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유가사지론』의 「섭결택분」에 기술되는 아뢰야식 존재를 규명하는 8논증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분석하여 현대 명상법에 적용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아뢰야식 존재의 8논증은 현대적으로 이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감각기관의 작용을 인식하는 5식과 제6 의식 분별작용은 집수(執受) 기능이 불가능하고 아뢰야식만이 감각기관을 지닌 몸과 문자종자의 집수 기능이 가능하다. 둘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만 모든 생명의 탄생이 가능하다. 셋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만 대상의 모든 것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다. 넷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만 마음 내면의 종자성, 즉 명언(名言; 명칭과 언어)과 아집(我執; 자기 존재의 집착성)을 간직할 수 있다. 다섯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만 업을 담을 수 있다. 여섯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만 다양한 몸의 느낌이 나타날 수 있다. 일곱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 무상정과 멸진정의 선정 상태에서 생명을 이어갈 수 있다. 여덟째는 아뢰야식이 있어야 임종 시에 머리 혹은 발부터 차가워지는 몸현상의 차별을 설명할 수 있다.
아뢰야식 존재의 8논증을 현대 명상법과 결합할 때,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명상법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으며, 심층 내면의 아뢰야식 마음까지 치유할 수 있다. 특히 첫번째 논증에서 보이는 집수(執受) 기능은 감각기관의 몸과 생각을 장시간 심도있게 관찰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 밖에도 생명의 탄생과 관련해서 태교명상의 시행이 중요하며, 임종시에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하여 죽음명상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식불교는 아뢰야식은 안으로 집수하면 몸과 종자를 만들고 밖으로 집수하면 기세간 즉 자연환경을 만든다고 하기 때문에 마음 전반 업식(業識) 치유를 위해서 자연과 결합한 명상법 개발이 요구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 of the eight proofs of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the Viniscayasamgrahani of Yogācārabhūmi-śāstra the Viniscayasamgrahani, in a contemporary perspective,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m to modern meditation practices. If we understand the eight proofs of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in a modern context,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proof is that the discriminative function of five consciousness and the sixth consciousness, which perceives the functioning of the sense organs, is incapable of the function of upādi, and only the Ālayavijñāna is capable of this function of upādi, which applies to the body, speech, in seed. The second proof is that the birth of all living beings is only possible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The third proof is that only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can one perceive all aspects of an object clearly. The fourth proof is that only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can one retain the potentiality for nāma-grāha and ātma-grāha within the mind. The fifth proof is that only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can one contain karma. The sixth proof is that only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can one experience the various sensations of the body. The seventh proof is that only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can one continue life in the state of asaṃjñi-samāpatti and nirodha-samāpatti. The eighth proof is that only with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can one explain the differentiation of bodily sensations between the head and the feet cooling down at the time of death. When the eight proofs of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ñāna are combined with modern meditation techniques, it can surpass the limitations of various meditation practices being conducted in Korea and can heal even the deepest inner the Ālayavijñāna. Especially, the function of upādi demonstrated in the first argument, is an area that can be reached through prolonged and in-depth observation of the body of the sensory organs and though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practice prenatal meditation related to the birth of lif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ath meditation in relation to the phenomena that occur at the time of death. In addition, in the consciousness only school of Buddhism, it is claimed that the Ālayavijñāna creates the body and seeds when it is turned inward, and creates the natural environment, when it is turned outward. Therefore, developing meditation techniques that combin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is required for overall healing of the min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중아함경』(T1) | 미소장 |
2 | 『해심밀경』(T16) | 미소장 |
3 | 『유가사지론』(T30) | 미소장 |
4 | 『현양성교론』(T31) | 미소장 |
5 | 『섭대승론본』(T31) | 미소장 |
6 | 『성유식론』(T31) | 미소장 |
7 | 세친,『섭대승론석』(T31) | 미소장 |
8 | 『유식삼십론송』(T31) | 미소장 |
9 | 인경스님(2005),『염지관명상』제1편:감각느낌의 관찰,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 미소장 |
10 | 인경스님 (2012),『명상심리치료』,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 미소장 |
11 | 존 카밧진 저, 김언조, 고명선 역(2013),『존 카밧진의 마음챙김 명상』당신이 어디를 가든 당신은 그곳에 있다. 서울 물푸레 | 미소장 |
12 | 조셉 골드스타인 저저, 이재석 역(2019), 『조셉 골드스타인의 통찰 명상』삶의 불만족과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유에 이르는 길, 서울: 마음친구, | 미소장 |
13 | 강명희(2022),『자연 속으로 마음 안으로』, 서울 담앤북스 | 미소장 |
14 | 김동한(2012),「염지관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신경과학적 접근으로-, 명상심리상담제7권,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미소장 |
15 | 강명희(2013),「오정심관 수행법을 통한 심리치료」-한역『유가사지론』중심으로-,『보조사상』제39집, 보조사상연구원. | 미소장 |
16 | 강명희(2014),「마음과자연환경의 관계」-『유가사지론』종자설 중심으로-,『한국선학』제38집, 한국선학회. | 미소장 |
17 | 강명희(2015),「아뢰아식이 외부의 객관세계를 통섭하는 방삭」-유식논서에 나타난 기세간종자설을 중심으로-,『동아시아불교문화』 제22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미소장 |
18 | 강명희(2015),「무착의『섭대승론』에 나타난 외종자설」,『불교학연구』제45호, 불교학연구회. | 미소장 |
19 | 정준영(2015),「사띠(sati)논쟁」, 『불교평론』 제62호 | 미소장 |
20 | 김준호(2020),「사띠(Sati) 논쟁의 공과(功過)」,『불교와인문과학』제1호 | 미소장 |
21 | 강명희(2022), 이숙에 대한 『유가사지론』 입장-『유식삼십송』의 이숙설과의 관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제18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미소장 |
22 | 오용석(2023), 선법의 주체적 계승과 실현-대혜종고와 담당문준원오극근의 만남을 중심으로-,『양명학』제68호, 한국양명학회. | 미소장 |
23 | mpca.or.kr | 미소장 |
24 | www.meditationlife.org | 미소장 |
25 | https://transcendental-meditation.kr. | 미소장 |
26 | https://addfun.tistory.co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