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특수교사의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 국어과를 중심으로 = A study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ement of special teachers' competency to use educational drama in class :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class / 옥혜숙 ; 강영심 1
요약 1
I. 서론 2
II. 프로그램 개발 절차 4
1. 분석 4
2. 설계 8
3. 개발 8
4. 실행 10
5. 평가 11
III. 연구 결과 13
1. 분석 결과 13
2. 설계 결과 18
3. 개발 결과 20
4. 실행 결과 27
5. 평가 결과 28
IV. 논의 30
참고문헌 32
Abstract 3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 (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 보도 자료집.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2 | 국립특수교육원 (2021).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현장설명회 개최 안내 자료집.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3 | 김광요, 박진권, 황성근, 류용상, 김종대 (2010). 드라마 사전. 서울: 도서출판 문예림. | 미소장 |
4 | 김교령 (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서울. | 미소장 |
5 | 김대연, 김병주 (2018).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극학, 10(2), 25-42. | 미소장 |
6 | 김민정, 정혜영 (2016). 창의성 기법을 기반으로 한 교육연극이 초등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듣기 능력 및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169-188. | 미소장 |
7 | 김민주 (2016). 드라마 활동을 통한 초등 5-6학년의 맥락적 음악 감상 학습 방안. 교육연극학, 8(2), 1-24. | 미소장 |
8 | 김병주 (2008).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T.I.E.(Theatre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영미문화연구, 8(1), 65-92. | 미소장 |
9 | 김병주 (2018).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교육연극학, 10(1), 95-112. | 미소장 |
10 | 김수희 (2016). 과정 드라마(process drama)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영어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 미소장 |
11 | 김주연, 김병주 (2014). 교육연극, 방법에서 철학으로: 황정현의 교육연극 접근방식 고찰. 한국초등교육, 25(4), 293-308. | 미소장 |
12 | 김주영 (2012). 특수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교사의 역량강화.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5(2), 79-100. | 미소장 |
13 | 김지현 (2015). 고등학교 문학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방법. 국어교육연구, 59, 387-422. | 미소장 |
14 |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회,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 미소장 |
15 | 김효 (2019). 교육연극을 활용한 역사와 전통예술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 초등학교 저학년 역사교육의가능성 탐구. 연극교육연구, (34), 87-125. | 미소장 |
16 | 문복진 (2014). 유치원 교원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 모형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방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미소장 |
17 | 박지영 (2003). 교육연극을 활용한 통합적 국어사용능력 향상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18 | 박희정 (2015). 수학동화 기반 교육연극 활용이 문장제 이해 및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극학, 7, 43-61. | 미소장 |
19 | 박찬수 (2020). 통합교육과정으로서의 뮤지컬 활용 모색 초등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5(1), 73-98. | 미소장 |
20 | 변관석 (2016).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가 자폐범주성 장애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15(3), 35-57. | 미소장 |
21 | 변관석, 배지혜 (2017). 특수교육에서의 교육연극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특수교육연구, 24(2), 22-49. | 미소장 |
22 | 변은주 (2013).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 미소장 |
23 | 손지영, 문현미 (2017). 특수학교 자유학기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2016 년 연구학교 담당교사면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6(3), 395-423. | 미소장 |
24 | 신선영, 오판진 (2015). 교육연극 주사위를 던져라. 서울: 연극과인간, | 미소장 |
25 | 신효순, 이원령 (2017). 연극 활동이 ADHD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3(3), 133-150. | 미소장 |
26 | 신혜경 (2017). 과정극 기반 초등영어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27 | 심단비 (2020). 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중재연구 문헌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경기. | 미소장 |
28 | 오유미 (2014). 유치원교사의 다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인천. | 미소장 |
29 | 옥혜숙, 강영심, 리이씬 (2021). 연극 활용 교과 수업 경험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0(4), 49-79. | 미소장 |
30 | 이미애 (2017). 만 5세반 보육교사의 유・초 연계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서울. | 미소장 |
31 | 이상신 (2017). 학습 경험의 수준 함양과 배움 중심 행복 교실수업의 조건 - 2015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과교과서 개발의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63, 163-190. | 미소장 |
32 | 이성은, 이지은 (2012).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단계적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국어교육, 49, 97-131. | 미소장 |
33 | 양경희 (2017). 국어교육에서 연극의 교육적 기능과 활용 방안. 국어교육연구, 156, 185-208. | 미소장 |
34 | 정대영, 임성미 (2016).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2(3), 275-299. | 미소장 |
35 | 정호연, 김진호 (2018).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53(3), 169-200. | 미소장 |
36 | 최지영(2015). 교육연극에서 드라마전문가(drama specialist)의 역할형성 및 핵심요건- 과정중심연극의특성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26, 231-260. | 미소장 |
37 | 하예지 (2018).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인권교육이 초등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미소장 |
38 | 허득실 (2013). 초등교사의 교육연극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수준에 관한 연구: 국어과 교육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39 | 황진희 (2020). 이야기 극화를 활용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어과 수업 사례 연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양상분석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미소장 |
40 | 황정현 (1999).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한국초등국어교육, 15, 51-67. | 미소장 |
41 | Harb, A. (2016). Drama and education: Performance methodolo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in Drama Education, 21(2), 268-269. | 미소장 |
42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 미소장 |
43 | Tschannen-Moran, M., Hoy, A. W., & Hoy, W. K. (1998). Teacher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