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影印新增類合』,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1972. | 미소장 |
2 | 『訓蒙字會』, 1985년 태학사 영인. | 미소장 |
3 |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DB. | 미소장 |
4 | 丁若鏞, 『與猶堂全書』, 다산학술재단 편찬 정본,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DB. | 미소장 |
5 | 金宗澤, 宋昌善, 「『천자문』, 『유합』, 『훈몽자회』의 어휘분류 체계 대비」, 『어문학』 52, 한국어문학회, 1991.3, pp.159-192. | 미소장 |
6 | 金鎭奎, 『訓蒙字會의 同訓語硏究: 下卷을 中心으로』, 仁荷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9. | 미소장 |
7 | 南基卓, 『訓蒙字會 身體部 字訓 硏究』, 中央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8. | 미소장 |
8 | 박금자, 「分類 解釋 학습서로서의 訓蒙字會: 훈몽자회의 의미론적 어휘 분류와 의미 해석」, 『國語學』 26, 國語學會, 1995. | 미소장 |
9 | 박형익,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월인, 2006. 2. | 미소장 |
10 | 심경호, 「정본 여유당전서 잡찬집 해제」, 『정본 여유당전서』 제3책 잡찬집, 다산학술재단, 2012. | 미소장 |
11 |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제1책, 태학사, 2012(수정본). | 미소장 |
12 | 심경호, 「고전문학 발전의 실상과 연구 과제 : 운어(韻語)의 발달에 대한 일고찰」, 『국어국문학』 185, 국어국문학회, 2018.12, pp.5-36. | 미소장 |
13 | 심경호,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일조각, 2021, pp.733-734. | 미소장 |
14 | 安秉禧, 「『新增類合』解題」,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影印新增類合』, 1972. | 미소장 |
15 | 安秉禧, 「최세진의 생애와 연보 - 그의 지석 발견을 계기로 하여-」, 『규장각』 2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장각), 1999.12, pp.49-67. | 미소장 |
16 | 양효성 편역, 『史游 급취장』, 박이정, 2008. | 미소장 |
17 | 오완규, 『천자문ㆍ훈몽자회ㆍ신증유합 字釋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18 | 李基文, 「訓蒙字會 小考」, 『語文硏究』 27-4,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99. | 미소장 |
19 | 李敦柱, 「漢字 意味의 辨別性과 國語 字釋의 問題 : 訓蒙字會의 釋과 下註를 중심으로」, 『葛雲文璇奎博士華甲紀念論文集』, 葛雲文璇奎博士華甲紀念論文集刊行委員會, 1985. | 미소장 |
20 | 李敦柱, 「訓蒙字會의 編成에 대한 再檢討」, 『國語學論叢(羨烏堂金炯基先生八耋紀念)』, 創學社, 1985. | 미소장 |
21 | 李敦柱, 「訓蒙字會의 諧韻作書에 대하여」, 『歷史言語學(金芳漢先生回甲紀念論文集)』, 전예원, 1985. | 미소장 |
22 | 李敦柱,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홍문각, 1990. | 미소장 |
23 | 李相度, 「訓蒙字會 編纂動機와 特徵」, 『中國學硏究』 7, 中國學硏究會, 1992. | 미소장 |
24 | 이준환, 「『훈몽자회』의 訓에 실린 한자음 고찰」, 『대동문화연구』 10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pp.195-227. | 미소장 |
25 | 住吉朋彦, 「五山版『三註』考」, 佐藤道生․高田信敬․中川博夫(編), 『これからの国文学研究のために』, 笠間書院, 2014, pp.302-332 | 미소장 |
26 | 张 健, 「从 《学吟珍珠囊》 到 《诗学大成》 《圆机活法》--对一类诗学启蒙书籍源流的考察」, 『文學遺産 WenXue Yi Chan/Literary Heritage , 2016-3, 74-103. | 미소장 |
27 | 錢茂偉, 「韓國藏本『三字經』研究」, 『文獻』, 2009年 第4期.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