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조선 초기 의례에서의 당악 사용 및 양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and style of Tang-ak(Tang Music) in early Joseon Dynasty rituals / 임영선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조선 초기 궁중의례에서 당악 사용의 관습 5
1) 조정의례에서 당악의 사용 5
2) 연향에서 당악의 사용 7
3) 제례에서의 당악 사용 13
3. 조선 초기 의례에서 연주된 당악의 양식 18
1) 『세종실록』「악보」소재〈여민락〉과〈계우〉 19
2) 『세조실록』「악보」소재 종묘제례악에서 보이는 당악 양식의 활용 24
4. 나가며 31
참고문헌 33
ABSTRACT 3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高麗史』 | 미소장 |
2 | 『國朝五禮序例』 | 미소장 |
3 | 『國朝五禮儀』 | 미소장 |
4 | 『端宗實錄』 | 미소장 |
5 | 『成宗實錄』 | 미소장 |
6 | 『世宗實錄』 | 미소장 |
7 | 『時用鄕樂譜』 | 미소장 |
8 | 『樂學軌範』 | 미소장 |
9 | 『太祖實錄』 | 미소장 |
10 | 『太宗實錄』 | 미소장 |
11 | 강제훈(2017), 『만남의 제도화, 조선시대 조정 의례』, 민속원. | 미소장 |
12 | 김영운(2015), 『국악개론』, 음악세계. | 미소장 |
13 | 김종수(2018),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민속원. | 미소장 |
14 | 이혜구(1987), 『정간보의 정간 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 미소장 |
15 | 이혜구·임미선(2005), 『韓國音樂理論』, 민속원. | 미소장 |
16 | 임미선(2011),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의 사적 전개』, 민속원. | 미소장 |
17 | 장사훈(1986), 『增補韓國音樂史』, 세광음악출판사. | 미소장 |
18 | 강제훈(2007), 「조선 초기 朝儀의 의례구조와 상징」, 『韓國史硏究』 137, 한국사연구회. | 미소장 |
19 | 김세중(1999), 「미완의 르네상스 세종조 아악정비를 다시 생각한다」, 『동양음악』 제21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미소장 |
20 | 김종수(1992), 「조선시대 魂殿과 原廟 제향악」, 『韓國學報』 제66집, 일지사. | 미소장 |
21 | 김종수(2008), 「조선 초기 樂章 演行 양상-受寶籙·夢金尺·覲天庭·受明命-」, 『온지논총』제18집, 온지학회. | 미소장 |
22 | 김종수(2018), 「조선시대 災變에서 用樂」,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문화사적 고찰』, 민속원. | 미소장 |
23 | 남상숙(2007), 「古樂譜 長短의 變奏形에 대한 檢討 및 內在律 考察」, 『궁중음악의 음악학적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7. | 미소장 |
24 | 송방송(1998), 「鮮初 唐樂의 音樂史學的 檢討」, 『李惠求博士九旬紀念音樂學論叢』, 李惠求學術賞運營委員會, 1998. | 미소장 |
25 | 송혜진(2008), 「조선시대 嘉禮의 用樂 유형」, 『조선 왕실의 가례 01』, 민속원. | 미소장 |
26 | 신대철(1995), 「朝鮮朝의 鼓吹와 鼓吹樂」,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신대철(1998), 「高麗와 朝鮮初期의 鄕樂과 唐樂」, 『李惠求博士九旬紀念 音樂學論叢』, 李惠求學術賞運營委員會. | 미소장 |
28 | 신대철(2001), 「世宗代 以後 燕山君代의 鄕樂과 唐樂」, 『韓國音樂硏究』 제29집, 한국국악학회. | 미소장 |
29 | 오용록(2010), 「조선후기 당악의 변천」, 『동양음악』 제31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미소장 |
30 | 이민홍(2016), 「동아시아 佾舞의 예악론적 함의와 미학」, 『東方漢文學』 제68집, 동방한문학회. | 미소장 |
31 | 이 욱(2004), 「조선시대 친경례(親耕禮)의 변천과 그 의미」, 『종교연구』 34, 한국종교학회. | 미소장 |
32 | 이종숙(2011), 「조선조 豊安·雍安·興安之樂의 아악성향 분석」, 『韓國舞踊史學』 제12호, 무용역사기록학회. | 미소장 |
33 | 이혜구(1957), 「笙歌寥亮과 鼓吹樂」, 『韓國音樂硏究』, 국민음악연구회. | 미소장 |
34 | 이혜구(1957), 「與民樂攷」, 『韓國音樂硏究』, 국민음악연구회. | 미소장 |
35 | 이혜구(1977), 「3. 音樂」, 『한국사 11 조선: 양반관료사회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36 | 이혜구(1985), 「笙歌寥亮」, 『韓國音樂論集』, 세광음악출판사. | 미소장 |
37 | 이혜구(1987), 『井間譜의 井間·大綱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 미소장 |
38 | 임영선(2020), 「조선 초기 회례 용악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정화순(2015), 「현행 한국 당악의 악조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58집, 한국국악학회. | 미소장 |
40 | 정화순·김인숙(2022), 「선초 속악의 7음음계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제69집, 한국음악사학회. | 미소장 |
41 | 조규익(2012), 「「鳳來儀」 악장 연구(1):樂舞 명칭의 典據와 악장 내용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溫知論叢』 제31집, 溫知學會. | 미소장 |
42 | 조규익(2014), 「여말선초 악장의 중세적 관습 및 변이 양상」, 『우리문학연구』 44집, 경인문화사. | 미소장 |
43 | 지두환(1991), 「朝鮮前期 文廟儀禮의 整備過程」, 『韓國史硏究』 제75호, 한국사연구회. | 미소장 |
44 | 한형주(2007), 「조선전기 文昭殿의 성립과 그 운영」, 『역사민속학』 제24호, 한국역사민속학회. | 미소장 |
45 | 황준연(1998), 「『시용향악보 향악곡의 年代」, 『한국시가연구』 제4집, 한국시가학회. | 미소장 |
46 | Lee, Hye-ku(1978), “Difference between Hyang-ak and Tang-ak”, KOREA JOURNAL vol. 18, no. 2,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미소장 |
47 | Lee, Hye-ku(1986), “Sung Dynasty Music Preserved in Korea and China”, Korean Studies vol.10, University of Hawai'i Press. | 미소장 |
48 | Sheen, Dae-Cheol(1997), “Some Koreanized Aspects of Chinese Music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민족음악학 제19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미소장 |
49 | 이혜구 역주(1973), 『악보Ⅰ 세종장헌대왕실록 2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