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버려진 것들의 귀환 : 동시대 미술의 이질학적 전략과 그 확장 = The return of wastes : an expansion of heterological strategies in contemporary art / 정은영 1

[목차] 1

Ⅰ. 쓰레기의 역습 2

Ⅱ. 이질학과 폐기물 5

Ⅲ. 동시대 미술의 이질학적 전략과 확장된 영역의 실천 10

1. 복합매체로서의 쓰레기 : 동시대의 고고학적 탐사 11

2. 인류세의 묵시록 : 이질적인 죽음 혹은 혼성체의 수용 14

3. 파열 속의 공존 : 폐기물의 흐름과 노동의 가시화 19

Ⅳ. 결론을 대신하여 : 이질적인 존재로 살아가기 22

참고문헌 25

국문초록 28

Abstract 2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물질의 이질학에서 아브젝트들의 예술로 = From heterology of matter to the abjects’ art : a focus on Georges Bataille’s thoughts : 바타유의 사유를 중심으로 한의정 p. [1], 5-21

보기
버려진 것의 겹들 = Layers of the discarded : discarded things in contemporary art and new materialism : 현대 미술과 신유물론에서 버려진 사물에 관해 이재준 p. [1], 23-46

보기
버려진 것들의 귀환 = The return of wastes : an expansion of heterological strategies in contemporary art : 동시대 미술의 이질학적 전략과 그 확장 정은영 p. 47-74

보기
비인간적 사유와 관계의 재구성 = Non-human thought and the re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 “the moment of transition” in the works of Hyewon Kwon : 권혜원의 작품에 나타난 “전환의 순간” 이문정 p. 75-99

보기
세계 환경 이슈와 한국생태미술담론의 형성 = World environmental issues and becoming of Korean ecological art discourse : based on the concept of ‘mediation’ in ANT : ANT의 '매개' 개념을 바탕으로 유현주 p. [1], 101-127

보기
세실리아 비쿠냐의 1960년대 대지미술 연구 = A study on Cecilia Vicuña’s earth art in the 1960s 김한들, 정연심 p. 129-151

보기
관계의 중첩으로서의 보행 = Walking as a layer of relations : a study on Janet Cardiff and George Bures Miller’s Walks series : 자넷 카디프와 조지 뷰레즈 밀러의 <워크(Walks)> 연작 연구 민경소 p. 153-175

보기
동물의 이미지 = Images of animals : reading cat as other minds, object, and representation : 타자의 마음, 객체, 그리고 표상으로서의 고양이 읽기 백승한 p. 177-206

보기
마르타 미누힌의 <메네순다> 연구 = A study on La Menesunda by Marta Minujín 신혜성 p. [1], 207-236

보기
아이 웨이웨이의 독립출판물 = A study about Ai Weiwei's Independent Publication : Black Cover Book, White Cover Book, Grey Cover Book : 헤이피슈, 바이피슈, 훼이피슈 연구 김도연 p. 237-261

보기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나영, 「“돌이 아니라 플라스틱이라고?」, 『뉴제주일보』 (2022년 10월 18일). 미소장
2 김우리, 「바타유의 이질학: 낮은 유물론에서 파시즘 분석까지」, 『현대유럽철학연구』, 제67집 (2022), pp. 101-126. 미소장
3 백승한, 「플라스틱 어버니즘: 인류세, 어셈블리지, 그리고 도시」, 『미학예술학연구』, 제63집 (2021), pp. 6-39. 미소장
4 유승훈, 「폐기물과 에너지의 선순환」, 『매일경제』 (2021년 4월 27일). https://www.mk.co.kr/news/contributors/9847345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5 이탈로 칼비노, 『보이지 않는 도시들』, 이현경 (역), 서울: 민음사, 2007. 미소장
6 장한나 인터뷰, 「예쁜 쓰레기는 용서가 되나요?」, 『코스모폴리탄』 (2021년 4월 7일). 미소장
7 장한나 인터뷰, 「쓰레기일까요? 오브제일까요? 뉴록(New Rock) 프로젝트」, 『SK텔레콤 뉴스룸』 (2021년 11월 8일). 미소장
8 지그문트 바우만, 『쓰레기가 되는 삶들』, 정일준 (역), 서울: 새물결, 2008. 미소장
9 크리스 조던, 『크리스 조던: 아름다움의 눈을 통해 절망의 바다 그 너머로』, 허아람 (편역), 부산: 인디고 서원, 2019. 미소장
10 폐기물관리법 (law.go.kr)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11 Bataille, Georges. “The Use Value of D.A.F. de Sade (An Open Letter to My Current Comrades),”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Fascism,” Allan Stoekl (trans.), Visions of Exces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5, pp. 91-102, pp. 137-160. 미소장
12 Bataille, Georges, et al. Encyclopaedia Acephalica, (trans.) Iain White, London: Atlas Press, 1995. 미소장
13 Boetzkes, Amanda. Plastic Capitalism: Contemporary Art and the Drive to Waste, Cambridge and London: MIT Press, 2019. 미소장
14 Corcoran, Patricia L., Charles J. Moore, and Kelly Jazvac. “An Anthropogenic marker horizon in the future rock record,” GSA Today, vol. 24, no. 6 (2014), pp. 4-8. 미소장
15 Corcoran, Patricia and Kelly Jazvac. “The consequence that is plastiglomerate,” Nature Reviews, vol. 1 (January 2020), pp. 6-7. 미소장
16 Foucault, Michel. The Archaeology of Knowledge and the Discourse on Language, (trans.) A. M. Sheridan Smith, New York: Pantheon Books, 1972. 미소장
17 Freinkel, Susan. Plastic: A Toxic Love Story, Boston and 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1. 미소장
18 Freinkel, Susan. “A Brief History of Plastic’s Conquest of the World,” The Scientific American (May 29, 2011).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a-brief-history-of-plastic-world-conquest/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19 Johnson, Peter. “The Inclusive Philosophy of Michel Serres for Our Time of Crisis,” Environmental Humanities, 13:2 (Nov. 2021), pp. 459-469. 미소장
20 Jordan, Chris. Intolerable Beauty: Portraits of American Mass Consumption, Self published, 2005. 미소장
21 Jordan, Chris. Interview with Jörg Coldberg, “Intolerable Beauty,” Orion Magazine (March/April, 2017). https://orionmagazine.org/article/intolerable-beauty/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22 Morton, Timothy. Hyperobjects: Philosophy and Ecology after the End of the World,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3. 미소장
23 Mount, Dana C. “Garbage and the Politics of Mixing, in Wolf, Ravishankar, and Sen’s Trash! On Ragpicker Children and Recycling,” Resilience: 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vol. 2, no. 3 (Fall 2015), pp. 23-39. 미소장
24 Museum Tinguely. Territories of Waste: On the Return of the Repressed, exhibition catalogue, Basel: Museum Tingeuly, 2022. 미소장
25 Phillips, Patricia C. et al. Mierle Laderman Ukeles: Maintenance Art, New York: Queens Museum, 2016. 미소장
26 Serres, Michel. Malfeasance: Appropriation Through Pollution?, Anne-Marie Feenberg-Dibon (tran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11. 미소장
27 Spector, Nancy. Gabriel Orozco: Asterisms, exhibition catalogue, New York: Guggenheim Museum, 2012. 미소장
28 Srinivasan, Prasanna. “Let the Trade in Waste Continue,” Wall Street Journal (Dec. 16, 2002). 미소장
29 Steinhauer, Jillian. “How Mierle Laderman Ukeles Turned Maintenance Work into Art,” Hyperallergic, (Feb. 10, 2017), https://hyperallergic.com/355255/how-mierle-laderman-ukeles-turned-maintenance-work-into-art/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30 Stone, Madeleine. “New plastic pollution formed by fire looks like rock,” National Geographic (Sept. 8, 2029). http://www.nationalgeographic.co.uk/environment-and-conservation/2019/09/new-plastic-pollution-formed-by-fire-looks-like-rocks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31 Temkin, Ann. “Open Studio,” Gabriel Orozco,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2009, pp. 10-21. 미소장
32 Wallace, Molly. “Letting Platic Have Its Say; or, Plastic’s Tell,” Risk Criticism: Precautionary Reading in an Age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6, pp. 123-154. 미소장
33 https://www.cohenvanbalen.com/work/h-alcutaau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34 https://www.beautyemerging.com/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
35 http://www.chrisjordan.com/gallery/camel/#about (2023년 4월 25일 접속).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