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득히 오래된 꿈 : 페르난도 데 시즐로 《그림자의 찬양》
|
글: 이도준
|
p. 20-23
|
|
|
|
여성 예술가가 아닌 예술가가 되기까지 : 정강자
|
글: 전세운
|
p. 26-31
|
|
|
|
가면 쓰기 / 가면 벗기 / 가면 씌우기 : 이불
|
글: 정영수
|
p. 32-37
|
|
|
|
응시의 지형도 : 임수빈
|
글: 김진엽
|
p. 38-43
|
|
|
|
실험예술을 다시 생각한다
|
글: 이경모
|
p. 54-61
|
|
|
|
불온과 퇴폐의 상징, 한국 실험미술의 귀환 :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
글: 전세운
|
p. 62-67
|
|
|
|
억압과 금기에 맞선 한국 실험미술의 빛나는 순간들과 그 이후 : 더원미술세계 제1회 좌담회
|
사회: 김수은 ; [좌담]: 성능경, 윤진섭, 김백기, 이탈
|
p. 68-81
|
|
|
|
순환과 확장의 연금술 : 심문섭
|
글: 김수은
|
p. 82-89
|
|
|
|
거꾸로 되짚어 마침내 다다른 '은유' : 김영진
|
글: 이도준
|
p. 90-97
|
|
|
|
강화도의 자연과 예술을 품은 숲속 미술관 : 해든뮤지움
|
글·사진: 김수은
|
p. 100-105
|
|
|
|
느릿느릿 황소처럼 : 김윤신 [인터뷰]
|
[인터뷰이]: 김윤신 ; 글: 이경모
|
p. 106-110
|
|
|
|
세키 나오미 《조각으로 살아가는 것》 : Gallery Kingyo : Japan
|
글: 미야타 테츠야
|
p. 114-115
|
|
|
|
《The Spirit Within》 : A Building, National Gallery - Jakarta, Indonesia
|
글: 피르다 아멜리아
|
p. 116-119
|
|
|
|
생명체의 탄생 : 키네틱 아트의 역동적인 세계
|
글: 윤현희
|
p. 121-125
|
|
|
|
아프리카 조각 예술의 원시성과 기술력
|
글: 박재현
|
p. 126-127
|
|
|
|
정(釘)으로 사랑(情)을 캐어 내다 : 작가 전뢰진
|
글: 정병헌
|
p. 128-131
|
|
|
|
게임과 사회 : 관객의 탄생을 넘어서
|
글: 고동연
|
p. 133-137
|
|
|
|
지나온 역사와 마주할 미래 : 2023 아트바젤 인 바젤
|
글: 이도준
|
p. 138-141
|
|
|
|
세월이 지나도 바래지 않는 꿈 : 빛의 시어터 《달리, 끝없는 수수께끼》
|
글: 이도준
|
p. 142-145
|
|
|
|
서슬에 올라탄 빛, 공성훈과 김성룡의 '뒷경치' 미학
|
글: 김종길
|
p. 147-151
|
|
|
|
하찮은, 익숙한 그리고 다다른 조각과 사진 : 김시연 개인전 《비스듬히》
|
글: 김병수
|
p. 152-153
|
|
|
|
예술의 생성 : 이미지 렉심들의 자유로운 연합 : 임지현 개인전 《렉심(lexeme, 어휘소)》
|
글: 안진국
|
p. 154-155
|
|
|
|
도시에 스민 삶과 역사의 증언 : 2023 가온갤러리 기획 《김재열과 인천을 걷다》
|
글: 이경모
|
p. 156-157
|
|
|
|
공간을 통한 시간의 표상 : 강창열 개인전 《공간에 갇힌 시간》
|
글: 이경모
|
p. 158-159
|
|
|
|
Dreaming Photo & Book : 이지현 초대전
|
글: 이경모
|
p. 160-161
|
|
|
|
주체로서 맞이한 전시의 순간 : 임수진·한지민 2인전 《사라지는 순간들》
|
글: 김남윤
|
p. 162-163
|
|
|
|
'나'로부터의 자연에서, 자연의 공간으로 : 강수돌 개인전 《Space of Nature》
|
글: 조아
|
p. 164-165
|
|
|
|
하나의 조각 : 이병호 개인전 《Piece》
|
글: 박서영
|
p. 166-167
|
|
|
|
'순수'의 감각을 깨우다 : 《우주여행 Spacefaring》
|
글: 나성신
|
p. 168-169
|
|
|
|
익숙해진 행위를 깨닫고 금해볼 것 : 《매우 특별하게, 열망적인》
|
글: 이도준
|
p. 170-17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