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金相頊, 『勿窩集』 |
미소장 |
2 |
李道復, 『厚山集』 |
미소장 |
3 |
李承熙, 『韓溪遺稿』 |
미소장 |
4 |
芮大僖, 『伊山文集』 |
미소장 |
5 |
朴趾源, 『熱河日記』 |
미소장 |
6 |
田相武, 『栗山集』 |
미소장 |
7 |
鄭琦, 『栗溪集』 |
미소장 |
8 |
趙昺澤, 『一軒集』, |
미소장 |
9 |
河謙鎭, 『晦峯先生遺書』 |
미소장 |
10 |
河謙鎭, 『晦峰先生年譜』. |
미소장 |
11 |
권대웅, 『율산 전상무의 독립운동』, 선인, 2022. |
미소장 |
12 |
김기주, 「회봉 하겸진의 학문 활동과 성리학적 특징」, 『한국학논집』 70,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
미소장 |
13 |
김지환, 「安奉鐵道 부설과 중국동북지역 신유통망의 형성」, 『중국사연구』 87, 중국사학회, 2013. |
미소장 |
14 |
김진균, 「식민지시기 京鄕 한학자들의 교유」, 『한문학논집』 60, 근역한문학회. 2021. |
미소장 |
15 |
박성순, 「孟輔淳의 東田文集 편찬과 잊혀진 獨立運動史」, 『동양고전연구』 65, 동양고전학회, 2016. |
미소장 |
16 |
서동일, 「1910년대 한인의 안동 이주와 접리수 한인촌 형성」, 『한국사연구』171, 한국사연구회, 2015. |
미소장 |
17 |
서동일, 「1910년대 중국 안동 성신태 상점 설립과 독립운동 지원」, 『사림』 56, 수선사학회, 2016. |
미소장 |
18 |
신규식, 김동훈 외(편), 『신규식 시문집』, 민족출판사, 1998. |
미소장 |
19 |
윤병석, 「요좌기행 해설」, 『사학지』 8, 단국대학교 사학회, 1974. |
미소장 |
20 |
이영숙, 「小訥 盧相稷의 현실 대응 양상에 대한 考察」, 『동양한문학연구』 61, 동양한문학회, 2022. |
미소장 |
21 |
이은영, 「수파 안효제의 서간도 망명과 우국시」, 『한문학보』 25, 우리한문학회, 2011. |
미소장 |
22 |
이성형,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認識樣相 考察」, 『漢文學論集』 35, 근역한문학회, 2012. |
미소장 |
23 |
이철성, 「조선 후기 鴨綠江과 柵門 사이 封禁地帶에 대한 역사・지리적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3,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미소장 |
24 |
이 훈, 「청대 건륭기 만주족의 근본지지(根本之地) 만들기」, 『사총』 72,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1. |
미소장 |
25 |
이희목, 「소눌 노상직 한시 연구: 「신해기행(辛亥記行)」을 중심(中心)으로」, 『한문학보』 17, 우리한문학회, 2007. |
미소장 |
26 |
최두식, 「율계의 기행시와 그의 문학 세계(2)」, 『동방한문학』 15, 동방한문학회, 1998. |
미소장 |
27 |
한길로, 「물와(勿窩) 김상욱(金相頊)의 「중주기행(中州記行)」 고찰」, 『석당논총』80,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
미소장 |
28 |
한길로, 「일헌 조병택의 「서정일록」 연구」, 『인문학연구』 62,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
미소장 |
29 |
丹东市民族宗教事务委员会民族志编纂委员会(编), 『丹東朝鮮族志』, 遼寧民族出版社, 2001. |
미소장 |
30 |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검색일: 2023.06.19) |
미소장 |
31 |
한국고전번역원(https://db.itkc.or.kr, 검색일: 2023.06.19.) |
미소장 |
32 |
한국역사정보통합사이트 (https://www.koreanhistory.or.kr, 검색일: 2023.06.19.)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