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선대의 서사 문학에서 동심을 바탕으로 한 환상담, 모험담, 징치담과 같은 동화적 문법을 살필 수 있다.
환상담은 고전소설로 이행된 동화성의 원형을 추적하는 데 긴요한 단서이다. 〈박혁거세〉, 〈김수로왕〉, 〈김대성〉, 〈서동〉 등은 환상성을 매개로 역경을 딛고 꿈을 이루는 어린이(혹은 어른)를 발견하는 동화적 문법을 선사한다. 모험담은 정체성 찾기, 건국 영웅 되기, 악의 무리 처치하기 등을 통해 동화성을 선보인다. 〈유리왕〉, 〈거칠부〉, 〈선율〉 등은 자아 성장과 세계 탐색의 동화적 문법과 상통한다. 징치담은 사회 구성원인 어린이(나아가 어른)의 정신적 발달 과정에서올바른 삶에 대한 교훈을 담는다. 〈사금갑〉, 〈신충〉 등은 옳고 그른 것을 분별하는 자의식의 성장에 목표를 둔 작품이다.
선대 서사 문학의 동화적 문법은 고전소설로 전승되어 변주된다. 첫째, 환상담은 호환적(互換的) 서사에서 불가역적(不可逆的) 인연담으로 변모한다. 고전소설의 인연담은 현실성을 우위에 두고 인물의 삶이나 사고가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없는 세계를 그린다.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등은 고통 속에서 오히려 ‘인간다움’을 양각한다. 진실한 인간다움을 주제로 삼는 동화적 문법이 엿보인다.
둘째, 모험담은 고전소설에 이르러 인간과 세계의 존재론적 변증 과정을 다루는 노정담으로 변모한다. 노정담의 서사 주체는 유교와 불교, 도교와 무속세계를 주유하며 철학 문제를 다룬다.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최생우진기〉, 〈구운몽〉 등이 추구하는 이상 세계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소망하는 가치라는 점에서 동화적 문법과의 긴밀성을 논할 수 있다.
셋째, 선대의 징치담은 고전소설에 이르러 제도적, 이념적 금기와 한계를 초극하는 교술담으로 변주된다. 〈홍길동전〉과 〈홍계월전〉 등은 탈이념 속에서 인간애가 살아 있는 균등한 사회를 구현한다. 휴머니즘에 입각한 동심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동화적 문법과 일치한다.
고전소설을 동화적 문법으로 해석하면 고전소설 연구론의 깊이와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 고전소설의 수용층 확대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교육적 활용면에서도 창의적인 교수법을 개발할 수 있다.
고전소설이 수용해 온 ‘진실한 인간상’은 동화적 문법의 정수(精髓)인 ‘동심’ 과 직결된 세계관이다. 그런 까닭에 고전소설의 문예적 속성으로 동화성을 접목해 해석하는 일은 의미 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만중, 『구운몽』, 김병국 교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미소장 |
2 | 김부식, 『삼국사기』, 이재호 역, 솔 출판사, 2004. | 미소장 |
3 | 김시습, 『금오신화』, 이재호 역, 솔 출판사, 2004. | 미소장 |
4 | 김일렬 역주, 「홍길동전」, 『한국문학전집』2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 미소장 |
5 | 윤석중, 『윤석중전집』24, 웅진, 1988. | 미소장 |
6 | 이원수, 『이원수 아동문학전집: 아동문학입문』28, 웅진, 1988. | 미소장 |
7 | 이지, 『분서』, 김혜경 역, 한길사, 2004. | 미소장 |
8 | 일연, 『삼국유사』, 이재호 역, 솔 출판사, 2002. | 미소장 |
9 | 신광한, 『기재기이』, 박헌순 역, 범우, 2008. | 미소장 |
10 | 장시광 역주, 『방한림전』, 이담, 2010(개정판). | 미소장 |
11 | 조지훈, 『조지훈 전집』3(문학론), 일지사, 1973. | 미소장 |
12 | 고경민, 「창작동화에 담긴 문화요소와 문화교육」, 『동화와번역』28,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pp.15-35. | 미소장 |
13 | 권순긍, 「고전소설의 동화적 변모-<흥부전>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27, 월인, 2009, pp.265-289. | 미소장 |
14 | 권순긍, 「토끼전의 동화화 과정」, 『우리말교육현장연구』6,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pp.33-54. | 미소장 |
15 | 권순긍, 「전래동화 콩쥐팥쥐전의 형성과정」, 『민족문학사연구』52,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pp.110-141. | 미소장 |
16 | 권혁래, 「조선동화집의 성격과 의의」, 『조선동화집-우리나라 최초 전래동화집(1924)의 번역․연구』, 집문당, 2003. | 미소장 |
17 | 김동욱 외, 『삼국유사의 문예적 연구』, 새문사, 1982. | 미소장 |
18 | 김상욱, 「아동문학의 장르와 용어」, 『아동청소년문학연구』4,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9, pp.7-29. | 미소장 |
19 | 김영희, 「한국창작동화의 팬터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 미소장 |
20 | 김자연, 「한국 동화문학 연구-한국동화의 환상성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21 | 김자연, 『아동문학 이해와 창작의 실제』, 청동거울, 2003. | 미소장 |
22 | 김정란, 「설화의 동화화에 대한 연구1」, 『동화와번역』1,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01, pp.17-48. | 미소장 |
23 | 김정란, 「설화의 동화화에 대한 연구2」, 『동화와 번역』3-1,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02, pp.5-38. | 미소장 |
24 | 김정섭 외 2, 『동화를 통한 창의성 교육』, 서현사, 2004. | 미소장 |
25 | 김종헌, 「한국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 동심의 구성방식」, 『현대문학이론연구』33,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pp.52-74. | 미소장 |
26 | 김현화, 『고전소설 공간성의 문예미』, 보고사, 2013. | 미소장 |
27 | 김현화, 『기재기이의 창작 미학』, 보고사, 2014. | 미소장 |
28 | 김현화, 『창작의 원류, 고전문학에서 보다』, 보고사, 2017. | 미소장 |
29 | 김환희, 「설화와 전래동화의 장르적 경계선-아기장수 이야기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1,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01, pp.77-105. | 미소장 |
30 | 류병일, 『한국서사문학의 재생화소 연구』, 보고사, 2000. | 미소장 |
31 | 박상재, 『동화 창작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2. | 미소장 |
32 | 박용식․김정란․박혜숙, 「중원지역의 설화를 동화화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 『중원인문논총』19, 건국대학교 부설 중원인문연구소, 1999. | 미소장 |
33 | 박운규, 『태초에 동화가 있었다』, 현암사, 2006. | 미소장 |
34 | 박정용, 「설화의 전래동화 개작 양상과 문제점 연구: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콩쥐팥쥐>, <아기장수설화>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35 |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 미소장 |
36 | 석용원, 『아동문학원론』, 학연사, 1982. | 미소장 |
37 | 신헌재, 『아동문학의 숲을 걷다』, 박이정, 2014. | 미소장 |
38 | 염창권, 「동심론에서 ‘발견/자아확장’의 구조-이준관의 평론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96,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pp.377-407. | 미소장 |
39 | 오세정,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설화 다시 쓰기의 문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5집18권 4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4, pp.5-29. | 미소장 |
40 | 우쾌제, 『고소설의 탐구』, 국학자료원, 2007. | 미소장 |
41 | 윤호병, 『비교문학』, 민음사, 1994. | 미소장 |
42 | 이상진, 「한국창작동화에 나타난 희극성」, 『현대문학의 연구』35, 한국문학연구회, 2008, pp.235-269. | 미소장 |
43 | 이민희, 「한국문학사에서의 고전아동문학 성립가능성에 대한 일고-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제4판, 2005)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44, 국어국문학회, 2006, pp.301-323. | 미소장 |
44 | 이성훈, 『동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 미소장 |
45 | 이오덕,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백산서당, 1989. | 미소장 |
46 | 이오덕, 『동화를 어떻게 쓸 것인가』, 삼인, 2011. | 미소장 |
47 | 이재복, 『판타지 동화의 세계』, 사계절, 2006. | 미소장 |
48 |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 미소장 |
49 | 이정자, 「상대시가 배경 설화에 나타난 동화적 요소 고찰」, 『동화와번역』5,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03, pp.121-143. | 미소장 |
50 | 이지호, 「아동문학교육론: 동심 문제를 중심으로」, 『문학과교육』8, 문학과교육연구회, 1999, pp.103-124. | 미소장 |
51 | 정소영, 『한국전래동화 탐색과 교육적 의미』, 도서출판 역락, 2009. | 미소장 |
52 | 정진채, 『현대동화창작법』, 빛남, 1999. | 미소장 |
53 | 정희정, 「구비설화의 전래동화로의 재창작 방법」, 『어문연구』52, 어문연구학회, 2006, pp.175-196. | 미소장 |
54 | 조혜란,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와 그 의미」, 『고소설연구』37, 한국고소설학회, 2014, pp.91-117. | 미소장 |
55 | 최기숙, 『어린이 이야기, 그 거세된 꿈』, 책세상, 2001. | 미소장 |
56 |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 미소장 |
57 | 자크 데리다, 『문학의 행위』, 정승훈․진주영 역, 문학과지성사,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