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팬데믹 이후 교육에 대한 생각과 실천 양상 등 모든 것이 달라졌다. 양적 처방을 더하는 수준에서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문학교육 생태계 전반을 조정하고 재구성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도전의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먼저 매체 환경과 학습자 및 문학 교실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넘어 ‘미디어와 더불어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로 우리의 질문을 바꿀 필요가 있으며, 포노 사피엔스들의 학습 방식에 맞는 새로운 교육 제도에 대해 고민하는 한편, 읽기 중심의 근대식 문학교육 역시 달라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습자 개인의 ‘성장’이나 ‘발전’이 아니라 개인은 물론이고 공동체의 ‘웰빙’이, 학생의 ‘행위주체성(주도성)’이 미래 교육의 화두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문학교육 개념 생태계, 나아가 문학교육 생태계 역시 이 두 개념을 중심으로 조정되고 재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다른 지향과 철학을 담고 있는 기왕의 개념들과 갈등하겠지만, 결국에는 ‘웰빙’이나 ‘행위주체성’이 문학교육 개념 생태계에서 적소를 차지할 것이라고 낙관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연구 및 실천의 장에서도 여러 관련 제안과 논의, 실험 및 연대가 있어야 한다.
‘읽다/쓰다’를 넘어 ‘하다’로 문학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학습자의 문학 자산을 존중하고 파악하는 한편, 학습자의 참여와 실행을 중심으로 교육 방법 역시 혁신할 필요가 있다. 학습 여정의 설계자인 문학교사가 학습자들이 긍정적 문학(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언젠가는 학습자들 스스로 그 발견 및 성취의 경험을 기억하며 자신이 보유한 디지털 기기 등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학의 세계를 깊이 그리고 두루 탐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이란 결국 자기 학습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며, 공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는 오늘날의 문학교육 구도와 내용 전반을 해체하고 비판적으로 조정 및 재구성해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