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원(2021). 비대면 교육환경의 대응에 관한 연구-교육복지를 중심으로. 헌법학연구, 27(2), 309-332. | 미소장 |
2 |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2020).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네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 289-297. | 미소장 |
3 | 고경필, 고정리(2018). 대학생이 인식한 심리적 및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9), 439-468. | 미소장 |
4 | 고지영(2005). 청년실업자의 진로타협 요인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광주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2020). http://www.gjmhc.or.kr/ | 미소장 |
6 |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7 |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성남(2013). 특성화고졸 취업자의 진로발달 유형과 직장만족도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32(3), 141-162. | 미소장 |
9 | 남재현, 이래혁(2020).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한국사회복지학, 72(4). 215-241. | 미소장 |
10 | 대학교육협의회(2021). 코로나-19 대학(원)상 심리·정서 지원 실태조사. RM2021-29-1007. | 미소장 |
11 | 박연숙, 이혜경(2006). 일개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신체조성간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학회지, 19(2), 67-78. | 미소장 |
12 | 박영순(2022). 대학생의 코로나19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불안통제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229-441. | 미소장 |
13 | 박재민, 엄미정, 김윤영(2010). 전공-직업 일치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구.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3(2), 1-20. | 미소장 |
14 | 박주희(2022).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경험과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삭위논문. | 미소장 |
15 | 성경주, 김석범(2021).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8(5), 67-79. | 미소장 |
16 | 손병돈, 문혜진(2021).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누구에게 집중되었는가?. 한국사회복지학, 73(3), 9-31. | 미소장 |
17 | 송연주(2021). 대학등록금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대졸자의 직업가치 추구. 교육사회학연구, 31(2), 31-52. | 미소장 |
18 | 신정아, 김장희(2021). 코로나19를 경험한 대학생의 진로구성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재활심리연구, 28(3), 139-158. | 미소장 |
19 | 원지영(2019).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2), 638-649. | 미소장 |
20 | 원지영(2020).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패널 제6회 학술대회. 91-110. | 미소장 |
21 | 유수복(2013).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유지원, 송윤희(2017).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 집단에 따른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의 잠재평균 비교. 진로교육연구, 30(1), 183-202. | 미소장 |
23 | 이동훈, 김예진, 이덕희, 황희훈, 남슬기, 김지윤(2020).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2119-2156. | 미소장 |
24 | 이래혁, 이재경(2022). 다문화가정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청소년 자녀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7(2), 153-174. | 미소장 |
25 | 이명숙(2003).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이미선, 한승희, 강주연, 김준범(2021). COVID-19 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청소년의 자살경향성 에미치는 효과 분석: 성향점수매칭 분석의 적용.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2(2), 1-14. | 미소장 |
27 | 이미영(2022). 코로나19시대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를 위한 진로멘토링 효과연구. 인문사회21, 13(1), 2821-2836. | 미소장 |
28 | 이소영, 최혜진(2021). 코로나19 로 인한 청년의 일상생활 변화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학교사회복지, 53, 401-427. | 미소장 |
29 | 이승호, 홍민기(2021). 코로나19와 1차 긴급재난지원금이 가구 소득과 지출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정책, 28(3), 17-44. | 미소장 |
30 | 이용관(2018).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 영향요인 변화 분석. 보건사회연구, 38(4), 465-491. | 미소장 |
31 | 이원식(2018).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3), 75-108 | 미소장 |
32 | 이태열(2020). 최근 소비감소의 가구 유형별 특징. KIRI Weekly, 497, 13-19. | 미소장 |
33 | 인크루트(2020.06.16). 코로나發 일자리 위기 감지? 대학생들 전공 변경 나섰다 https://moti.incruit.com/guide/job_news.asp?GCd=100&action=r&NewsNo=4438087. 2022년 10월 1일 인출. | 미소장 |
34 | 잡코리아(2021.03.03). 절박한 구직자들...구직자 48% “취업만 된다면 어디든 OK https://www.jobkorea.co.kr/GoodJob/Tip/View?News_No=18666&schCtgr=0&Page=92. 2022년 10월 1일 인출. | 미소장 |
35 | 장혜림, 이래혁(2022).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4), 651-659. | 미소장 |
36 | 전주람, 최경(2021). 코로나-19 일상생활에서 대학생들의 자기돌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2(4), 1061-1074. | 미소장 |
37 | 청년유니온(2021). 500명의 청년에게 묻다-코로나 19이후 청년 불안정 실태조사. 보도자료, 2021. 12. 7. | 미소장 |
38 | 통계청(2022a). e-지방지표 청년실업률. | 미소장 |
39 | 통계청(2022b). 사회조사 대학생 등록금 마련 방법. | 미소장 |
40 | 하정민(2020). 부모의 소득이 자녀의 취업 준비기간에 미치는 영향. 2020년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 미소장 |
41 | 한국경제연구원(2021). 2020년 고용, 외환위기 이어 역대 2번째로 심각. 보도자료 2021. 2. 16. | 미소장 |
42 | Bono, G., Reil, K., & Hescox, J. (2020). Stress and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Can grit and gratitude help?.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10(3), 39-57. | 미소장 |
43 | Brenner, M., H, & Bhugra D. (2020). Acceleration of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e: Secondary Effects of Economic Disruption Related to COVID-19. FrontPsychiatry, 11, 1-21. | 미소장 |
44 |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ies and research of the quality of school lif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3(1), 15-30. | 미소장 |
45 | Dubey, S., Biswas, P., Ghosh, R., Chatterjee, S., Dubey, M. J., Chatterjee, S., & Lavie, C. J. (2020). Psychosocial impact of COVID-19. Diabetes & Metabolic Syndrome: Clinical Research & Reviews, 14(5), 779-788. | 미소장 |
46 | Gottfredson, L. S. (1996).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In D. Brown & L. Books (Ed.),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3th ed.,179-232).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47 | Lerner, J. S. & Keltner, D. (2000). Beyond Valence: Toward a Model of Emotion-Specific Influences on Judgement and Choice. Cognition & Emotion, 14(4), 473-93. | 미소장 |
48 | Mihashi, M., Otsubo, Y., Yinjuan, X., Nagatomi, K., Hoshiko, M., & Ishitake, T. (2009). Predictive factors of psychological disorder development during recovery following SARS outbreak. Health Psychology, 28(1), 91-100. | 미소장 |
49 | Mutter, J. C. (2020). 재난 불평등 재난은 왜 약자에게 더 가혹한가. 장상미 역. 파주: 동녘. | 미소장 |
50 | Osgood, D. W., Foster, E. M., Flanagan, C., & Ruth, G. R. (2005). On Your Own without a Net.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51 | Shigemura, J., Ursano, R. J., Morganstein, J. C., Kurosawa, M., & Benedek, D. M. (2020). Public responses to the novel 2019 coronavirus (2019 nCoV) in Japan: Mental health consequences and target populations.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74(4), 281-282. | 미소장 |
52 | Shin, Y. J., & Lee, J. (2020). South Korea’s Proactive Approach to the COVID-19 Global Crisis.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12(5), 475-477. | 미소장 |
53 | Sweeny, K., & Dooley, M. D. (2017). The surprising upsides of worry.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1(4). e12311. | 미소장 |
54 | Villa, L., Jaramillo, E., Mangioni, D., Bandera, A., & Raviglione, M. C. (2020). Stigma at the time of the COVID-19 pandemic. Clinical Microbiology Infection, 26(11), 1450-1452. | 미소장 |
55 | Wang, C., Pan, R., Wan, X., Tan, Y., Xu, L., Ho, C. S., & R. C. Ho. (2020), Immediate psychological responses and associated factor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2019 coronavirus disease (COVID-19) epidemic among the general populatio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5), 1729-175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