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governance innov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smart city | 염지선, 김준형, 이사빈, 김민영 | p. 1-30 |
|
|
정치 참여 의식과 정치적 소비 = Political awareness and political consumption : the Korean case of ethical consumption and boycott : 한국의 윤리적 소비와 불매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 손선화, 박나라 | p. 31-54 |
|
|
인공지능(AI)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effectiv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ublic sector : 공공부문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박승규, 황창호 | p. 55-81 |
|
|
민선8기 지방선거의 중앙정치화 경향 분석과 함의 = Centralized politicization of the 8th local elections and its implications | 설선미, 배정아 | p. 83-101 |
|
|
입학사정관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 및 역할지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mission officers’ turnover intention | 장종하, 박찬영 | p. 103-12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준만(2017). 왜 촛불집회 참가자들은 시민단체에 가입하지 않을까?_정치적 소비주의 외. [인물과사상], (233), 38-79. | 미소장 |
2 | 권준이・은재호(2021). 신뢰와 정치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1(4):79-112. | 미소장 |
3 | 금희조(2011).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5): 7-48. | 미소장 |
4 | 김동훈・하상응(2020). 소득 불평등 인식과 정부신뢰: 주관적 계층 상승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화연구], 28(1): 49-85. | 미소장 |
5 | 김민혜・이승종(2019). 시민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8(4): 91-123. | 미소장 |
6 | 김수정・박해란・최샛별(2020). 윤리적 소비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20대 여성의 윤리적 소비 인식과 실천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1): 279-299. | 미소장 |
7 | 김은이(2013). 온라인과 SNS 사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대인간 대화와 정치 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1, 31-62. | 미소장 |
8 | 김춘식・강형구(2009). 정치적 소비자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연구: O₁-S-O₂-R 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53(4): 162-182. | 미소장 |
9 | 김한나(2016). 정치참여의 다양성과 심리적 조건: 내적효능감과 정부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5(1): 81-110. | 미소장 |
10 | 동아일보(2019). “이번엔 오래간다”…이번 日 불매운동이 과거와는 다른 8가지 이유. 2019/8/25. 최종 접속일: 2023년 7월 16일.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825/97101975/1 | 미소장 |
11 | 류태건(2010). 정치효능・정치신뢰・정치참여의 이론과 현실. [지방정부연구], 14(2), 243-267. | 미소장 |
12 | 박노일・한정호(2008). 블로그 쓰기와 사회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2): 282-302. | 미소장 |
13 | 박미혜(2019). 정치적 소비의 개념화와 척도개발 연구. [소비자학연구], 30(2): 117-146. | 미소장 |
14 | 박성준・김주일(2015). 교사의 수용적 태도가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학생 참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7(2):185-213. | 미소장 |
15 | 박은아・박민지(2018). 누가 불매운동에 참여하는가?: 기업의 비윤리적 사건에 대한 불매운동 참여의도형성요인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9(1): 121-138. | 미소장 |
16 | 박지원・남현동・남태우(2022).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정부 신뢰와 계층이동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국정책연구], 22(1): 99-117. | 미소장 |
17 | 변상호(2014). 정치 팟캐스트 이용과 정치성향의 상호작용이 기성 미디어 대체와 보완에 미친 영향. [한국언론학보], 58(6): 90-118. | 미소장 |
18 | 서선영(2010). 한국 Eco-Mom(환경친화주부)의 정체성과 그린생활의 의미 분석. [소비문화연구], 13(3):123-139. | 미소장 |
19 | 송효진・고경민(2013). SNS 정보서비스의 질, 정치 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 촉진. [한국정당학회보], 12(1): 175-216. | 미소장 |
20 | 아시아경제(2019). 예전과 다른 일본 불매운동 100일…“국민 스스로의 참여가 효과 더 높여”. 2019/10/11. 최종 접속일: 2023년 7월 16일. https://www.asiae.co.kr/article/2019101115242825994 | 미소장 |
21 | 유현정・송유진(2020). 불매운동로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불매운동 참여의도와 불매동참업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논총], 36(1): 49-79. | 미소장 |
22 | 이영수・이재신(2009). 사회자본과 정치참여 기대감이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3(5): 316-339. | 미소장 |
23 | 이윤재・강명수・이한석(2013). 온라인 소비자 불매운동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온라인 익명성을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44(2): 27-44. | 미소장 |
24 | 이한석・주영혁(2011). 온라인 보이콧 행동에서 감정이입의 역할: 소비자의 감성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4(2): 25-43. | 미소장 |
25 | 이혜미(2016). 윤리적 소비 실천은 시민참여의 확장을 의미하는가? 한국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와 시민참여 경험 간의 관계성과 개인의 선택적 지향성 조절효과. [소비자학연구], 27(1): 153-182. | 미소장 |
26 | 장일훈・이성림・박은정(2017). 대학생의 소비자 시민성 유형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와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이슈와 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20(1): 131-157. | 미소장 |
27 | 전향란・염동문・제미경(2014). 소비자 불매운동 신념이 불매운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5(3): 287-306. | 미소장 |
28 | 정낙원(2013).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의 정치 참여 효과 메커니즘 분석: ‘친구들’을 통한 정보습득과 규범 인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2): 273-294. | 미소장 |
29 | 조반석・김재우(2017).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이 윤리적 소비 참여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사회자본과 공감 경험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18(2): 65-96. | 미소장 |
30 | 조선일보(2022). 배고픈 형제에 공짜 치킨 준 사장님...‘돈쭐’ 이어 서울시 명예시장 됐다. 2022/7/22. 최종 접속일: 2023년 7월 16일.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2/07/22/JPNPMZUESVAZJDBIXEFE QHO5DI/ | 미소장 |
31 | 조정인(2012). 정치적 아웃사이더들의 역습?: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 활성화가 참여 불평등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1(2): 39-66. | 미소장 |
32 | 진보래・양정애(2015). 성격특성, 오프라인 활동, 정치성향, 삶의 만족도에 따른 SNS 이용. [한국언론학보], 59(5): 239-271. | 미소장 |
33 | 차승호・한미정(2016). 기부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 연구: 2030세대의 개인적 성향과 기부행동. [미디어, 젠더 & 문화], 31(3): 257-291. | 미소장 |
34 | 천경희・홍연금・윤명애・송인숙・이성림・심영・김혜선・고애란・제미경・김정훈・이진명・박미혜・유현정・이승신(2017). [행복한 소비 윤리적 소비의 이해와 실천].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35 | 천혜정(2014). 정치적 소비행동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2): 39-56. | 미소장 |
36 | 천혜정(2019). 정치적 소비주의, 소비자불매행동 그리고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및 정치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50(2): 55-88. | 미소장 |
37 | 최상미・박재홍・김한성(2015). 온라인 기부 경험이 10대 청소년의 기부접근성, 시민의식, 향후 기부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4): 57-84. | 미소장 |
38 | 최연태(2018). 소셜 미디어가 정치적 소비자운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3): 363-389. | 미소장 |
39 | 최정화(2012). SNS 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27): 369-408. | 미소장 |
40 | 한겨레(2018). ‘PC방 살인사건’으로 일어난 공분…‘심신미약 감경’ 결국 손질. 2018/11/29. 최종 접속일:2023년 7월 17일.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72439.html | 미소장 |
41 | 한국리서치(2020). 여론속의 여론 – 기획: 방식은 달라도 가치가 모여 실현하는 착한 소비. 주간리포트(제19-1호). 최종 접속일: 2020년 11월 29일. https://www.hrc.co.kr/infocenter/project_view.asp?FIELD=&KEY=&TABLE=kproject&PAGE=1&NUM=205&CMD=view | 미소장 |
42 | 한국일보(2019). 일본 불매운동 100일... “역대 최대 규모에 자발성 강해”. 2019/10/13. 최종 접속일: 2023년 7월 16일.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131123312957 | 미소장 |
43 | 한세희・김연희・이희선(2010). 사회자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44(3): 37-59. | 미소장 |
44 | 허은정・김우성(2012).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과 관련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23(4): 105-130. | 미소장 |
45 | 홍연금・송인숙(2010). 우리나라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사례연구. [소비문화연구], 13(2): 1-25. | 미소장 |
46 | Adams, M., and J. Raisborough. (2008). What Can Sociology Say About Fair Trade?: Reflexivity, Ethical and Class. Sociology, 42(6): 1165-1182. | 미소장 |
47 | Braunberger, K., and B. Buckler. (2011). What Motivates Consumers to Participate in Boycotts:Lessons from the Ongoing Canadian Seafood Boycot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4(1):96–102. | 미소장 |
48 | Campbell, A., G. Gurin, and W. E. Miller. (1954). The Voter Decides. Oxford, UK: Row, Peterson, and Company. | 미소장 |
49 | John, A., and J. G. Klein. (2003). The Boycott Puzzle: Consumer Motivations for Purchase Sacrifice. Management Science, 49(9): 1196–1209. | 미소장 |
50 | Loureiro, M. L., and J. Lotade. (2005). Do Fair Trade and Eco-labels in Coffee Wake Up the Consumer Conscience?. Ecological Economics, 53(1): 129-138. | 미소장 |
51 | Micheletti, M. (2003). Why Political Consumerism?. In Political Virtue and Shopping: Individuals, Consumerism, and Collective Action, 1-36. New York, NY: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52 | Neilson, L. A., and P. Paxton. (2010). Social Capital and Political Consumerism: A Multilevel Analysis. Social Problems, 57(1): 5-24. | 미소장 |
53 | Pelsmacker, P., W. Janssens, E. Sterckx, and C. Mielants. (2006). Fair-trade Beliefs, Attitudes and Buying Behavior of Belgian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Nonprofit Voluntary Marking, 11(1): 125-138. | 미소장 |
54 | Schudson, M. (2007). Citizens, Consumers, and the Good Society. Annals of the American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1(1): 236-249. | 미소장 |
55 | Stolle, D., M. Hooghe, and M. Micheletti. (2005). Politics in the Supermarket: Political Consumerism as a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26(3): 245-269. | 미소장 |
56 | Stolle, D., and M. Micheletti. (2013). Political Consumerism: Global Responsibility in Ac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7 | Varul, M. Z. (2016). Cultural Sociology of Ethical Consumption. In I. David, and A. Almila (Eds.), The SAGE Handbook of Cultural Sociology, 590-598. London, UK: SAGE Publications Ltd. | 미소장 |
58 | Wahlen, S., E. Heiskanen, and K. Aalto. (2012). Endorsing Sustainable Food Consumption: Prospects from Public Catering. Journal of Consumer Policy, 35(1): 7-21. | 미소장 |
59 | Willis, M. M., and J. B. Schor. (2012). Does Changing a Light Bulb Lead to Changing the World?:Political Action and the Conscious Consumer.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44(1): 160-19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