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안수인, 한정란, 이남,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질,” 노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49-68, 2021. | 미소장 |
2 | 박성희, 2013 워크샵 및 봄학술대회토론자료, 한국성인교육학회 & 한국평생교육․HRD 연구소, 2013. | 미소장 |
3 | 최희경, “신노년 정책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17권, 제3호, pp.41-65, 2010. | 미소장 |
4 | 전순득,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 미소장 |
5 | 권수현, 현영섭,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노화의 관계에서 평생학습참여의 매개효과,” 평생학습사회, 제17권, 제2호, pp.167-199, 2021. | 미소장 |
6 | R. Sabates and C. Hammond, The impact of lifelong learning on happiness and well-being, 2008. | 미소장 |
7 | 조순옥, 이희수, “평생학습 관점에서의 한국 성인의24시,”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2호, pp.133-167, 2009. | 미소장 |
8 | 양윤희, 이경화, “성공적 노화에 관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평생교육·HRD연구, 제17권, 제2호, pp.61-84, 2021. | 미소장 |
9 | A. E. Woolfolk, Educational psychology, New Delhi: Pearson Education, 2013. | 미소장 |
10 | 박창동, 이희수, “성인학습자의 공식적 CoP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K 은행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3호, pp.83-107, 2011. | 미소장 |
11 | 김영미,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 참여동기및 학습참여도와 평생학습성과의 구조적 분석,” 교육연구논총, 제33권, 제2호, pp.123-143, 2012. | 미소장 |
12 | 안은미, 허정무,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삶의 질 인지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8권, 제1호, pp.391-400, 2018. | 미소장 |
13 | 박영실, “평생학습과 행복과의 관계-자아존중감과몰입을 중심으로,” HRD 연구, 제12권, 제4호. pp.119-136, 2010. | 미소장 |
14 |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Vol. 1990), New York:Harper & Row, 1990. | 미소장 |
15 | 박형근,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16 | 곽명희, 곽영희, 고미나, “고등학생의 부모애착, 교사-학생 관계,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11호, pp.209-229, 2018. | 미소장 |
17 | 홍송이, 임성택, “학습컨설팅 지원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성취에 미치는효과,” 교육학연구, 제54권, 제4호, pp.295-327, 2016. | 미소장 |
18 | 박정례,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제34권, 제2호, pp.151-178, 2013. | 미소장 |
19 | 정기범,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RD 연구, 제16권, 제3호, pp.159-183, 2014. | 미소장 |
20 | 정찬길, 배을규, 박상오,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유형과 학습몰입 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5호, pp.155-177, 2018. | 미소장 |
21 | 민현기, “학점은행제 등록 중년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8권, 제1호, pp.130-151, 2017. | 미소장 |
22 | B. J. Fisher,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1, No.3, pp.239-250, 1995. | 미소장 |
23 | J. Angus and P. Reeve, “Ageism: A threat to “aging well”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5, No.2, pp.137-152, 2006. | 미소장 |
24 | 노준희,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25 |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Y: Pantheon/ Random House, 1998. | 미소장 |
26 | K. L. Chou and I. Chi,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4, No.1, pp.1-14, 2002. | 미소장 |
27 | D. L. Charbonneau-Lyons, P. M. Mosher-Ashley and M. Stanford-Pollock, “Opinions of college students and independent-living adults regarding successful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No.10, pp.823-833, 2002. | 미소장 |
28 | G. E. Vaillant and K. Mukamal,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8, No.6, pp.839-847, 2001. | 미소장 |
29 | R. Crosnoe and G. H. Elder Jr,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pp.309-328, 2002. | 미소장 |
30 | R. B. Tate, L. Lah, and T. E. Cuddy,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by elderly Canadian males: The Manitoba follow-up study,” The Gerontologist, Vol.43, No.5, pp.735-744, 2003. | 미소장 |
31 | 이황원, 법적 관점에서 살펴본 평생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8. | 미소장 |
32 | S. B. Sheffield, The orientations of adult continuing learn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62. | 미소장 |
33 | 배미주, 이경희, “농업인의 교육훈련프로그램 참여동기, 교육만족, 직무만족, 현업적용 간의 구조 관계,”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267-300, 2020. | 미소장 |
34 | 송영선, “고학력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 평생교육학연구, 제24권, 제2호, pp.31-55, 2018. | 미소장 |
35 | 최재훈, 이동규, 하상구, “경찰 직무교육효과 제고를위한 정책적 제언: 참여동기와 반응평가 및 학습평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제19권, 제2호, pp.147-175, 2019. | 미소장 |
36 | 신미정, “청소년교육학 전공 성인학습자의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삶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7권, 제4호, pp.71-96, 2020. | 미소장 |
37 | 이효영,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의 성과요인에관한 통합적 고찰,” 교육문화연구, 제26권, 제3호, pp.319-344, 2020. | 미소장 |
38 | C. O. Houle,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Wisconsin, W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 미소장 |
39 | 김철호,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동기와 관여가 평생교육 학습자의 만족, 지속수강의도, 권유의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575-588, 2015. | 미소장 |
40 | 이지선, 성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미소장 |
41 | J. P Steele and C. J. Fullagar, “Facilitators and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in a college sett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43, No.1, pp.5-27, 2009. | 미소장 |
42 | A. W.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Jossey-Bass, Inc., 1993. | 미소장 |
43 | H. M. Marks,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7, No.1, pp.153-184, 2000. | 미소장 |
44 | H. Coates, “The value of student engagement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1, No.1, pp.25-36, 2005. | 미소장 |
45 | 석임복, 강이철,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21-154, 2007. | 미소장 |
46 | 김희정, 교사-학생관계 및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간의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47 | 김미란,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활동이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남성 노인의색소폰 연주 동아리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48 | 신의현,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학습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49 | 김세희,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SNS 활용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50 | 김종식,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및 삶의 질 간의 관계연구: 종교생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51 | 이현주, 구혜경, 김숙연, “평생교육 서비스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청주지역의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15-338, 2015. | 미소장 |
52 | 전명수, 송선희, “노인 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이 교육만족도와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438-448, 2012. | 미소장 |
53 | 한우식, 학습동아리 참여노인의 학습경험 과정과 지속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54 | 박윤희, 중년기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55 | 김민아,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노년기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한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56 |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57 | 장희영,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58 | S. A. Jackson and H. W. Mar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Vol.18, No.1, pp.17-35, 1996. | 미소장 |
59 |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미소장 |
60 | 임숙경,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61 | 홍세희, 정송,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제21권, 제4호, pp.1-24, 2014. | 미소장 |
62 |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집현재, 2017. | 미소장 |
63 |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 미소장 |
64 | 김주성, 중·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의 노후 준비 및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65 | 조혜경, 중년여성의 심리상담교육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66 | 이경란,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