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글은 최근 제시된 내재적 발전론 비판을 그것이 가진 역사인식이라는 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어서 내재적 발전론에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는 연구 성과들이 조선시대사의 전체상을 구성하기 위해 좀 더 고민해야할 점들을 제시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의 역사상을 새롭게 구축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근대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비판은 ‘발전론’ 쪽보다는 대체로 그것이 가진 내재성, 곧 일국사적 시각에 갇혀 있었다는 점에 대한 비판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반면 내재적 발전론이 가진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나 발전론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비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근대중심적 역사인식에 대한 자각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한편 내재적 발전론을 비판하는 연구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단편적인 사실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도 많지만, 내재적 발전론과는 다른 시각에서 조선시대를 이해하고 새로운 조선시대상을 구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연구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각자의 연구들을 조선시대의 전체적인 역사 과정과 구조 속에서 어떻게 위치 지울지, 다른 부문들과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좀 더 폭넓은 고민이 필요하다.

새로운 조선시대의 역사상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요청된다. 서구가 규정해 놓은 근대성 여부에 초점을 맞출 경우 조선사회에 대한 전체적 이해는 처음부터 차단되어버린다. 조선사회의 성격은 물론 그것이 인류사의 경험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구 중심적ㆍ근대 중심적 역사인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인식론이 요청된다. 그래야만 조선시대의 다양한 경험이나 법과 제도 등이 다만 억압되고 청산되어야 할 구닥다리 고물이 아니라, ‘근대 이후’ 혹은 ‘근대 너머’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과 가능성을 만들어 나가는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최근 조선시대사 연구의 역사 인식과 새로운 방향 모색 = Awareness of history in the recent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nd seeking a new direction 배항섭 p. 7-49

과거제는 "위대한 균형자(the Great Equalizer)"였는가? = Wa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f Joseon 'the great equalizer'? : evidence from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career path data : 『문과방목』을 통한 조선시대 지배엘리트의 관직 이동 분석 이상국, 박종희 p. 51-87

21세기 조선시대 한중관계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 The trend and prospects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China relations in the Joseon Dynasty published in the 21st century 허태구 p. 89-142
조선시대 여성사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질문 = A few questions about the study of women's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21st century : 2000년 이후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정해은 p. 143-176
조선 후기 신분 변동론 그 이후 = The theory of status chan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fter that 권내현 p. 177-206
조선후기 8도 감영의 입지 특징과 관원 구성에 대한 비교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the gamyeongs of 8 provinces government's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government offici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선희 p. 209-241

春塘臺試와 儒生庭試·觀武才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undangdaesi and Yusaengjeongsi·Gwanmujae 이강욱 p. 243-286
조선후기 임실현 양반사회의 지속과 변화 = Continuity and variability in the yangban society of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Imsil Hyangan' and 'Imsil Cheonggeuman' : 『임실향안』, 『임실 청금안』을 중심으로 장석현 p. 287-323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향약·계 이해와 향촌자치 구상 = The shil'hak scholars' understanding of hyang'yak codes and gye fund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ir thoughts on autonomous local governing 심재우 p. 325-355
숙종 초 근기남인의 정치적 논쟁과 대립 = Political controversy and confrontation of the Geunginamin(近畿南人, namin bas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during the king Sukjong 나영훈 p. 357-400

숙종대 후반 朴世采 門人의 老少分化와 노론계 道統意識의 형성 = Division of munin of Park Se-chae into noron&soron and the formation of the noron munin's consciousness of neo-confucian orthodoxy in the late period of king Sookjong's reign 진오균 p. 401-449
18~19세기 族譜를 통해 본 大丘徐氏 동족집단의 구성 = Composition of the Daegu Seo clan through genealogy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유수지 p. 451-480
조선후기 노비의 계 조직과 운영 =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obigye(奴婢契) after the 18th century in Jinju majin village : 18세기 진주 마진촌 한글 노비계 문서를 중심으로 도주경 p. 481-525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 어느 노비 가계 2백 년의 기록』, 역사비평사, 2013. 미소장
2 권내현, 『유유의 귀향 조선의 상속』, 너머북스, 2021. 미소장
3 마크 피셔 지음, 박진철 옮김, 『자본주의 리얼리즘 : 대안은 없는가』, 리시울. 미소장
4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너머북스, 2013. 미소장
5 손병규,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재발견』, 역사비평사, 2008. 미소장
6 손병규ㆍ송양섭 편,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미소장
7 송양섭, 『18세기 조선의 공공성과 민본이념』, 태학사, 2015. 미소장
8 알산더 우드사이드, 민병희 옮김, 『잃어버린 근대성들』, 너머북스, 2012. 미소장
9 윤해동, 『근대 역사학의 황혼』, 책과함께, 2010. 미소장
10 이매뉴얼 월러스틴, 김재오 옮김, 『유럽적 보편주의 : 권력의 레토릭』, 창비, 2008. 미소장
11 제러미 러프킨 외 인터뷰, 안희경 지음, 『오늘부터의 세계』, 메디치, 2020. 미소장
12 조 굴디ㆍ데이비드 아미티지 지음, 안두환 옮김, 『역사학 선언』, 한울, 2018. 미소장
13 찰스 틸리 저, 양길현 외 역, 『동원에서 혁명으로』, 서울 프레스, 1995. 미소장
14 칼 폴라니 지음, 이병천ㆍ나익주 옮김, 『인간의 살림살이』, 2017. 미소장
15 호적대장 연구팀, 『단성 호적대장 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미소장
16 Appleby, Joyce, Hunt, Lynn, Jacob, Margaret, Telling the truth about history, New York : Norton, 1994. 미소장
17 Davis, Kathleen, Periodization and Sovereignty : How Ideas of Feudalism and Secularization Govern the Politics of Time,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8. 미소장
18 Wong, R. Bin, China transformed : historical change and the limits of European experien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미소장
19 鹿野政直, 『鹿野政直思想史論集』 第7卷, 東京:岩波書店, 2008. 미소장
20 강성호, 「유럽 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호남사학회, 『역사학연구』 39, 2010. 미소장
21 강진아, 「동아시아로 다시 쓴 세계사-포머란츠와 캘리포니아학파」, 『역사비평』 82, 2008. 미소장
22 권기중, 「조선후기 호적 연구의 현재와 향후 과제」, 『大東文化硏究』 100, 2017. 미소장
23 권내현, 「조선 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쟁점」, 『한국사연구』 135, 2006. 미소장
24 권내현, 「내재적 발전론과 조선 후기사 인식」, 『역사비평』 111, 역사비평사, 2015. 미소장
25 김건태, 「戶名을 통해 본 19세기 職役과 率下奴婢」, 『한국사연구』 144, 2009. 미소장
26 김건태, 「19세기 집약적 농법의 확산과 작물의 다각화 : 경상도 예천 맛질 박씨가 가작 사례」, 『역사비평』, 2012. 미소장
27 김경란, 「『丹城戶籍大帳』의 女戶 편제방식과 의미」, 『한국사연구』 126, 한국사연구회, 2004. 미소장
28 김미성, 「조선시대 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근대화 담론에서 벗어나기 및 실증의 누적」, 『경제사학』 46-1(통권 제78호), 2022. 미소장
29 金仁杰, 「1960, 70년대 ‘內在的 發展論’과 韓國史學」, 김용섭교수정년기념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 편, 『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미소장
30 김정인,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 『역사와 현실』 77, 한국역사연구회, 2010. 미소장
31 노영구, 「朝鮮後期 戶籍大帳 硏究現況과 電算化의 一例」, 『大東文化硏究』 39,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1. 미소장
32 박찬승, 「한국학 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35,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2007. 미소장
33 배항섭, 「조선 후기 토지소유 및 매매관습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한국사연구』 149, 한국사연구회, 2010. 미소장
34 배항섭, 「19세기를 바라보는 시각」, 『역사비평』 101, 역사비평사, 2012. 미소장
35 배항섭, 「‘탈근대론’과 근대중심주의」, 『민족문학사연구』 62, 2016. 미소장
36 배항섭, 「19세기 향촌사회질서의 변화와 새로운 공론의 대두」, 배항섭 엮음, 미야지마 히로시외 지음, 『동아시아의 근대 장기지속으로 읽는다』, 너머북스, 2021. 미소장
37 송양섭, 「19세기 幼學戶의 구조와 성격-『丹城戶籍大帳』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47, 2004. 미소장
38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역사와 현실』 62, 2006. 미소장
39 염정섭,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한국사연구』, 184, 2019. 미소장
40 이경구,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 : ‘실학’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13, 2012. 미소장
41 이근호, 「조선후기 ‘공’담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와 현실』 93, 2014. 미소장
42 이영호,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 『한국사연구』 152, 한국사연구회, 2011. 미소장
43 이영훈, 「조선 후기 이래 소농사회의 전개와 의의」, 『역사와 현실』 45, 2002. 미소장
44 이정철, 「문제는 자본주의다 -내재적 발전론 비판의 역사 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 22, 서해문집, 2005. 미소장
45 이헌창, 「조선시대를 바라보는 제3의 시각」, 『한국사연구』 148, 한국사연구회 2010. 미소장
46 임현진ㆍ장진호, 「21세기 문명위기와 세계체제론 :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비교역사적 전망」, 『아시아리뷰』 10권 2호(통권 20호_), 2020. 미소장
47 정다함, 「1945년 이후의 조선시대사 연구와 유교근대론/동아시아론에 대한 post-colonial/trans-national한 관점에서의 비판적 분석과 제언」, 『코기토』 83, 2017. 미소장
48 차크라바르티, 「인도 역사의 한 문제로서 유럽」, 『흔적』 1, 문화과학사, 2001. 미소장
49 최윤오,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근대로의 이행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22, 서해문집, 2005. 미소장
50 최종석, 「내재적 발전론 ‘이후’에 대한 몇 가지 고민」, 『역사와 현실』 100, 2016. 미소장
51 토마 피케티, 「경제학과 사회과학의 화합을 향해 : ≪21세기 자본≫이 주는 교훈」, 토마 피케티외 25인 지음, 유엔제이 옮김, 『에프터 피케티 : ≪21세기 자본≫ 이후 3년』, 율리시즈, 2017. 미소장
52 파르타 차르테지, 「탈식민지 민주국가들에서의 시민사회와 정치사회」, 『문화과학』 25, 2001. 미소장
53 허태구, 「 2019∼2020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사료와 실증의 더미에서 탈출하기」, 『역사학보』 251, 2021. 미소장
54 허태용, 「성리학 대 실학’이라는 사상사 구도의 기원과 전개」, 『韓國思想史學』 67, 2021. 미소장
55 Alatas, Syed Farid, “On Indigenization of Academic Discourse”, Alternatives : Global, Local, Political Vol. 18, Issue 3, 1993. 미소장
56 Parker, Charles H., “Introduction; Individual and Community in the Early Modern World”, Parker, Charles H., Between the Middle Ages and Modernity : Individual and Community in the Early Modern World,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미소장
57 Chakrabarty, Dipesh, “Postcolonial Studies and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New Literary History Volume 43, Number 1, Winter 2012. 미소장
58 Dirlik, Arif, “Is There History after Eurocentrism? Globalism, Postcolonialism, and the Disavowal of History”, edited by Dirlik, Arif, Bahl, Vinay, Gran, Peter, History After The Three Worlds : Post-Eurocentric Historiographies, Lanham, Md.; Rowman &Littlefield, 2000. 미소장
59 Bentley, Jerry H., “Why Study World History?”, World History Connected October 2007(https://worldhistoryconnected.press.uillinois.edu/5.1/bentley.html). 미소장
60 Cox, Pamela, “The Future Uses of History”, History Workshop Journal Volume 75, Issue 1, Spring 2013, pp.17~18, 145. 미소장
61 Peet, Richard, “Social Theory, Postmodernism, and the Critique of Development”, Benko, Georges, Strohmayer, Ulf eds., Space and Social Theory : Interpreting Modernity and Postmodernity, Oxford : Blackwell, 1997. 미소장
62 Shome, Raka, “Asian modernities : Culture, politics and media”,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8(3), 2012. 미소장
63 宮嶋博史, 「東アジア小農社會の形成」 『長期社會變動-アジアから考える』 (6), 東京大學出版會, 1994. 미소장
64 小沢弘明, 「新自由主義の時代と歴史学の課題 Ⅰ」, 歴史学研究会 編, 『第4次現代歴史学の成果と課題』 1-新自由主義時代の歴史学, 績文堂出版, 東京, 2017. 미소장
65 喜安朗, 「安丸民衆史の感性と全体性」, 安丸良夫ㆍ磯前順一 編集, 『安丸思想史への対論:文明化ㆍ民衆ㆍ両義性』, ぺりかん社 2010. 미소장
66 Thompson, Edward Palmer[著], 近藤 和彦[訳解説], 「一七九〇年以前のイギリスにおける社会運動」(社会史<特集>), 『思想』 663, 1979. 미소장
67 林 文孝, 「中國における公正-生存と政治」, 三浦徹ㆍ岸本美緖ㆍ関本照夫 編, 『比較史のアジア:所有ㆍ契約ㆍ市場ㆍ公正』, 東京大学出版会, 20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