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소산 (2021).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한국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연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을 중심으로. 漢城語文學, 44, 119-153. |
미소장 |
2 |
교육부 (2023.2.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방안. https://www.moe.go.kr/main.do?s=moe에서 2023년 3월 20일 인출. |
미소장 |
3 |
길혜지, 이상훈, 황정미 (2022).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핵심역량교육연구, 7(2), 1-24. |
미소장 |
4 |
김교령, 박은혜 (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교육 프로그램 개발. 육아지원연구, 17(3), 103-132. |
미소장 |
5 |
김지혜, 윤경원, 심상민 (2022). 교육용 테크놀로지 활용에대한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인식 연구. Journal of K orean Culture, 57, 73-111. |
미소장 |
6 |
남경란 (2015). 예비 한국어교사의 역량 강화를 통한 Dual Target 한국 언어문화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하여. 민족연구, 64, 45-63. |
미소장 |
7 |
노들 (2022).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3(1), 171-202. |
미소장 |
8 |
노정은, 임수진, 안윤숙 (2020).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어 교육, 31(4), 21-53. |
미소장 |
9 |
린천천, 권순희 (2021).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國語敎育學硏究, 56(2), 145-181. |
미소장 |
10 |
박균열 (2017).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ICT기반의 미래 초⋅중등학교 설계와 교원교육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103-126. |
미소장 |
11 |
박영지 (2022). 한국어 교사가 인식하는 테크놀로지 활용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국내 대학기관 한국어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58, 91-127. |
미소장 |
12 |
오헌석 (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연구, 47, 191-213. |
미소장 |
13 |
유다선, 정혜경 (2023). 직업훈련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설문도구 개발 연구. 職業 敎育 硏究, 42(1), 109-131. |
미소장 |
14 |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敎育學硏究, 45(3), 233-260. |
미소장 |
15 |
이경진, 최진영, 장신호 (2009).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19-240. |
미소장 |
16 |
이기영 (2022).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어문연구, 111, 265-297. |
미소장 |
17 |
이대용, 김석우 (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25(4), 581-604. |
미소장 |
18 |
이미혜 (2019).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한국언어문화학, 16(2), 231-254. |
미소장 |
19 |
이민우 (2022).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연구: 사이버대학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33(3), 147-166. |
미소장 |
20 |
이영미, 박선영 (2022).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지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6(6), 5-31. |
미소장 |
21 |
이종성 (2001). 델파이연구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2 |
이철현, 전종호 (202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역량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 311-338. |
미소장 |
23 |
이춘식 (2014).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교과 교과서 인정제도의 개선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 229-243. |
미소장 |
24 |
이해영, 김수현, 정혜선 (2020). 국외 한국어 교원의 교육및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역량 중요도: 역량 향상도 분석. 이중언어학, 78, 149-172. |
미소장 |
25 |
이혜현, 김수은 (2022).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핵심 역량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육, 33(4), 301-327. |
미소장 |
26 |
정다운 (2019).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語文論集, 78, 443-475. |
미소장 |
27 |
정영란, 곽덕훈 (2006). 이러닝에서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학습자 정보 표준화 모형 연구. 평생학습사회, 2(2), 91-112. |
미소장 |
28 |
정희연, 윤지원 (2021). 온라인 동영상 한국어 수업에 대한교사 인식 조사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5(1), 124-133. |
미소장 |
29 |
최숙영 (2018).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디지털 역량에 관한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21(5), 25-35. |
미소장 |
30 |
한혜민, 권유선 (2022). 국내외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의내용과 방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어 교원 대상 온라인 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04-114. |
미소장 |
31 |
황용석, 이선민, 김여립, 황현정 (2022). 디지털 역량 척도개발 연구. 언론정보연구, 59(2), 5-48. |
미소장 |
32 |
황윤희, 김선희 (2022). 역량 교육을 위한 수학 교사의 지식탐색에 관한 델파이. 커리큘럼 및 평가 저널, 25(2), 167-194. |
미소장 |
33 |
Ala-Mutka, K. (2011). Mapping digital competence: Towards a conceptual understanding. Sevill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Institute for Prospective Technological Studies. |
미소장 |
34 |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Sons, USA. |
미소장 |
35 |
Ferrari, A. (2013). DIGCOMP: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digital competence in europe. JRC Scientific and Policy Report. |
미소장 |
36 |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Wiley Computer Publications. |
미소장 |
37 |
Ilomäki, L., Paavola, S., Lakkala, M., & Kantosalo, A. (2016). Digital competence-an emergent boundary concept for policy and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1(3), 655-679. |
미소장 |
38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
미소장 |
39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
미소장 |
40 |
Redecker, C., & Punie, Y. (2017). European framework for the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
미소장 |
41 |
Rothwell, W. J., & Lindholm, J. E. (1999).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Int J Train Dev, 3(2), 90-105. |
미소장 |
42 |
Skantz-Åberg, E., Lantz-Andersson, A., Lundin, M., & Williams, P. (2022). Teachers’ professional digital competence: An overview of conceptualisations in the literature, Cogent Education, 9(1), 1-23. |
미소장 |
43 |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MA:John Wiley & Sons, Inc. |
미소장 |
44 |
UNESCO (2018). UNESCO ICT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UNESCO. |
미소장 |
45 |
Vuorikari Rina, R., Kluzer, S., & Punie, Y. (2022). DigComp 2.2: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with new exampl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JRC Science for Policy Report. Luxembour: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
미소장 |
46 |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
미소장 |
47 |
Zhao, Y., Llorente, A. M. P., & Gómez, M. C. S. (2021). Digital competence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omputers & Education, 168. https://doi.org/10.1016/j.compedu.2021.104212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