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단위 학교의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 실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 최숙기 1

요약 1

Abstract 2

Ⅰ. 들어가는 말 3

Ⅱ. 단위 학교 국어 교과서 선정 방안 4

Ⅲ. 연구방법 7

1. 연구 대상 선정 7

2. 자료 수집 8

3. 자료 분석 9

Ⅳ. 연구 결과 9

1. 국어 교과서 선정 실태 분석 9

2. 국어 교과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3. 국어 교과서 평가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15

Ⅴ. 결론 및 제언 20

참고문헌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pre-servi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earth science learning via drawing 최윤성 p. 5-35

보기
혁신자치초등학교 학생의 학습태도 추세분석과 수준별 연관 변인들 탐색 = The learning attitudes of innovative autonomou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ed variables at different levels of learning attitudes 김미숙, 신선희, 우명숙 p. 37-63

보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상담활동 수업 개선 방안 = A study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counseling activity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전은경, 유형근, 김한영, 김유리 p. 65-91

보기
심리적으로 소진된 초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burnou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 colleagues and managers 문가람, 유형근 p. 93-112

보기
맞춤형 한국어 수업을 위한 표준한국어 교재 학습활동 분석 = Analyzing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standard language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differentiated instruc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다중지능이론 관점에서 조영임 p. 113-140

보기
단계별 쓰기와 교사 피드백을 통한 영어 설명문 쓰기 발달 촉진을 위한 지도법 = Teaching strategies to promote English expository writing development through step-by-step writing and teacher feedback 장하영, 김태은 p. 141-170

보기
실습학기제 시범운영에 따른 참여 주체의 인식 분석 = Analysis of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pilot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um semester system : with a focus on colleges of education : 사범대학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엽, 문찬수 p. 171-201

보기
유아의 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쓰기 특성 분석 =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in young children's writing activities 김경철, 이민영 p. 203-229

보기
교사열의가 성취압력을 매개로 학업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on the effect of teacher enthusiasm on academic self-concept mediated by achievement pressure 장진원, 이재덕 p. 231-254

보기
고교학점제에 따른 일반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special class curriculum operation model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general school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강은영, 박윤정, 서효정 p. 255-277

보기
단위 학교의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 실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최숙기 p. 279-301

보기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 application of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잠재조절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윤익상 p. 303-324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22). 2023학년도 검⋅인정도서 선정 매뉴얼. 교육부. 미소장
2 김민정 (2016). 국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교원교육, 32(3), 109-125. 미소장
3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2012).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3), 1-28. 미소장
4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2013). 사용자 중심의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틀 개발 연구, 국어교육연구, 31, 371-400. 미소장
5 김은정 (2012). 중학교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과 교과서 활용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교육과학연구, 18, 21-35. 미소장
6 김주환 (2011). 국어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國語敎育學硏究 국어교육학회, 42, 347-378. 미소장
7 남가영, 김호정, 박재현, 김은성 (2011).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53-81. 미소장
8 박재현, 김호정, 김은성, 남가영 (2015). AHP를 활용한 국어 교과서 선정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제279회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59-171. 미소장
9 교육부 (2017).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발행 체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2017. 9.) 미소장
10 윤여탁 (2005). 국어 교과서 발행 제도의 변천과 검정제의 발전 방향. 교과서연구, 45, 14-20. 미소장
11 조난심, 서지영, 송현정, 김재철 (2005). 교과서 편찬제도 개선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국정도서의 검정화를 중심으로(연구보고 CRC 2005-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2 정혜승 (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독서연구24, 445-478. 미소장
13 최숙기 (2015).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국어과 평가 개선 방안 연구. 교원교육, 31, 1-27. 미소장
14 Krueger, R., & Casey, M.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15 Morse, M., & Field, A.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