006), 『The ethics of care: personal, political, and global』, USA: Oxford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1 | Iain, D. L. & G. H. Judy(2001), “Leadership development and reflection: what is theconnection”,『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15(3): 119-124. | 미소장 |
42 | Lee, G. R.(1979),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family”. 『Contemporarytheories about the family』, 1: 27-56. | 미소장 |
43 | Lloyd, C., King, R., & L. Chenoweth(2009), “Social Work, stress and burnout: Areview”, 『Journal of Mental Health』, 11(3): 255-265. | 미소장 |
44 | Seels, B. & R. Richey(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Technolog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