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팬데믹 이후 교육에 대한 생각과 실천 양상 등 모든 것이 달라졌다. 양적 처방을 더하는 수준에서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문학교육 생태계 전반을 조정하고 재구성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도전의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먼저 매체 환경과 학습자 및 문학 교실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넘어 ‘미디어와 더불어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로 우리의 질문을 바꿀 필요가 있으며, 포노 사피엔스들의 학습 방식에 맞는 새로운 교육 제도에 대해 고민하는 한편, 읽기 중심의 근대식 문학교육 역시 달라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습자 개인의 ‘성장’이나 ‘발전’이 아니라 개인은 물론이고 공동체의 ‘웰빙’이, 학생의 ‘행위주체성(주도성)’이 미래 교육의 화두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문학교육 개념 생태계, 나아가 문학교육 생태계 역시 이 두 개념을 중심으로 조정되고 재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다른 지향과 철학을 담고 있는 기왕의 개념들과 갈등하겠지만, 결국에는 ‘웰빙’이나 ‘행위주체성’이 문학교육 개념 생태계에서 적소를 차지할 것이라고 낙관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연구 및 실천의 장에서도 여러 관련 제안과 논의, 실험 및 연대가 있어야 한다.

‘읽다/쓰다’를 넘어 ‘하다’로 문학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학습자의 문학 자산을 존중하고 파악하는 한편, 학습자의 참여와 실행을 중심으로 교육 방법 역시 혁신할 필요가 있다. 학습 여정의 설계자인 문학교사가 학습자들이 긍정적 문학(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언젠가는 학습자들 스스로 그 발견 및 성취의 경험을 기억하며 자신이 보유한 디지털 기기 등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학의 세계를 깊이 그리고 두루 탐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이란 결국 자기 학습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며, 공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는 오늘날의 문학교육 구도와 내용 전반을 해체하고 비판적으로 조정 및 재구성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들의 삶에서 아동문학 다시 읽기 = Exploring rereading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ves : focusing on Mongsil Sister : <몽실 언니>를 중심으로 김상한 p. 7-35

미디어 과몰입 개선을 위한 구비설화의 VR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utilize VR contents of folktales to improve media immersion : focusing on self-regulation factors : 자기통제 요인을 중심으로 김정애, 정지현, 정의준 p. 37-70

시민교육으로서의 소설교육에 대한 시론 = A study on novel education as a civic education : focusing on citizenship and two main emotions : 시민성과 두 가지 주요 감정을 중심으로 김지현 p. 71-101

포스트 팬데믹 시대, 문학 정전으로서의 최인훈의 <광장> 새롭게 읽기 = Revisiting Choi, In-hoon’s The Square as literature in the post-pandemic era 김지혜 p. 103-130

팬데믹 이후의 문학교육에서 수행성 관점의 문학 읽기에 대한 시론 = An introductory research on reading literature from a performativity perspective in post-pandemic literary education 박주형 p. 131-174

이탈리아 대학에서의 시조 번역 수업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sijo translation class at an Italian university 송지언 p. 175-210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 고찰 = A study of ‘bonds-escape-revenge’ motif in world folklore : focusing on the Oezzok’s Tricks in Joseon Donghwa Daegip (A Great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 :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신원기 p. 211-260

문학하는 시대, 다시 문학 속으로 = In the age of ‘literating’, back to literature : reflection and direction exploration : 성찰과 방향 탐색 염은열 p. 261-291

'부정 변증법'에 입각한 오규원 시 읽기 = Reading Oh Kyu-won’s poems based on ‘negative dialectics’ 오정훈 p. 293-328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비판적 검토 = Critical review of female speaker education in classical poetry. 2, Focused on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education. 2, <가시리>⋅<서경별곡> 교육을 중심으로 조희정 p. 329-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