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lation patterns of women’s language in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ions of the novel The Vegetarian. In terms of translating feminine reference terms, both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ors actively intervened to bridge the cultural gaps and facilitate the reader's understanding. However, regarding feminine-related words, the translators' intervention was not as evident as in the translation of feminine reference terms. Both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ors made subtle adjustments to aid the reader's overall comprehension.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the translation of feminine descriptive language tended to be more literal.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while both translators actively intervened in the translation of feminine reference terms, the intervention was less evident in feminine-related words and feminine-descriptive word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어의 수동구문에 대한 번역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ranslation guidance methods for passive constructions 강선옥 p. 5-28

학부 차원에서 바이오 헬스 전문 기술 번역 교육 사례 = Case study of undergraduate-level biohealth technical translation education : focusing on strategies for translating specialized terminology : 전문 용어 번역 전략을 중심으로 김대영, 임순정 p. 29-49

통번역을 위한 한국어와 영어 진행상의 인지적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gnitive meanings of English and Korean progressive aspects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이나승 p. 51-64

정보구조와 부사절의 한/영 통·번역 = Information structure and translation of Korean adverbial clauses to English 이광호 p. 65-86

Integrating media literacy with grammar-translation course design : an alternative school case study Cho, Woonik p. 87-105

통역번역대학원 번역 학습자들의 영한 번역에 대한 띄어쓰기 오류 분석 = Error analysis on spacing in Korean translated texts 최은실 p. 107-129

『채식주의자』에 나타난 여성어의 영어번역과 러시아어번역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ions of The Vegetarian with focus on women's language 김영신, 최병근 p. 131-148

윤동주 시 한영비교 = Analyzing Dong-ju Yoon's poems by focusing on TTs translate by human and machine translations : 번역가의 번역과 기계번역을 중심으로 박영란 p. 149-175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자막번역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Squid Game Korean-English subtitle 신상범, 이재성 p. 177-196

디지털 인문학 기반 개화기 번역가 게일의 탈식민화 관점 연구 = A digital humanities based study of James Scarth Gale's decolonization : his discourse on Japan : 일본에 대한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최진실 p. 197-222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선희. (1991). 여성어에 대한 고찰. 『목원대 논문집』19, 111-128. 미소장
2 김욱동. (2023). 『번역가의 길』. 연암서가. 미소장
3 김진우 (1985). 『언어』. 탑출판사. 미소장
4 민현식.(1995). 국어의 여성어 연구. 『아세아여성연구』34, 1-55. 미소장
5 백경숙 & 박은하. (2020). 국내 언어와 성 연구의 주요 성과와 향후 전망. 『사회언어학』28(4), 95-130. 미소장
6 서유경. (2012). 한국 여성어 번역과 문화간극: 김주영의 <천둥소리> 러시아어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16(2), 39-67. 미소장
7 이명자. (2003). 러시아 남성언어와 여성언어의 변별적 특성들. 『노어노문학』16(2), 107-126. 미소장
8 이석규 & 김선희. (1992). 남성어와 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 연구』2, 35-74. 미소장
9 이상빈. (2017). 광고와 젠더 번역: 수입자동차 인쇄광고의 남성타킷 번역전략. 『통번역학연구』21(2), 85-108. 미소장
10 임홍빈 (1993). 국어의 여성어.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819-829, 문학과지성사. 미소장
11 조남민. (2010). 여성어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민족문화연구』33, 143-181. 미소장
12 주지언. (2008). 한국어 여성 발화어 연구 방법론 재검토. 『방언학』8, 197-216. 미소장
13 채춘옥. (2009). 연변지역의 여성어와 남성어에 대한 고찰–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17(2), 115-136. 미소장
14 홍선희. (2014). 러시아어에서 남성어/여성어의 변별적 특성-대중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26(1), 83-106. 미소장
15 Lakoff, R. (1975). Language and Woman’s Place. Harper Colophon Books: New York. 미소장
16 한강. (2007). 채식주의자. 서울: 창비. 미소장
17 Smith, D. (역). (2015). The Vegetarian. Portobello Books. 미소장
18 Хан Ган. (역) (2017). Вегетарианка. Издательство AC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