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마트 온실 내부온도 예측을 위한 인페인팅 기반 딥러닝 모델 = An image inpainting-based deep learning model for smart greenhouse indoor temperature prediction 정선우, 이건명 p. 1-9

게임 개발에 적용된 GAN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한 효율적인 2D 애니메이션 배경 생성 프레임워크 = A framework for efficient 2D animation background generation using GA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game development 변지선, 송상민, 황은경, 박성원, 김재웅 p. 10-18
기계학습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광흡수층 박막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분석 = Analysis of properties affecting thickness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of perovskite solar cells based on machine learning 이동근, 하재준, 유재수 p. 19-26
전산보안시스템 구축체계에서 수집한 디지털증거의 원본성 증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of of originality of digital evidence collected in computerized security system construction system 이명진, 이병엽 p. 27-34
신원증명서비스 수용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ceptance factors of identification service : focusing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중심으로 이경수, 이원부 p. 35-51
독거노인의 외로움 감소를 위한 소셜로봇의 역할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 = Analysis of the role of social robot and future development to reduce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정순둘, 송문선, 이시령, 박성기 p. 52-67

스마트시티 정책 확산의 영향요인 분석 =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f policy diffusion of smart city : focused on spatial regression model : 공간효과를 중심으로 이다솔, 권기헌 p. 68-79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을 이용한 생산 스케줄링 결과의 유효성 검증 =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roduction scheduling results using process mining approach 한관희 p. 80-88
지능형 기술을 활용한 건설기능공의 사회적 자본 관리 연구 = A study on social capital management of construction workers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김상호, 윤하나 p. 89-100

농촌마을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브랜드 자산이 사회·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 The social capital and brand assets of rural villagers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n social and economic effects 이병준, 김수현, 백승우 p. 101-114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워케이션 사업 핵심 요인 도출 = Deriving key factors for workation business using Delphi techniques 권혁인, 전용수, 김윤희, 정해민 p. 115-126
R&D 성과물의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of R&D outpu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 focusing on an extended un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UTAUT2) :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을 중심으로 봉명환, 서영욱 p. 127-143
라이브 커머스 충동구매 유형에 따른 후회와 후회 해소 행동에 관한 연구 = Effect of type of impulse buying in live commerce platform : postpurchase regret and regret relieving behavior 박희현, 이상훈, 한주연 p. 144-153
AR 전시 콘텐츠의 감성디자인 요소와 몰입감, 행동의도의 영향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esign elements, immersiveness, and intention of action in AR exhibition contents 차수현 p. 154-166
Echo 효과와 메시지 유형이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cho and message type on product attitude : focusing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이송하, 손영혜, 이재영, 정수미 p. 167-178
서울시 5대 권역 주택시장 경기변동 = Housing market business cycle in Seoul’s 5 major regions : using Markov switching model : 마코프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하여 전해정 p. 179-186
권유설계(PSD) 기반 ATM 및 병원 키오스크 특징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persuasive system design in public(hospital/ATM) KIOSK features 최훈성, 민대환, 이한진 p. 187-197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유튜브 기반 의학정보 주요 이슈 분석 = An analysis on major issues of medical information on YouTube platform using LDA topic modeling 이성준 p. 198-207
유아STEAM교육을 위한 아쿠아포닉스 설계와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quaponics for STEA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김혜림, 배지현 p. 208-221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학력 상승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improving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on below-basic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middle school 조효제, 강소윤, 이길재, 하현지, 임지현 p. 222-234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을 둘러싼 갈등,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Searching for new alternatives for establishing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disabled : focused on core elements of conflict and multidemensional model of Cooper et al.(2004) : 갈등의 핵심요소와 Cooper et al.(2004)의 다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박경순 p. 235-251

유아교사의 챗지피티(ChatGPT) 활용 현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A quantitative research on teachers’ use and perception of ChatGP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김윤나 p. 252-263
일반 성인의 운율 변화에 따른 말소리 지각과 음도 및 선율윤곽 수행력 비교 = Comparison of speech perception according to prosodic variations and pitch and melodic contour performance in adults with normal hearing 설혜윤, 김은연 p. 264-269
‘게임-영화(game-cinema)’의 내레이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arration characteristics of game-cinema : focusing on <The Last of Us>(2013) : <더 라스트 오브 어스(The Last of Us)>(2013)를 중심으로 채희상 p. 270-280
전쟁 사진을 통한 매체성 연구 = A study of medium specificity through war photography 박형근, 이상은 p. 281-294
영화 <유전>과 <미드소마>의 작품 배경과 캐릭터 사용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utilization in <Hereditary> and <Midsommar> 윤수인 p. 295-311
토니 쿠쉬너의 <미국의 천사들>에 나타난 부부(夫婦)관계(혹은 커플관계)의 해체 = The dissolution of couples in Angels in America by Tony Kushner 이윤정 p. 312-322
SF 영화 사운드 디자인의 창작 및 구성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ound design in SF films : focusing on 「Dune」 : <듄>을 중심으로 악문정, 김세훈 p. 323-331
공동체미술 호감도가 프로젝트 성과와 공동체의식 및 내적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ommuinty art likability on project outcomes, sense of community, and internal political efficacy 김도근 p. 332-344
오징어게임 영상 속성이 가치, 태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quid game video attributes on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us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정교화 가능성 모델 적용 고민환 p. 345-355
한국판 사이버 관계 동기(K-CRM) 척도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yber Relationship Motives Scale 노혜은, 안현의 p. 356-367
객실승무원의 여가활동이 서비스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leisure activities on service immersion customer orientation 김지수, 김민수 p. 368-377
직업정보인지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information recognition level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focusing on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use of universities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organizations : 대학의 진로 및 취업지원 조직 이용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희원 p. 378-388
설명적 문헌고찰을 통한 치위생윤리 연구 동향 분석(2000-2022) = Analysis of dental hygiene ethics research trends through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2000-2022) 권준영, 김형주, 탁나연, 임희정 p. 389-399
COVID-19 자가격리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resilience of self-quarantined person by COVID-19 노윤주, 조인숙 p. 400-412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s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 체계적 문헌고찰 노원영, 김미영 p. 413-425
지구온난화에 따른 질병의 양상변화와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disease patterns and countermeasures due to global warming 정용주 p. 426-438
재난 및 위급상황 발생시 장애인의 재난대응 수행에 따른 잠재계층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 검증 = A study on latent layer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for disabled persons with emergencies and disaster situations 김승완, 유한별 p. 439-450

일간지 담론분석을 통해 본 장애 문화예술에 대한 성찰 = Reflection on disability culture and art through daily newspaper analysis 이문오 p. 451-462
언론보도에 나타난 노인학대 담론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newspaper reports dealing with elder abuse 강희숙 p. 463-479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사건중심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entrality of event on depression for adults with interpersonal trauma :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experiential avoidance : 외상후 인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박태임, 정은정 p. 480-492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 일탈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organizational silence, deviation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of cabin crews :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이원화, 박정민 p. 493-502
디지털 광고회사 구성원의 조직문화 인식과 팀 창의성의 영향 관계에서 내적동기 매개효과 검증 =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creativity in digital ad agencies 박선미 p. 503-516
학군장교(ROTC) 지원율 하락 원인과 장교획득 방안 = Reasons for the decline in the ROTC application rate and the plan to acquire officers 황현호, 유재수 p. 517-528
취업용 자기소개서에 관한 내용분석과 제언 = A content analysis and suggestions for job cover letters : with a focus on applicants for journalism positions : 기자직 지원자를 중심으로 허만섭, 박재영 p. 529-539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의 의료기능 강화를 위한 스마트케어 서비스 융합에 관한 시사점 =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of smart care services to strengthen medical functions of emergency safety and safety services for the dlderly[실은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case of Suyeong-gu, Busan : 부산광역시 수영구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율, 이영호 p. 540-550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조영미 p. 551-563

한국 성인의 성별 알코올사용장애와 우울증상의 연관성 = Association between gender-based alcohol use disorde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adults 김욱 p. 564-574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여성가구주의 양육스트레스가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of female heads of household in single-parent family welfare facilities :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규림, 황혜원 p. 575-589
사회적 배제가 1인 가구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정후, 이성규 p. 590-598
노인의 종교 참여도가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lderly religious participation on happi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희 p. 599-609
마약중독 재활서비스 영역에서 일하는 회복상담가의 회복지원 경험을 통한 사회재활서비스 진입 영향 요인 탐색 =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entry into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through the recovery support experience of recovery counselors working in the area of drug rehabilitation services :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포커스 집단분석을 중심으로 백형의, 김선민, 홍혜미, 이주용, 신윤재 p. 610-620
비디오자기모델링 기법을 적용한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video self-model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extrem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due to stroke : a pilot study : 예비 연구 여현수, 박주형 p. 621-633

참고문헌 (4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영수, 임용선, 임도선, “수도권 지역 치과 병(의)원에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직무 중요도와 교육훈련 필요도 분석을 중심으로-,” 치위생과학회지, 제4권, 제1호, pp.33-38, 2004. 미소장
2 이원희, 한성숙, 김용순, 김분한, 지성애, 엄영란, 안성희,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Ethics Education in Koren,”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4권, 제1호, pp.1-14, 2001. 미소장
3 김빛나, “A survey on malpractice accidents and disputes concerned with dental hygienist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치위생과학회지, 제8권, 제1호, pp.13-20, 2008. 미소장
4 이선미, 강부월, 김창희, “Dental hygienist’s Ethical Dilemma,” 치위생과학회지, 제10권, 제4호, ppp.259-265, 2010. 미소장
5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한국생명윤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7-47, 2013. 미소장
6 손정희, 신선정, “Development of contents for dental hygiene ethics subjects for dental hygiene student,” 대한치위생과학회지, 제5권, 제2호, pp.113-121, 2022. 미소장
7 황윤숙, 치과위생사 직업윤리 교육 국가시험 평가기준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20. 미소장
8 김명철, 의사 국가시험 의료윤리 평가 실행방안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9. 미소장
9 https://www.kuksiwon.or.kr/CollectOfQuestion s/brd/m_116/list.do?seq=13 미소장
10 황윤숙, 우수한 치과위생사 인력 양성 및 배출을 위한 정책제안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 2016. 미소장
11 윤성욱, “치위생계열 학생과 비 치위생계열 학생의생명의료윤리 의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470-478, 2017. 미소장
12 Y. S. Hwang, J. H. Jang, K. H. Kang, M. J. Kim, J. R. Park, S. H. Son, S. M. Lee, D. Y. Jeung, J. E. Ha, S. M. Hong, and Y. E. Jang, “Level of professional ethics awareness and medical ethics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the need to add ethics items to the Korean Dental Hygienist Licensing Examination,” J. of Educ Eval Health Prof, Vol.17, pp.1-8, 2020. 미소장
13 천석연, 황창주, “Effects of Ethical Climate on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8권, 제4호, pp.515-524, 2018. 미소장
14 Y. S. Ahn, M. H. Kim, and J. H. Ha, “Comparison of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Students,”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6, 2012. 미소장
15 한성숙,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실상과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미소장
16 D. R. Forsyth, “A taxonomy of ethical ideologies,” J Pers Soc Psychol, Vol.39, No.1, pp.175-184, 1980. 미소장
17 이영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미소장
18 문용린, 생활문제 설문지(한국어판 DIT 설문지), 한국교육개발원 도덕교육 연구실, 1986. 미소장
19 배성숙, 노희진, 홍수민, “Ethical Responsi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1-50, 2013. 미소장
20 이세정, 한경순, “임상치과위생사의 윤리적 성향과 전문직업성 및 윤리적 직무행동,”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6권, 제3호, pp.238-248, 2012. 미소장
21 https://www.law.go.kr/법령/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시행령 미소장
22 박문수, 서인석, 김혜도, 백승민, 홍정의, 2018 대학연구 윤리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 연구재단, 2020. 미소장
23 이고은, 박성호, 이효진, 박수빈, 김상희,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Nursing Ethics Research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2011-2020),”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9-80, 2021. 미소장
24 김장한, 김정아, 박소연, 어은경, 유상호, 의사 국가시험 의료윤리 평가 실행방안 연구, 한국보건의료국가시험원, 2019. 미소장
25 S. M. Nam, S. H. Yoo, C. J. Kim, E. E. Kyung, A. Y. Park, and J. H. Kim, “Using delphi survey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medical ethics for inclusion in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Korean J. of Medical Ethics, Vol.23, No.2, pp.81-97, 2020. 미소장
26 송원철, 황승준, 박근완, “간호사에 대한 윤리지원이윤리역량과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학술대회발표눈문집, Vol.2018, No.2, pp.860-877, 2018. 미소장
27 S. H. Lee, “Ethical consciousness and decision-making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COVID-19,” J.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Vol.21, No.4, pp.357-366, 2021. 미소장
28 천세희, 이향연, 조미숙,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calling and ethical inclina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4권, 제6호, pp.813-820, 2014. 미소장
29 B. W. Kang, “A study on the ethical valu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Vol.10, No.1, pp.1-18, 2010. 미소장
30 김미정, 박인숙,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가 경험하는윤리적 딜레마와 임파워먼트,”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4호, pp.383-339, 2012. 미소장
31 김윤정, 김선영, “일부 임상치과위생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관련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6권, 제2호, pp.321-327, 2016. 미소장
32 류선권, 조경동, “기업윤리와 윤리풍토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논총, 제16권, pp.109-134, 2009. 미소장
33 김창희, 이현옥, 이선미, “임상치과위생사의 윤리적딜레마와 전문직업성,” 치위생과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45-352, 2011. 미소장
34 이혜경, 주온주,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윤리적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한국치위생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97-504, 2015. 미소장
35 홍해경, 한경순, “치위생 전공학생의 윤리적 성향이치위생전문직관과 윤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01-310, 2021. 미소장
36 김윤정, 장윤정, 곽정숙, 김수남,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5권, 제1호, pp.1-5, 2005. 미소장
37 D. F. Homenko, “Use of an inventory for ethical awareness indental hygiene,” J. of American College Dentistst, Vol.69, No.1, pp.31-38, 2002. 미소장
38 M. A. Gaston, D. M. Brown, and M. B. Waring. “Survey of ethical issues in dental hygiene,” J. of American Dental Hygiene, Vol.64, No.5, pp.217-224, 1990. 미소장
39 권윤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62-272, 2009. 미소장
40 박영남,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융합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9권, 제10호, pp.227-233, 2019. 미소장
41 J. H. Jang, Y. S. Hwang, and S. M. Lee, “Level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and the knowledge and attitudes related to medical ethics of students and professors in dental hygiene,” J.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Vol.21, No.1, pp.77-88, 2021. 미소장
42 박미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 학생의팬데믹 인플루엔자, 윤리적 인식 및 윤리적 의사 결정에 대한 인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10호, pp.335-343, 2020. 미소장
43 이세정, 한경순,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과 윤리적성향과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5호, pp.503-510, 2012. 미소장
44 B. Victor and J. B. Cullen, “The organizational base of ethical work climat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3. No.1, pp.101-125, 1988. 미소장
45 김윤정, 임근옥, 유미선, “전남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윤리교육에 따른 도덕성 발달수준 평가,”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8권, 제3호, pp.99-106, 2008. 미소장
46 김윤정, “DIT를 사용한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도덕판단력에 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8권, 제3호, pp.199-205, 2008. 미소장
47 정정화, 김민아, 김효진, “치과위생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57-364, 2022. 미소장
48 정정화, 우희선, “A Study on Ethical Job Behavior Level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4권, 제6호, pp.135-140,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