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021-2025)』. 세종: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21. | 미소장 |
2 | 권유경 외. 『2016 아프리카 국별연구시리즈-나이지리아』. 서울: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2016. | 미소장 |
3 | 이석희 외.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협력에 관한 연구(I): 쟁점 및 정책과제』.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10. | 미소장 |
4 | 이석희 .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협력에 관한 연구(Ⅲ)-개발협력 프로그램의 모듈화-』.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2. | 미소장 |
5 | 박효원‧안해정. 『코로나시대 교육분야 개발협력 사업 지원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20. | 미소장 |
6 | KOICA. 『2020 대한민국 ODA 백서』. 세종: KOICA, 2020. | 미소장 |
7 | KOICA. 『나이지리아 전역 공립 초중학교 멀티미디어 교육환경 개선 및 교육역량강화(2021~2025/1,041만 불) 집행계획안』. 경기: KOICA, 2021. | 미소장 |
8 | KOICA. 『나이지리아 초중등시범학교단지 건립사업 (2013-2019/1,500만불) 종료평가 결과보고서』. 경기: KOICA, 2022. | 미소장 |
9 | 권상철‧박경환.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의 이행: 그 기회와 한계.”『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3권 제1호, 2017. | 미소장 |
10 | 김덕근‧정혜경. “캄보디아 국가수준 학생평가 체제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교육개발협력 사례 연구.”『지역발전연구』 제26권 2호, 2017. | 미소장 |
11 | 김성규‧김주희. “국제개발협력과 나이지리아 국가발전전략: 유가하락과 경제개혁 과제를 중심으로.”『동서연구』 제28권 4호, 2016. | 미소장 |
12 | 김철우‧채재은. “對라오스 교육개발협력정책의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제25권 1호, 2015. | 미소장 |
13 | 박종희. "국제개발협력의 기원과 구조적 변화-연속성과 불연속성." 『세계정치』 제24호, 2016. | 미소장 |
14 | 박재신. “개발도상국의 전자정부 추진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나이지리아 사례.” 『경영교육연구』 제30권 5호, 2015. | 미소장 |
15 | 배원준‧장우찬. “전자정부사업 역량강화 연수의 미시적 효과 : 나이지리아 전자정부 사업 사례연구.”『국제개발협력』 제14권 2호, 2019. | 미소장 |
16 | 임고운‧김정효. “교육개발협력에 있어서 초등여아들의 교육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 모색: 사하라이남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9권 2호, 2016. | 미소장 |
17 | 임부영. “한국-미얀마 유아교육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ODA) 지원방안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7권5호, 2017. | 미소장 |
18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ODA 통합누리집: 부처별 나이지리아 지원계획 사업목록.” http://odakorea.go. kr/countryProfile?ctryCode=NGA(검색일: 2023년 4월 10일). | 미소장 |
19 | KBS. ““한국은 선진국” 공식 인정…UNCTAD ‘개도국→선진국’ 지위 변경.” 2021년 7월 3일.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24508(검색일: 2023년 4월 14일) | 미소장 |
20 | KOICA.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https://www.odakorea.go.kr/ODAPage_2022/category01/L01_S01_01.jsp(검색일: 2023년 3월 29일). | 미소장 |
21 | ODA 정보포털. “개발원조의 동기.” https://www.oda.go.kr/opo/odin/mainInfoPage.do?P_SCRIN _ID=OPOA60100 0S02 | 미소장 |
22 |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Nigeria EFA Review Report 2000-2014: Strides and Milestones. Abuja :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2014. | 미소장 |
23 |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for Change: A Ministerial Strategic Plan: 2018-2022. Abuja: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2018. | 미소장 |
24 |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NIGERIA DIGEST OF EDUCATION STATISTICS 2019. Abuja: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2019. | 미소장 |
25 | UNESCO. The Dakar Framework for Action. Paris: UNESCO, 2000. | 미소장 |
26 | UNESCO. Global Education Monitoring Report 2016-Education for People and Planet:Creating Sustainable Futures for All. Paris: UNESCO, 2016. | 미소장 |
27 | UNICEF Nigeria. Nigeria equity reports: Fact sheets on UNICEF Nigeria's Education. Abuja: UNICEF Nigeria, 2017. | 미소장 |
28 | Alex Inkeles. “Becoming Modern: Individual Change in Six Developing Countries.” Ethos. Vol. 3, No. 2. 1975. | 미소장 |
29 | EP-Nuffic. “Nigeria: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ttps://www.nuffic.nl/en/education -systems/nigeria/primary-and-secondary-education(검색일: 2023년 4월 5일). | 미소장 |
30 | OEC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definition and coverage.” https://www.oecd. org/dac/financing–sustainable-development/development-finance-standards/official developmentassistancedefinitionandcoverage.html(검색일: 2023년 3월 29일). | 미소장 |
31 | OECD stat. “Total flows by donor (ODA+OOF+Private).” https://stats.oecd.org/(검색일:2023년 4월 10일). | 미소장 |
32 | UNESCO. “Official List of SDG 4 Indicators.” https://tcg.uis.unesco.org/wp-content/uploads/sites/4/2020/09/SDG4_indicator_list.pdf | 미소장 |
33 | United Nations,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n/aboutus/universal-declaration-of-human-rights(검색일: 2023년 4월 3일).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