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대 국어 말뭉치에 나타난 '-었는'의 사용 양상과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eossneun' through the corpus in modern Korean 김문기 p. 3-30
松谷 李瑞雨의 「靑巖錄」 考察 = A study on the 「Cheongamrok(靑巖錄)」 of Songgok(松谷) Lee Seo-woo(李瑞雨) : the transition from non-daily experience to knowledge production : 비일상의 체험에서 지식 생산으로의 전환 김효정 p. 31-66

「탐라별곡」의 삼성혈 신화 수용과 변주 = Acceptance and variation of Samseonghyeol myth in Tamrabyeolgok 김아연 p. 67-94
「최북전(崔北傳 )」에 나타난 중인 예술가의 자의식에 관한 조희룡(趙熙龍)의 문제의식 연구 = A study on a critical mind of Cho Hee-Ryong concerning sense of identity of middle class artist in 「Choi Buk Jeon」 김경회 p. 95-122
근대 한시에 나타난 중국 '단동'의 주요 공간과 시적 표상 고찰 = A study on the main space and poetic representation of China's 'Dandong' in modern Chinese poetry : focusing on the 1910s and 1920s : 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한길로 p. 123-148
일제 강점기 문학사 기술에 나타난 역사문학의 성격 =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강미정 p. 149-180

일제 식민시대와 해방 후의 농민시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고찰 = Investigation on peasantry poem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space from a political ecology 박규택 p. 181-220
편집자 오영수 = Editor O Young-Soo : focused on his experience as an editor at Hyundaemunhak (The Modern Literature) : 『현대문학』 편집장 활동을 중심으로 나보령 p. 221-250

고정희의 변증법적 시학과 5·18 재현 양상 연구 = A study of Goh Jung-Hee's the poetics of dialectic and 5·18 representation 안지영 p. 251-286
해방 직후 이주홍의 『初等國史』 편찬과 고대사 서술의 함의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Lee Chowhong's 『Textbook of Korean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 right after liberation and the description of ancient history 서용태, 박형준 p. 287-315
풍속화의 예술적 가치 = An artistic vale of genre painting : focusing on acceptance of vulgarity : 속(俗)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유진 p. 317-344

한국 에스닉 집거지 경제의 조직과 활동 및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ctivities and changes of the ethnic enclave economy in Korea : focusing on Goryoin self-employed : 고려인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김영술 p. 345-381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金相頊, 『勿窩集』 미소장
2 李道復, 『厚山集』 미소장
3 李承熙, 『韓溪遺稿』 미소장
4 芮大僖, 『伊山文集』 미소장
5 朴趾源, 『熱河日記』 미소장
6 田相武, 『栗山集』 미소장
7 鄭琦, 『栗溪集』 미소장
8 趙昺澤, 『一軒集』, 미소장
9 河謙鎭, 『晦峯先生遺書』 미소장
10 河謙鎭, 『晦峰先生年譜』. 미소장
11 권대웅, 『율산 전상무의 독립운동』, 선인, 2022. 미소장
12 김기주, 「회봉 하겸진의 학문 활동과 성리학적 특징」, 『한국학논집』 70,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미소장
13 김지환, 「安奉鐵道 부설과 중국동북지역 신유통망의 형성」, 『중국사연구』 87, 중국사학회, 2013. 미소장
14 김진균, 「식민지시기 京鄕 한학자들의 교유」, 『한문학논집』 60, 근역한문학회. 2021. 미소장
15 박성순, 「孟輔淳의 東田文集 편찬과 잊혀진 獨立運動史」, 『동양고전연구』 65, 동양고전학회, 2016. 미소장
16 서동일, 「1910년대 한인의 안동 이주와 접리수 한인촌 형성」, 『한국사연구』171, 한국사연구회, 2015. 미소장
17 서동일, 「1910년대 중국 안동 성신태 상점 설립과 독립운동 지원」, 『사림』 56, 수선사학회, 2016. 미소장
18 신규식, 김동훈 외(편), 『신규식 시문집』, 민족출판사, 1998. 미소장
19 윤병석, 「요좌기행 해설」, 『사학지』 8, 단국대학교 사학회, 1974. 미소장
20 이영숙, 「小訥 盧相稷의 현실 대응 양상에 대한 考察」, 『동양한문학연구』 61, 동양한문학회, 2022. 미소장
21 이은영, 「수파 안효제의 서간도 망명과 우국시」, 『한문학보』 25, 우리한문학회, 2011. 미소장
22 이성형,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認識樣相 考察」, 『漢文學論集』 35, 근역한문학회, 2012. 미소장
23 이철성, 「조선 후기 鴨綠江과 柵門 사이 封禁地帶에 대한 역사・지리적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3, 동북아역사재단, 2009. 미소장
24 이 훈, 「청대 건륭기 만주족의 근본지지(根本之地) 만들기」, 『사총』 72,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1. 미소장
25 이희목, 「소눌 노상직 한시 연구: 「신해기행(辛亥記行)」을 중심(中心)으로」, 『한문학보』 17, 우리한문학회, 2007. 미소장
26 최두식, 「율계의 기행시와 그의 문학 세계(2)」, 『동방한문학』 15, 동방한문학회, 1998. 미소장
27 한길로, 「물와(勿窩) 김상욱(金相頊)의 「중주기행(中州記行)」 고찰」, 『석당논총』80,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미소장
28 한길로, 「일헌 조병택의 「서정일록」 연구」, 『인문학연구』 62,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미소장
29 丹东市民族宗教事务委员会民族志编纂委员会(编), 『丹東朝鮮族志』, 遼寧民族出版社, 2001. 미소장
30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검색일: 2023.06.19) 미소장
31 한국고전번역원(https://db.itkc.or.kr, 검색일: 2023.06.19.) 미소장
32 한국역사정보통합사이트 (https://www.koreanhistory.or.kr, 검색일: 2023.06.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