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05년 도입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제도는 기술성과 시장성을 갖춘 기업이 자본시장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도입 초기 성과가 미진하였으나 2018년 이후 기술특례상장기업이 급속히 증가하는 등 제도가 시장에 정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시점에서 이루어진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개선 과정과 그로 인한 활성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2018년 제도 개선에서 당시 성장성 추천특례, 사업모델 평가특례 등 상장트랙의 확장으로 3년(2018년~2021년)간 21개사가 상장하였고, 상장절차 간소화 제도개선으로 소재 부품 장비 업종은 동 기간 15사개가 상장되었다. 또한 제도 도입초기부터 기술평가 신뢰성 제고를 위한 평가기관 다양화 노력과 업종확대 등 특례상장 문호 확대 노력이 지속되었고 2016년 이후 AI기술 기반 많은 기업들이 번역서비스, 의료영상진단, 영상 분야 등 다수 업종에서 등장하였고, 다양한 평가기관 정립, 업종제한 해제 등이 기술특례상장에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기술특례상장제도 개선은 그동안 상장활성화라는 양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온 바, 이제 더불어 질적인 면의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진입단계에서는 좀 더 심도 있는 성장성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전문평가기관 평가결과와 이후 기술특례상장기업 실적과 관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피드백 받는 방법이 도입될 수 있다. 시장진입 이후 관리는 인공지능, 소부장 업종 등 최근 업종 확대를 감안, 업종 특성을 감안한 공시 체계 구축과 추가적으로 상장주관사 기술특례상장기업에 대한 IPO 실사기간 연장 등 강화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규태․천영준․최세경, (2018), 정부 정책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원의 수단, 대상 그리고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혁신학회지 . 13(2) :83-103. 미소장
2 김영주, (2014), 홍콩 자본시장의 상장제도와 규제 : 성장기업시장(GEM)을 중심으로, 경영법률 . 24(2) : 307-367. 미소장
3 김영환, (2021), 해외 주요국 창업생태계 벤치마킹을 통한 한국의 창업생태계 발전방안,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 2967-2990. 미소장
4 김예지․이민화, (2017),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 12(5) : 101-128. 미소장
5 김윤경․신현한․조병문, (2022), 코넥스(KONEX)시장의 재도약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벤처창업연구 . 17(1) : 177-189. 미소장
6 박영규, (2022), 코스닥시장 특례상장기업의 장기성과, 경영경제연구 . 44(1) : 1-20. 미소장
7 손민정․지은희․김한, (2012), 국내 신성장동력 기업들의 진출 현황 및 정책적 제언,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557-558. 미소장
8 송치승․박재필, (2013), 우리나라 벤처기업 지원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분석, 기업경영연구 . 20(5) : 215-240. 미소장
9 우지환․김영준, (2019), 정부의 혁신 촉진 정책이 서비스 산업의 기술 혁신 성과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20(2), 469-482. 미소장
10 윤인경․이호영․임수빈, (2019), 의약 바이오 벤처기업의 상장사례연구 : 에이비엘바이오의 기술특례상장을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 23(4),187-210. 미소장
11 이석훈, (2022), 특례상장기업의 성과분석과 시사점 , 자본시장연구원 미소장
12 이재석․이기호․이상명, (2021),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국내외 유니콘 기업의 사례 비교, 중소기업연구 . 43(1) : 165-186. 미소장
13 하규수․홍길표․이춘우, (2017), 2002-2012 년의 한국 벤처창업정책의 특징 연구, 벤처창업연구 . 12(1) : 15-24. 미소장
14 하태정․서지영․이주량․정기철․박찬수․고명주, (2012), 신성장동력사업 성과분석 및 정책과제, 정책연구 . 1-205. 미소장
15 한국거래소 보도자료, (2021),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현황 및 주요 특징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 (2022), http://kind.krx.co.kr 미소장
16 홍대웅․전병훈, (2019), 글로벌 창업기업 스케일업(Scale-up) 지원 정책 분석을통한 국내 스케일업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 14(6) :11-27. 미소장
17 홍은영․안기돈․성을현, (2020), 기술기반 창업기업 중심의 벤처우대제도 법령에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 15(2) : 111-125. 미소장
18 STEPI, (2017), 미국 창업정책 동향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 29 미소장
19 Anderson, H., Chi, J., & Wang, Q. (2015). “IPO performance on China’s newest stock market (ChiNext),” Chinese Economy, 48(2), 87-113. 미소장
20 Gao, H., Darroch, J., Mather, D., & MacGregor, A. (2008). “Signaling corporate strategy in IPO communication : A study of biotechnology IPOs on the NASDAQ,“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45(1), 3-30. 미소장
21 Kelley, D., Singer, S., & Herrington, M., (2016), GEM 2015/16 Global Report. 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84-85. 미소장
22 Oh, Y. S., (2008), A Study on Simplification of Clearing Procedur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all and Medium Business Promotion Corporation,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미소장
23 SEP, (2019), Tech Scaleup Europe 2019 Report, http://startupeuropepartnership.eu 미소장
24 Sherry Coutu, (2014), The Scale-up Report, UK Economic Growth Special Committe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미소장
25 Yang .H. B., (2013), Actual Conditions and Tasks of Business Support Policy,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