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기동. 2021. “정치지식과 경제투표” 『한국정당학회보』 20권 2호. 5-38. |
미소장 |
2 |
길정아·강원택. 2020.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의 회고적 투표: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와 당파적 편향.” 『한국정당학회보』 19권 4호. 101-140. |
미소장 |
3 |
강신구. 2014. “지방선거: 지방정부의 구성을 위한 것인가? 중앙정치의 대리전인가?” 『오토피아』 제29권 제2호. 65-95. |
미소장 |
4 |
강우진. 2013. “제18대 대선과 경제투표: 경제성장에 대한 정책선호의 일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7권 5호. 213-233. |
미소장 |
5 |
강원택. 1999. “지방선거에 대한 중앙정치의 영향: 지방적 행사 혹은 중앙정치 대리전?” 조중빈 편. 『한국의 선거 III: 1998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77-114. 서울: 푸른길. |
미소장 |
6 |
강원택. 2006. “2002년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 중간평가 혹은 대선 전초전?” 『한국정치연구』 15권 2호. 61-83. |
미소장 |
7 |
강주현. 2013. “지방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평가와 득표율에 관한 연구: 민선 5기기초 및 광역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2권 1호. 53-80. |
미소장 |
8 |
문우진. 2018. “경제투표, 선거심판과 민주주의: 경제에 대한 객관적·주관적 평가와 전망이 여당후보 지지에 미치는 영향.” 『평화연구』 26권 2호. 5-44. |
미소장 |
9 |
박영득·이재묵. 2020. “제7회 광역단체장 투표선택 결정요인 분석: 보수의 분화와 중앙정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3권 1호. 1-23. |
미소장 |
10 |
배은진·엄기홍. 2016. “한국 지방선거에서의 경제투표?: 광역단체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 경험적 분석” 『21세기정치학회보』 26권 2호. 77-97. |
미소장 |
11 |
신정섭. 2019. “2018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나타난 회고투표 행태: 정치적책임할당, 정치적 지식, 소득수준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9권 2호. 1-22. |
미소장 |
12 |
신현기·허석재. 2015. “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현직지지 요인에 관한 연구:2014년 6·4지방선거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를 대상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권 2호. 57-77. |
미소장 |
13 |
이곤수·송건섭. 2011. “지방선거의 유권자 투표선택: 정당인가 후보인가?: 6.2 지방선거와 서울시의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권 4호. 339-360. |
미소장 |
14 |
이재철. 2008.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경제투표: 유권자의 경제인식과 투표결정.” 『현대정치연구』 1권1호. 111-136. |
미소장 |
15 |
유재일. 2006. “한국 지방선거의 구조와 동학: 제4회 대전시장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4권 2호. 186-220. |
미소장 |
16 |
지병근·차재권. 2018. “유권자들의 지역발전에 대한 지방정부의 책임성 인식과행태: 광주광역시 사례분석.” 『한국정당학회보』 17권 1호. 135-163. |
미소장 |
17 |
장승진. 2012. “19대 총선의 투표선택: 정권심판론, 이념투표, 정서적 태도.” 『한국정치학회보』 46권 5호. 99-120. |
미소장 |
18 |
장승진. 2019. “한국 지방선거의 다층적 회고적 투표: 2018년 광역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8권 1호. 5-27. |
미소장 |
19 |
장한일·장승진. 2021. “당파적 편향은 회고적 평가를 왜곡하는가? 실험설문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20권 2호. 73-97. |
미소장 |
20 |
황아란. 2013. “2000년대 지방선거의 변화와 지속성: 현직효과와 중앙정치의 영향.” 『한국정치학회보』 47권 5호. 277-295. |
미소장 |
21 |
황아란. 2015. “한국 지방선거의 특징과 현직의 직·간접적인 효과: 역대 지방선거후보 득표율의 통합자료 분석.” 『지방정부연구』 19권 3호. 365-386. |
미소장 |
22 |
지방재정365(https://lofin.mois.go.kr/) |
미소장 |
23 |
Brambor, Thomas, William R Clark, and Matt Golder. 2006. “Understanding Interaction Models: Improving Empirical Analyses” Political Analysis 14(1): 63-82. |
미소장 |
24 |
Campbell, James. 1991. “The Presidential Surge and Its midterm Decline in Congressional Elections, 1868-1988” Journal of Politics 53:2, 477-487. |
미소장 |
25 |
de Vries, Catherine E., and Nathalie Giger. 2014. “Holding Governments Accountable? Individual Heterogeneity in Performance Voting.”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53(2): 345–362. |
미소장 |
26 |
Delli Carpini, Michael X. and Scott Keeter. 1996. What Americans Knows about Politics and Why It Matter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Duch, Raymond M. and Randy Stevenson. 2006. “Assessing the Magnitude of the Economic Vote over Time and across Nations.” Electoral Studies 25(3): 528-547. |
미소장 |
28 |
Fiorina, Morris. 1981.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Election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9 |
Godbout, Jean-Francois and Eric Belanger. 2007. “Economic Voting and Political Sophistication in the United States”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60(3): 541-554. |
미소장 |
30 |
Gomez, Brad T. and Matthew Wilson. 2001. “Political Sophistication and Economic Voting in the American Electorate: A Theory of Heterogeneous Attribu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5(4): 899-914. |
미소장 |
31 |
Gomez, Brad T. and Matthew Wilson. 2006. “Cognitive Heterogeneity and Economic Vo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 Democratic Electorat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0(1): 127-145. |
미소장 |
32 |
Krause, George A. 1997. “Voters, Information Heterogeneity, and the Dynamics of Aggregate Economic Expectation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5(1): 131-143. |
미소장 |
33 |
Lewis-Beck, Michael and Mary Stegmaier. 2000. “Economic Determinants of Electoral Outcome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3(1): 183-219. |
미소장 |
34 |
Markus, Gregory. B. 1992. “The Impact of Personal and National Economic Conditions on Presidential Voting, 1956-1988.”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6(3): 829-834. |
미소장 |
35 |
Powell, Bingham G. and Guy D. Whitten. 1993. “A Cross-National Analysis of Economic Voting: Taking Account of the Political Contex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7(2): 391-414. |
미소장 |
36 |
Shin, Jungsub. 2018. “Comprehensive Retrospective Voting in Mixed Electoral Systems: Evidence from the 2016 Korean Legislative Election” 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9(2): 250-268. |
미소장 |
37 |
Sniderman, Paul M., Richard A. Brody, and Philip E. Tetlock. 1991. Reasoning and Choice: Explanations in Political Psych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8 |
Song, Byung Kwon. 2009. “Does the President’s Popularity Matter in Korea’s Local Elections?” Pacific Affairs 82(2): 255-280. |
미소장 |
39 |
Stiers, Dieter. 2019. “Political Information and Retrospective Voting.”West European Politics 44(2): 275-298. |
미소장 |